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마야 어린이들도 옥으로 치아 박았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8. 29.
반응형

상악 우측 견치Maxillary right canine: A) 협측 광학 촬영Buccal optical view; B) 근위 방사선 촬영Proximal radiographic view; C) CBCT 시상 단면sagittal section에서 인레이 충치강 벽inlay cavity wall이 치수강pulp chamber과 매우 근접해 있으며, 석회화calcifications는 치수 반응pulp response을 나타낸다. 출처: 마르코 라미레스-살로몬 외

 

by 샌디 오스터Sandee Oster, Phys.org


고고학 과학 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마야 어린이 세 명의 치아를 분석했다. 이 치아에는 옥 인레이 jade inlays가 있었는데, 이는 히스패닉 이전 시대 성인 마야 치아에서 일반적으로 보고되는 관행이다.

히스패닉 이전 마야인들에게는 고전기Classic Period와 고전기 이후 시대Postclassic Period(서기 250년~900년, 서기 900년~1550년)에 깎기filings, 조각engravings, 인레이inlays[박기 정도로 보면 될 성 싶다]와 같은 치아 변형이 흔한 관행이니다.

이러한 보철물은 일반적으로 석기 도구lithic tool를 사용하여 치아 우식 부위dental cavity를 만들고 그 안에 옥이나 흑요석과 같은 모양 돌을 넣은 후, 유기 기반 시멘트로 밀봉했다.

이러한 관행은 성인에게만 보고되었으며, 15세에서 20세 사이 개인에 대한 사례는 제한적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과테말라 프란시스코 마로킨 대학교Francisco Marroquín University 포폴 부흐 박물관Popol Vuh Museum이 소장한 히스패닉 이전 시대 골격 컬렉션에서 마르코 라미레스-살로몬Marco Ramírez-Salomón 박사와 그의 동료들이 조사한 결과, 세 개 치아가 8세에서 9세, 그리고 9세에서 10세 사이 개인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악 좌측 중절치maxillary central left incisor, 하악 좌측 측절치mandibular lateral left incisor, 그리고 상악 우측 견치maxillary right canine를 포함한 이러한 치아들은 치과 인레이를 시술받은 어린이의 유일한 사례로 알려져 있다.

"안타깝게도 이 이빨들은 박물관에 기증된 헐거운 이빨이다"고 이 연구 저자 중 한 명인 안드레아 쿠치나Andrea Cucina 박사는 설명한다.

"고고학적으로 보면, 이 이빨들은 맥락과 전혀 맞지 않아 출처, 유물 기록,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습니다."

치아의 맥락은 완전히 배제되었지만, 연구진은 이 치아가 생전에 인레이를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아 인레이를 받은 어린이의 다른 사례는 벨리즈 푸실랴Pusilha 출신 3~4세 아동 한 명뿐이다. 그러나 이 아동은 사망 후에야 인레이를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하악 좌측 측절치Mandibular left lateral incisor: A) 치아의 협측 촬영Buccal view; B) 근위 방사선 촬영 Proximal radiographic view; C) 법랑질enamel 내 인레이 충치 깊이 inlay cavity depth와 치수 반응pulp response을 시사하는 석회화calcifications 를 보여주는 CBCT 시상면 단면sagittal section. 출처: 마르코 라미레스-살로몬 외



맥락이 부족해 이 아이들이 일반적으로 성인에게만 적용되는 치아 인레이를 받은 이유를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몇 가지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이것이 어린이에게서 이러한 치아 인레이가 드물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범 마야 관습pan-Mayan practice이 아니라 지역적인 현상이었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쿠치나 박사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지금까지 메소아메리카 고고학 기록에서 사춘기 이전 아동의 인레이 시술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는 사실(15세 이전에 인레이를 받은 사례는 매우 드뭅니다)을 고려할 때, 이는 실제로 지역적이고 지역화한 전통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논문에서 언급했듯이, 사춘기 이전 아동이 인레이를 착용하지 않은 것은 생물고고학 기록에서 해당 연령대가 과소평가되었기 때문이 아닙니다."

또 다른 가설은 이러한 사람들이 사회적 성숙도를 나타내기 위해 치과 인레이를 착용했다는 것이다.

현존하는 다른 모든 치과 인레이 시술 사례가 성인에게 시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인레이 시술은 성인으로의 전환과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10세경부터 남녀 모두 일을 시작했다. 여자아이들은 집안일을, 남자아이들은 밀파milpa에서 일했다. 아마도 이 어린이들의 치과 인레이는 성인으로의 전환과 유사한 과정을 나타냈을 것이다.

인레이의 배경에 대한 추론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한 명 이상의 개인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세 개 치아 중 한 명은 9~10세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다른 두 명보다 약 한 살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8~9세 아동의 두 앞니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것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인레이 시술 당시의 기술 차이에 기인한다.

그 하악 좌측 측절치mandibular left lateral incisor는 가장 정밀하고 세심하게 인레이 시술되었다. 이 경우 옥 인레이를 위해 만든 그 충치cavity [구멍 뚫은 이빨이라는 맥락 아닌가 싶다]는 법랑질만 관통했다. 반면, 상악 좌측 중절치maxillary left central incisor의 인레이는 더 깊이 파고들어 법랑질을 뚫고 아래 상아질층dentin layer below까지 침투했지만 치수강pulp chamber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기술 차이가 발생한 것은 인레이 시술 장인의 차이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인레이 시술을 받은 사람이 서로 달랐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희귀한 아동 치과 인레이 사례는 마야 문화 관습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맥락을 벗어난 특성 때문에 그 기원과 더 넓은 문화적 의미에 대한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

More information: Marco Ramírez-Salomón et al, Prehispanic Maya dental inlays in teeth with open apices: Implications for age of cultural practic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2025). DOI: 10.1016/j.jasrep.2025.105353 

Journal information: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 2025 Science X Networ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