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치Ötzi 몸에서는 곳곳에 피부에 작은 절개incisions를 하여 목탄charcoal을 문지른 선과 십자가 형태 문신 50개가 확인됐다.
마모wear and tear 흔적이 있는 신체 부위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상징적인 가치가 아닌 치료적인 목적이었다는 견해가 있다.
앞서 비교적 상세히 다뤘지만 보강 차원에서 상기해 놓는다.
반응형
'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 > 1-외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치이야기-45] 경계인은 농경사회의 적이다 (0) | 2025.02.03 |
---|---|
[외치이야기-44] 초기 농경사회의 경계인 (0) | 2025.02.03 |
[외치이야기-43] 외치는 농경민인가 수렵민인가 (0) | 2025.02.02 |
[외치 보유편] (5) 위궤양 (0) | 2025.02.02 |
[외치 보유편] (4) 동물 가죽으로 제작한 옷가지 (0) | 2025.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