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진이 라파누이Rapa Nui라고도 하는 남태평양 절해고도 이스터 섬Easter Island 주요 채석장quarry인 라노 라라쿠Rano Raraku, 즉 라파누이 섬 거의 모든 유명 모아이 석상moai statues을 조각한 곳을 사상 처음으로 가장 세부적으로 디지털로 복원했다.
수만 장 드론 사진으로 제작한 이 고해상도 3D 모델은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고고학적 경관 중 하나인 라노 라라쿠를 전례 없이 생생하게 보여주며, 이미 학자들이 모아이 석상 제작 과정에 대해 알고 있던 바를 새롭게 정의한다.
라파누이는 남태평양의 극심한 고립 지역에 위치하는 까닭에 채석장을 직접 보기가 어렵고, 방문객조차도 가파른 화산 분화구 벽 때문에 라노 라라쿠 내부를 안전하게 탐험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새로운 모델을 사용하면 누구나 현장 위를 디지털 방식으로 "비행"하고, 도보로는 닿을 수 없는 각도에서 개별 조각 영역을 살펴보며, 모아이 장인 정신의 요람을 놀라운 디테일까지 탐험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3년 말 채석장에 산불이 발생하면서 장기적인 피해에 대한 우려와 함께 구체화했다.
몇 달 후 연구원들이 도착했을 때, 지역 사회 단체들은 더 큰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전체 지역을 기록할 수 있는지 팀에 문의했다.
팀은 드론을 사용해 수십 차례 비행을 통해 2만 장이 넘는 사진을 촬영했다.
이 사진들은 나중에 과학적 정밀성을 유지하며 현장을 보존하는 사실적인 3차원 복원으로 처리되었다.

문화적 기록으로서의 가치 외에도, 이 모델은 라파누이 고고학의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모아이 생산은 중앙 권력에 의해 통제되었는가, 아니면 수많은 소규모 자치 집단에 의해 수행되었는가?
채석장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여 각각 다른 생산 특징과 조각 기법을 지닌 30개 뚜렷한 조각 구역을 확인했다.
이러한 다양한 "작업장"은 라파누이 사회가 강력한 중앙 집권적 족장 체제가 아닌 독립적인 친족 기반 공동체로 구성되었음을 시사하는 이전 증거들과 매우 잘 부합한다.
얼굴부터 조각하는 방식부터 블록에 가까운 접근 방식까지 다양한 조각 양식은 각 집단 간 기술적 독립성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성에도 불구하고, 조각상들은 섬 전체에 걸쳐 양식적 일관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문화적 전통이 상명하달식 감독 없이 제작 과정을 이끌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산형 모델은 기념비적 건축에 위계적 정치적 통제가 필요하다는 기존의 가정과는 상반한다.
오히려 대규모 프로젝트가 협력적이고 수평적으로 조직된 네트워크에서 탄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디지털 복원은 고고학에서 3D 모델링이 왜 필수적인지를 보여준다.
겹치는 조각 표면, 험준한 절벽, 그리고 복잡한 제작 과정으로 이 유적은 2차원으로 기록하기가 특히 어렵다.
전통적인 도면 가치는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지형의 전체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포착할 수는 없다.
새로운 모델은 측정 가능한 정확도를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세부 사항을 확대하고, 단면을 추출하며, 조형 기법을 비교하고, 이전에는 불가능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구진은 이 모델을 공개함으로써 유산 보존을 지원하고 라파 누이의 과거 연구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기를 기대한다.
이 접근 방식은 전 세계 다른 고고학적 풍경을 연구하기 위한 청사진 역할도 하며, 정교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고대 사회, 그 조직, 기념비적 업적에 대한 오랜 미스터리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More information: Lipo, C. P., Hunt, T. L., Pakarati, G., Pingel, T., Simmons, N., Heard, K., … Omilanowski, C. (2025). Megalithic statue (moai) production on Rapa Nui (Easter Island, Chile). PloS One, 20(11), e0336251. doi:10.1371/journal.pone.0336251
***
세계고고학은 거석기념물 조직 혹은 등장이 강력한 중앙집권적 권력 통제 없이도 가능함을 곳곳에서 보여준다.
하긴 인더스 문명이 그 대표 아니겠는가?
한국역사학은 너무나 중앙권력에 목이 말라, 그 등장을 발전한 사회지표로 보았으니,
한국고대사의 경우 그 열망을 노래한 이기백 역사학이야말로 독재에 대한 열광이었고 그 호응이었다.
3,500년 된 북미 거대 기념물 파버티 포인트Poverty Point는 족장사회 유산 아냐
https://historylibrary.net/entry/Poverty-Point-1
3,500년 된 북미 거대 기념물 파버티 포인트Poverty Point는 족장사회 유산 아냐
북미에서 가장 상징적인 고고학 유적 중 하나인 파버티 포인트Poverty Point에 대한 획기적인 재해석은 3,500년 전 이곳에 거대한 흙 둔덕massive earthen monuments을 건설한 사람들에 대한 오랜 추측에 의
historylibrary.net
이스터 섬 모아이 석상이 실제로 "걸어서" 움직였다?
https://historylibrary.net/entry/5-114
이스터 섬 모아이 석상이 실제로 "걸어서" 움직였다?
물리학과 고고학으로 가설 입증,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이스터 섬Easter Island 이른바 모아이 석상moai statues은 만들어서 이렇게 움직여서 옮기고는 세웠다는 설이 한동안 지배했다. 하지만 나는 저
historylibrary.net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체코 도심서 중세 작업장과 금박 가죽신발 출토 (1) | 2025.11.28 |
|---|---|
| 3,000년 된 카자흐 후기 청동기시대 베가지-단디바이 무덤 발굴 (1) | 2025.11.28 |
| 175세대에 걸친 만든 북미 암벽화 연대를 측정하다 (0) | 2025.11.28 |
| 미국 체리 농사의 파수꾼 황조롱이 (0) | 2025.11.28 |
| 똑똑한 개일수록 뇌는 작아! (0) | 2025.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