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유럽 전역이 곤충 침입 따른 대규모 산림 고사 잇따라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1. 4.
반응형

유럽 ​​전역에서 목재 및 나무껍질 천공충wood- and bark-borers 으로 인한 산림 피해가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해충 침입은 종종 대규모 나무 고사枯死로 이어진다. 사진 제공: 사이먼 블라저


체코 생명과학대학교가 주도하고 WSL이 참여한 국제 연구에 따르면, 유럽 전역에서 곤충에 의한 나무 고사율이 증가하고 있다.

침엽수가 더 큰 타격을 입고, 활엽수 피해는 감소하며, 따뜻하고 건조한 지역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Global Change Biology에 발표된 이 연구 결과는 종 선택 및 기후 적응에 정보를 제공하여 산림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나무를 섭식하는 곤충은 유럽 삼림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은 고르지 않다.

스위스 WSL을 포함한 유럽 17개국 국제 연구팀은 목재를 갉아먹는 곤충이 여러 침엽수 종에 점점 더 많은 피해를 내고 있는 반면, 다양한 나방 종 애벌레에 의한 낙엽은 최근 몇 년 동안 감소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온대 및 아한대 유럽 전역에서 곤충 교란은 따뜻하고 건조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보이는데, 이는 기후 극한 현상이 심화함에 따라 크고 갑작스러운 영향이 발생할 위험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분명한 신호를 보여줍니다. 침엽수가 우점하는 숲conifer-dominated forests은 목재 및 나무껍질 천공 곤충wood- and bark-boring insects, 특히 가문비나무껍질딱정벌레spruce bark beetle에 점점 더 취약해지는 반면, 활엽수 종은 더욱 다양한 곤충 집단으로 인한 피해 수준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체코 프라하 생명과학대학교 본 연구 주저자 토마시 흘라스니Tomáš Hlásny는 말했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 관리, 수종 선택, 기후 변화 적응, 그리고 미래 목재 시장 계획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중요한 연구입니다."

산림 관리 지침

이번 연구 결과는 활엽수종을 우점하는 기후 회복력이 더 강한 수종 구성으로 산림 관리를 전환하는 정책을 뒷받침하며, 국가 간 산림 교란에 대한 더욱 강력하고 상호 운용 가능한 모니터링과 데이터 공유를 지원한다.

흘라스니는 "유럽 산림 전체의 다양한 교란 추세와 불균등한 노출 수준을 반영하는 적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조율된 산림 위험 모니터링, 조화로운 데이터 수집 및 공유, 그리고 관리자들이 실행하고 시장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침이 필요합니다."

연구진은 스위스 산림보호청(Swiss Forest Protection)과 스위스 국립산림목록Swiss National Forest Inventory (WSL)이 주도하는 스위스 산림자원조사국(Swiss National Forest Inventory) 데이터를 포함해 20년 이상(2000년부터 2022년까지) 유럽 15개국 연간 교란 기록을 수집했다.

이 데이터 세트는 50종 곤충에 대한 1,361개 시계열 데이터를 나타낸다.

연구진은 섭식 길드feeding guild (천공충borers 대 엽충defoliators), 숙주 수종 그룹host tree species group (침엽수conifers 대 활엽수broadleaves), 그리고 지리적/기후적 변화도를 기준으로 추세를 분석했다.

또한, 기존 모니터링을 보완하고 향후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조화한 교란 데이터 세트를 도입했다.

More information: Tomáš Hlásny et al, Divergent Trends in Insect Disturbance Across Europe's Temperate and Boreal Forests, Global Change Biology (2025). DOI: 10.1111/gcb.70580 

Journal information: Global Change Biology 
Provided by Swiss Federal Institute for Forest, Snow and Landscape Research 

 

***

 

이 유럽 쪽 산림피해현황을 소개하는 이유는 눈에 띠게 이런 증상을 곳곳에서 심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거니와, 예컨대 이탈리아의 경우 소나무재선충 피해가 극심하다. 

나아가 산림개조 이야기는 국내에서도 산불로 심각히 드러나기 시작했으니, 혹 참고가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