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26 [연구소식] 돼지 DNA와 동아시아에서의 확산 필자의 대학원 석사 제자인 신혜주 선생과 홍종하 교수 등이 참여하여 같이 수행한"미토콘드리아 DNA D-loop 영역의 하플로타입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으로 추정하는 동아시아 돼지 사육의 역사적 확산과정"논문이 한국 체질인류학회 기관지인 "해부-생물인류학" 지에 채택되어 근간 출판 예정이다. 그간 한 중 일 삼국에서 나온 돼지 DNA를 모두 수집하여 분석한 것으로 최초로 사육된 돼지의 조상 유전형을 추정하고 중국에서 한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사육돼지의 이동과정을 유추하였다. 9월 말 경 출판 예정이다. 2025. 8. 5. 고대 삼엽충 다리가 보여주는 독특한 보행과 굴착 능력 수백 점 화석 이미지 기반 정교한 3D 디지털 모델 재구성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버제스 셰일Burgess Shale은 화석에서 다리와 내장을 포함한 연조직이 매우 잘 보존된 것으로 유명하다.삼엽충trilobites은 단단한 외골격 덕분에 화석 기록에 풍부하게 존재하지만, 연조직은 거의 보존되지 않아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그러나 버제스 셰일 삼엽충 중 특히 풍부하고 잘 보존된 올레노이데스 세라투스(Olenoides serratus)는 이러한 부속기관을 연구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BMC Biology에 게재된 새로운 연구에서 하버드 대학교 유기체 및 진화생물학과(OEB) 박사후연구원인 사라 로소Sarah Losso가 이끄는 연구진은 28개 O. serratus 화석 표본에서 156개.. 2025. 8. 5. 호르넬룬드 브로치: 1,000년 전 덴마크 바이킹 황금 장신구 이름: 호르넬룬드 브로치 Hornelund Brooches 내용: 금으로 만든 두 개 옷 브로치 출처: 바르데Varde, 유틀란트 남서부(덴마크) 시기: 11세기 초덴마크에서 출토된 이 두 개 브로치는 기독교와 북유럽 디자인을 포함한 바이킹 시대 금세공 독특한 사례다. 이 두 개 브로치는 덴마크 남서부 유틀란트Jutland 반도에서 금팔찌와 함께 발견된 작은 보물 중 일부였다.바이킹 시대(서기 793년~1066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브로치는 섬세한 모양으로 구부린 장식용 철사로 장식한다. 바르데 박물관Varde Museum 큐레이터 레네 프란센Lene Frandsen의 1994년 연구에 따르면, 각 금 브로치는 지름이 약 8.5cm, 무게는 60~75g이다.덴마크 국립 박물관에 따르면, 이 브로치 디.. 2025. 8. 5. 노르웨이 동굴서 7만5천 년 전 북극 동물 유해 발견 과학자들이 7만 5천 년 전 유럽 북극을 산 거대한 동물 군집 유해를 발견했다. 노르웨이 북부 해안 한 동굴에서 포유류, 어류, 조류를 포함한 46종 동물 뼈가 발견되었다. 이는 빙하기 중 따뜻한 시기에 유럽 북극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동물 군집 사례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PNAS)에 게재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이 뼈가 과학자들이 야생 동물이 한때 극적인 기후 변화에 어떻게 반응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오늘날의 보존 활동에 매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한다."이러한 발견은 사라진 북극 세계의 희귀한 단면을 보여준다"라고 본머스 대학교와 오슬로 대학교 샘 워커Sa.. 2025. 8. 5. 보물 가득한 트라키아 전사 무덤 발굴 스파르타쿠스 등장 직전 불가리아 땅 누빈 군인 불가리아 남부에서 기원전 2세기 트라키아 전사Thracian warrior의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한 무덤이 발굴되었다.무덤에는 그의 엘리트 지위를 상징하는 의식용 화환ceremonial wreath까지 포함되어 있다.카피탄 페트코 보이보다Kapitan Petko Voivoda 마을 근처에서 발견된 이 무덤은 헬레니즘 시대 고대 트라키아의 정교한 장례 관습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전사는 말과 함께 묻혔으며, 청동 및 금박 장신구를 포함한 귀중한 유물들은 당시의 뛰어난 장인 기술을 보여준다.이 발견은 최근 몇 년간 트라키아 전사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꼽힌다. 카피탄 페트코 보이보다 유적 발견이번 발견은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Bulgar.. 2025. 8. 5. 국가에 의해 통제되기 전에 건너 온 양잠 우리는 비단짜기, 양잠 하면중국에서 국가권력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막았다는 통념 때문인지한반도나 일본열도로 양잠과 비단생산이 퍼져 나간 것도 이러한 와중에 늦게 전파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서기 3세기 동아시아를 그린 삼국지 동이전을 보면한반도는 물론 바다 건너일본열도까지도 누에를 치고 비단을 짜고 있었다. 이는 중국대륙에서 한반도로 그리고 일본열도로 비단 생산법이 건너간 것은국가권력이 그곳의 비단 제조법을 통제하기 이미 이전에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중국의 신석기시대 이래 그곳 농민들이 농사와 양잠을 병했했듯이 한반도와 일본열도로도 농사와 양잠을 같이한 사람들이 이동했다는 말이다. 농사만 이동한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양잠과 비단 제조는 필자가 보기엔소나 말 등 .. 2025. 8. 4.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 348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