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듀어런스호 침몰의 진짜 이유—섀클턴은 배의 단점을 알고 있었다!
by Aalto University
인듀어런스Endurance 호—주카 투쿠리Jukka Tuhkuri 연구. 알토 대학교 빙파도 탱크. 사진 제공: 알토 대학교 / Mikko_Raskinen
어니스트 섀클턴 경Sir Ernest Shackleton의 배 인듀어런스Endurance 호는 1915년 11월 남극 해빙에 휩쓸려 침몰했다.
남극 탐험의 영웅적인 시대를 상징하는 이 배는 당시 가장 강력한 극지선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바로 키rudder의 약점으로 인해 배가 침몰한 것이다.
이제 기술적 분석과 일기 및 서신에 대한 연구를 모두 통합한 세계 최초의 연구가 탐험과 섀클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 배는 다른 초기 극지 선박에 비해 구조적 약점이 현저히 심했을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이 유명한 탐험가는 항해를 떠나기 전부터 그 약점을 잘 알고 있었다.
이 연구는 폴라 레코드Polar Record 저널에 게재되었다.

"단순한 구조 분석만으로도 이 배는 결국 침몰의 원인이 된 압축 유빙 조건compressive pack ice conditions에 맞춰 설계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고 알토 대학교 고체역학 교수이자 세계 최고 빙하 연구자 중 한 명인 주카 투쿠리Jukka Tuhkuri는 말한다.
"움직이는 얼음과 압축 하중의 위험, 그리고 그러한 조건에 맞춰 배를 설계하는 방법은 배가 남쪽으로 항해하기 전에 잘 알려져 있었죠. 그래서 섀클턴이 압축 유빙compressive ice에 대한 보강이 되지 않은 배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 듭니다."
극지 탐험가이기도 한 투쿠리는 2022년 난파선을 발견한 팀인 인듀런스22(Endurance22)에 초대된 15명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
난파선의 근본적인 구조 분석이 한 번도 수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란 그는 이 난파선 발견을 계기로 전설 뒤에 숨은 과학적 진실을 밝히고자 하는 열망에 불을 지폈다.
"인듀어런스호는 다른 초기 남극 탐사선들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구조적 결함이 있었다"고 그는 설명한다.
"갑판 빔deck beams과 프레임frames이 약했고, 기관실이 더 길어져 선체의 상당 부분이 심각하게 약화했으며, 선체를 강화할 대각선 빔diagonal beams도 없었습니다.
이는 당시 가장 강력한 극지선이었다는 낭만적인 주장에 반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방향타rudder가 배의 아킬레스건이었다는 단순한 생각도 부정하는 것입니다."
섀클턴의 일기, 개인 서신, 그리고 승무원들과의 다른 연락을 분석한 결과, 연구원은 이 유명한 탐험가가 인듀어런스호를 타고 위험한 남극 빙하 속으로 항해하기로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지 못했다.
"섀클턴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출항 전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배의 약점을 한탄하며, 언제든 이전 배와 인듀어런스호를 교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그는 노르웨이 조선소를 방문했을 때 다른 극지방 선박에 대각선 빔을 권장하기도 했습니다. 그 배는 몇 달 동안 압축 얼음에 갇혀 있었지만 살아남았습니다."
그렇다면 인듀어런스호는 단순히 "불운"한 것일까, 아니면 잘못된 결정이 이 배의 몰락의 진짜 원인일까?
투쿠리는 그런 판단을 내리고 싶어 하지 않다.
그는 이 연구가 섀클턴과 100여 년 전 웨델해까지 그와 함께 항해한 사람들의 영웅적 업적을 폄하하려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이 연구가 인듀어런스호를 바라보는 방식에 새로운 관점을 더해주기를 바란다.
그의 결론이다.
"재정적 압박이나 시간적 제약에 대해서는 추측할 수 있지만, 사실 섀클턴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는 결코 알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적어도 이제 우리는 이야기들을 더욱 구체화할 수 있는 더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얻었습니다."
More information: Tuhkuri J. Why did endurance sink? Polar Record, Polar Record (2025). DOI: 10.1017/S0032247425100090
Provided by Aalto University
남극 탐험 침몰선 인듀어런스
남극 탐험 침몰선 인듀어런스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찾던 난파선 중 하나가 마침내 그 비밀을 드러냈다.남극 웨델해Weddell Sea 혹독한 얼음 속에서 한 세기 동안의 미스터리가 스릴 넘치는 탐험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어니
historylibrary.net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절벽 독수리 둥지 뜯었더니 인간세상 유물이 와르르 (0) | 2025.10.06 |
---|---|
고대 이집트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 무덤 재개관 (0) | 2025.10.06 |
과학의 도움 빌려 자이언트 호박을 키우는 방법 (0) | 2025.10.06 |
파르티아 전사, 정강이에 화살촉 박히고도 살아남아 (0) | 2025.10.05 |
고비 사막을 살찌운 고대 호수[Archaeology News] (1) | 2025.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