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아드리아해 주변 선사 시대 대규모 사냥 네트워크 구조물 발견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15.
반응형

K01 구조물 정점에 있는 말단 구획(피트 2). (A) 사진측량법을 이용해 얻은 사선 3D 도면으로, 돌리네 기저부 낮은 험준한 암벽 아래에 위치한 구획을 보여준다. (B) 점선으로 표시된 지형 단면의 위치를 나타낸 구획 평면도. (C) 표시된 횡단면을 따라 나타낸 지형 단면으로, 돌리네, 험준한 암벽, 그리고 피트의 구성을 보여준다. 평면도와 단면도는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동일한 축척으로 표시했다. https://doi.org/10.1073/pnas.251190812


아드리아 해 내륙 카르스트 고원Karst Plateau에서 항공 레이저 탐사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건석 거대 구조물들dry-stone megastructures이 발견되었다.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에 발표된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공 레이저 스캐닝(ALS)을 이용하여 약 870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지역에서 K01, K02, K03, K04로 명명한 네 개 거대 구조물이 확인되었다.

이 구조물들은 깔때기 모양 배열funnel-shaped alignments과 숨은 울타리가 특징인데, 이는 붉은사슴red deer이나 다른 발굽동물ungulates과 같은 야생 동물 무리를 유도하고 포획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각 구조물은 길고 낮은 돌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절벽 아래나 돌리네dolines라고 알려진 천연 싱크홀에 자리 잡은 깊고 구덩이 같은 울타리로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견이 선사 시대 유럽에서 이전에는 볼 수 없던 새로운 형태의 대규모 사냥 인프라라고 평가한다.

연구 저자들은 "건축적 규모, 복잡성, 그리고 지형과의 통합성은 높은 수준의 공동체 조직, 경관 지식, 그리고 계획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직접적인 연대 측정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관련 지층학적 분석을 통해 청동기 시대 후기 이전에 버려졌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청동기 시대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구조물 K01의 지형 및 시각적 통합. (A) K01의 3D 투시도로 주변 지형과의 통합을 보여준다. (B–D) 구조물과 주변 경관에 대한 시각적 분석. (B) 구덩이 울타리의 가시성 및 (C) 주변 지형에서의 가시성을 보여주는 유도벽의 가시성. 두 경우 모두 지형은 각 위치에서 지형이 보이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색상으로 표시된다. 밝은(노란색) 영역은 구조물이 매우 잘 보이는 위치를 표시하고 어두운(보라색) 영역은 시각적으로 가려진 영역을 나타낸다. (D) 더 넓은 경관의 시각적 노출 지수로, 주변 여러 유리한 지점에서 볼 때 각 위치가 시각적으로 얼마나 눈에 띄는지 보여준니다. 밝기는 노출 정도를 나타낸다. (E) K01의 주요 정점 울타리인 구덩이 2에 대한 최종 접근로로, 낮은 능선과 지형 균열이 마지막 20m까지 울타리를 어떻게 가리는지 보여준다. https://doi.org/10.1073/pnas.251190812


한 유적에서 발견된 목탄 조각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유적들은 후기 청동기 시대 이전에 버려졌음을 보여주며, 이는 청동기 시대 이전 또는 초기, 또는 중석기 시대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카르스트 고원은 탁 트인 초목이 우세한 지형으로, 장거리 가시성과 가축 관리에 이상적인 환경이었다.

이후 숲이 고원을 회복하면서 이 거대한 건축물들은 점차 묻히고 잊혀졌다.

이 발견은 고고학적 발견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유럽 선사 시대 사회가 노동을 조직하고 환경을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한 심오한 함의를 지닌다.
 

유적 위치. 이 논문에서 논의된 네 개 깔때기 모양 석조 구조물 위치를 보여준다. 이 지도는 주요 경관적 특징을 강조하여 트리에스테 만과 내륙을 연결하는 더 넓은 지형적 통로 내에 설치물들이 위치토록 한다. https://doi.org/10.1073/pnas.251190812


벽이 3.5km가 넘는 가장 큰 구조물을 건설하려면 지속적이고 대규모적인 노력을 감당할 수 있는 사회적으로 조직된 집단이 필요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소규모 수렵 채집 집단과 이후 농업 공동체 사이의 전통적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항공 레이저 스캐닝(AL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네 개 기념비적인 깔때기 모양 구조물(K01~K04) 평면도. 각 패널은 석조 구조물 주변 경관을 보여주며, 안내벽과 구덩이 울타리가 선명하게 보인다. 배경 이미지는 고해상도 ALS 데이터에서 추출한 언덕 기복 모형이다. 구덩이 울타리에는 참조를 위해 번호가 매겨져 있다. https://doi.org/10.1073/pnas.25119081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