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는 18세기 말, 19세기 초반에 이르면
부상하는 소위 모칭冒稱 유학-. 
이전에는 자유민과 노비였지만 어찌어찌해서 유학으로 부상하여
양반 행세를 시작한 이들과 
그 한편에는 또 누가 있는고 하면
이전에 양반 끄트머리쯤 있다가 
장자상속이 강화하면서 받은 거 하나 없이 자립해야 하는 지손들-. 
그리고 조선 후기까지도 강고하게 남은 서얼금고 때문에
아무 것도 할 게 없는 이들-. 
이들이 말이 양반이지 쪽박차기 일보 직전인 사람들이 동네마다 가득했다. 
이렇게 쪽박차기 일보직전이면 이들의 신분이
바로 평민으로 격하되었는가 하면 그것이 아니다. 
이들은 조선이 망할 때까지도 유학이라는 호칭을 호적에 유지하면서
하루종일 손바닥 만한 땅을 부치거나 
아니면 아예 농업노동자로 이리저리 남의 집 땅을 갈아주면서
마지막까지 양반 유학 자리 안 잃으려 버텼는데
이것이 가능한 것이 뭐냐 하면
바로 향촌마다 혈족으로 유지되는 친족집단, 
향촌 문중들이 되겠다. 
망하여 쪽박 찬 일가는 그보다 나은 집안에 악착 같이 붙어서 
혈족 집단 전체가 호적에는 일정 정도의 신분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는데, 
몰락양반의 마지막 보루는 뭐냐 하면
그 동네 혈족 집단, 향촌의 문중이다. 
이것도 없이 다른 지역으로 혈혈단신 흘러 나가면
그야말로 완전히 쪽박차는 것이니,
몰락양반들은 조선이 망하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향촌을 벗어나지 못하며
오늘 굶더라도 고향을 지키게 되는 것이었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밝혀져야 할 이야기 삼부작 (0) | 2025.10.30 | 
|---|---|
| 끝이자 시작인 고고기생충학 워크샵 (0) | 2025.10.29 | 
| 전통 유교사회의 환상: 양천제良賤制 (0) | 2025.10.28 | 
| 별의 별 정보가 다 남아 있는 과거의 족보 (0) | 2025.10.28 | 
| 국립청주박물관 워크샵: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0) | 2025.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