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90

술집 어드메냐 물으니 목동 하는 말이 청명淸明 두목지杜牧之淸明時節雨紛紛 때는 청명이라 비는 주룩주룩 路上行人欲斷魂 길가는 나그네 가슴 찢어질듯 借問酒家何處有 묻노니 술집은 어드메냐 하니 牧童遙指杏花村 목동이 멀리 살구 핀 마을 가르키네 흔히 두목杜牧(803~853)이라 일컫는 만당晩唐의 문단 기린아 시작 중에서도 명편으로 꼽히어니와모든 한시는 앞대가리는 도론導論과 같아, 그 도론이 제아무리 씨잘데기 없이 보이고, 또 클리쉐하게 보여도 결국 마지막 구절 한 방이라 언뜻 평범하게만 보이는 이 작품 또한 딱 한 구절, 곧 목동이 저 멀리 살구 꽃 만개한 마을을 가르킨다는 그 대목 하나로 두고두고 명편으로 회자한다. 뭐 따질 이유 없다. 저 무렵 두목이 어디에 있었는냐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진짜 목동이 있는 곳에 있었는가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 2025. 5. 28.
인용이라는 강박과 자아의 독립 한때는 세상의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는 강박이 내면에서 작동했다.그리하여 세계사상사 전집을 읽었고, 세계문학전집을 읽었다.사르트르 소설 '구토'에 나오는 로캉댕이라는 친구는 도서관에서 A부터 Z까지 모조리 도서관 책을 읽어내려가지만, 또 그것이 사르트르의 잔영이지만 어쩌면 그것이 내 자화상이기도 했다.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그런 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워졌다.이에서 처음에는 나는 플라톤과 칸트를 놓아주었으며, 공자도 보내고 노장도 보냈다.최근 근 10년간은 불타를 보내기 위해 이쪽을 공부하는 중이다.석가모니를 보내는 날도 머지 않았으리라.그리하여 어느 때부턴가 나 아닌 다른 사람의 거창한 철학이나 논리에 기댈 필요도 없어졌다.비로소 나는 이른바 그런 거물들과 '다이다이' '맞다이'를 치기 시작했다. (20.. 2025. 5. 28.
병고현 명석시 어시장에서 나라현奈良縣 벗어나 병고현兵庫縣, 무기 창고 고을 들어섰으니 명석明石, 밝은돌 明石 아카시akashi 라는 동네라 하고 이곳은 나로선 초행이나 쫄래쫄래 따라만 다니는 통에 사전 그 어떤 정보도 없이 현장에서 부대끼는 대로 듣고보고선 아 그런갑다 한다.찾아보니 대략 인구 삼십만 전형하는 근기 지방 중소도시라 태평양 전쟁 통에 박살이 난 듯하거니와 이곳에 다이묘大名 축엔 들지 못한 에도시대 영주가 있었던 모양이라 그 궁궐 아카시성이 천수각은 소멸된 채 성벽과 해자, 그리고 망루 두 곳 정도만 복원된 듯한데 암튼 그것이 남아 과거의 영화를 희미하게 보여준다.고베와 히메지 딱 중앙지점 해변이라 남쪽 건너편에 담로도淡路島라는 섬이 있어 꼭 생김새는 광안대교 같은 다리가 본섬과 접접을 형성한다.그 담로도 남단에 다.. 2025. 5. 28.
예술인가 도덕인가, 유독 글씨에만 가혹한 평가 필자의 착각인지 모르겠는데한국과 일본의 박물관이나 미술관 걸린 옛 글씨들 보면이상하게 우리 쪽 글씨가 후지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런데-. 글씨야 조선의 문인들이 특별히 못 썼을 리도 없고, 여기나 거기나 비슷하리라 생각하는데, 혹시 우리가 글씨를 고르는 기준이 단순히 미의 측면만 보는 것이 아니라 글쓴 이의 도덕적 측면이라던가, 역사적 유명세라던가,아무튼 문예적 측면 이외의 부분이 많이 작용하는 것이 아닌가? 가끔 글씨는 그것을 쓴 이의 인격적 측면이 중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평가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보는데, 고흐가 인간성이 좋았겠는가, 고갱이 인간성이 좋았겠는가. 최북은 술주정뱅이에 사람 구실도 간신히 하는 사람이었던 듯한데 유독 글씨에만 도덕성을 강조하고 인격을 강조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2025. 5. 27.
13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은 독수리 발톱으로 보석을 만들었다 130,000 years old jewelry. In 2015, scientists announced they’d found the world’s oldest piece of jewelry – eight eagle talons discovered in a Neanderthal site in Croatia. 13만 년 된 보석이다.2015년, 과학자들이 크로아티아 크라피나Krapina 소재 네안데르탈 한 유적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보석인 독수리 발톱 8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최소 세 마리 이상 새한테서 채취한 이 독수리 발톱에는 여러 개 절단 자국, 끈을 엮기 위한 홈, 그리고 광택을 낸 흔적이 있어 연구자들은 이 발톱이 목걸이나 팔찌 일부로 착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이 발견은 네안데르탈인이 둔감한.. 2025. 5. 27.
이스라엘인은 대초원에서 유래 Reevaluating Israelite Origins: New Genetic and Cultural Evidence Suggests Steppe Ancestry May 24, 2025 요한 오스트하위젠(Johan Oosthuizen)이 최근 발표한 학제간 연구 "아리아인 가설: 이스라엘인 식별The Aryan Hypothesis: Identifying the Israelites"은 고대 이스라엘인이 가나안 원주민이었다는 기존의 통념에 이의를 제기한다. 고고유전학, 역사언어학, 성서 분석, 그리고 물질 문화를 통합한 이 연구는 이스라엘인이 북유럽과 서유럽 중후기 청동기 시대Middle to Late Bronze Age(MLBA) 대초원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적, 표현형적으로 독특한 집단이었다고 .. 2025.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