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아이석상7 모아이 석상 본고장 라파누이는 유럽 이전 이미 가뭄으로 생고생 이스터 섬에서 실제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고대 퇴적물이 '생태계 대량학살' 이야기를 다시 쓰다by Columbia Climate School담수원이 강조된 라파누이 섬 고도 지도. 출처: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2025). DOI: 10.1038/s43247-025-02801-4라몬트-도허티 지구 관측소Lamont-Doherty Earth Observatory 연구원들이 주도한 새로운 연구는 1550년 무렵 시작된 수 세기 동안 가뭄이 모아이 석상으로 유명한 남태평양 라파누이Rapa Nui(이스터 섬Easter Island)의 삶을 변화시켰다는 가장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다. 과학자들은 이 섬의 몇 안 되는 담수원 두 곳, 즉 고지대 습지인 라노 아로이Rano A.. 2025. 11. 7. 이스터 섬 모아이 석상이 실제로 "걸어서" 움직였다? 물리학과 고고학으로 가설 입증,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이스터 섬Easter Island 이른바 모아이 석상moai statues은 만들어서 이렇게 움직여서 옮기고는 세웠다는 설이 한동안 지배했다. 하지만 나는 저런 가설이 천부당만부당함을 계속 지적했다. 한데, 기존 저런 주장을 못내 포기하지 못한 일부 실험고고학도가 각종 실험을 근거로 삼아 저런 주장이 맞다는 결과를 내어놓았다. 그것을 따지기 전에 일단 최신 연구성과를 살핀다. 수 세기 동안 연구자들은 이스터 섬으로도 알려진 라파 누이Rapa Nui 섬 고대 주민들이 거대한 모아이 석상을 어떻게 운반했는지에 대한 미스터리에 사로잡혔다.이제 물리학, 3D 모델링, 현장 실험을 활용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이 거대한 석상들이 끌리거나 굴러간 것이 아니라, 독.. 2025. 10. 9. 발굴 한 방으로 허망하게 막 내린 모아이 신화 드넓은 남태평양 절해 고도 이스터 섬 Easter Island 아이콘 모아이 석상 Moai Statues에 생소한 사람들도 이 장면을 기억하는 이는 많으리라. 어케든 만든 그 모아이 석상을 저런 방식으로 옮겼을 것이라 해서 이른바 실험고고학이니 해서 저리했다. 저 모습을 동영상으로 제작한 것도 무수하게 떠돌아 다닌다. 아래 하나를 본다. https://www.youtube.com/watch?v=YpNuh-J5IgE 결론은?개사기였다. 왜?저 모아이 석상 저 짜리몽땅은 파 보니 저게 전부가 아니라 뿌리가 훨씬 깊어 도저히 저런 방식으로 옮길 수 없다는 사실이 폭로되었기 때문이다. 흡사 이빨과 같았다. 겉으로 드러난 이빨은 극히 일부라 그 뿌리는 뽑았을 때 비로소 보인다. 뽑아서 밑둥치까지 봤더니 저랬다.. 2025. 4. 25. 모아이 석상이 언제나 경이로운 까닭 이 모아이 석상 Moai Statues 은 언제나 경외심을 주거니와그 진면목이라 해서 언제나 저 장면을 재방송한다.내가 보지 못한 데 따른 경외심 보다는 그것은 저 뿌랑지 깊이에서 비롯한다.밖으로 노출된 건 대부분 가슴팍 윗부분인데 저 뿌랑지는 마치 이빨과 같아 뿌리가 더 깊다.세우고서 장구한 시간과 함께 토층이 켜켜이 쌓여서일까 아님 본래 저리 깊이 묻어서일까?저 장면은 도대체 언제 누가 뭐 하던 때일까?내친 김에 궁금해서 moai statue excavation 라는 키워느로 구글링하니 저와 같은 장면도 뜬다.그 설명에 이르기를 Petroglyphs, or rock art, are seen on the back of Moai 157, which was re-exposed during the excav.. 2024. 5. 3. 적도 아프리카서 중남미로, 다시 남태평양으로 번진 문화재 반환 약속이나 한 듯이 과거 제국주의와 침략전쟁이 판치던 시절 고향에서 강제 유리流離한 문화유산들이 본래 고향을 찾아갔다는 소식이 그 집중 피해지역인 아프리카와 중남미에서 날아들었으니, 이런 문화재반환 움직임에 우리 또한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으니 이런 운동은 음으로 양으로 상호영향을 주고받기 마련인 까닭이라 우리도 걸핏하면 해외로 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돌려받았다느니 하는 선전과 홍보가 요란하거니와 근자에서만 해도 90년대에 어느 문중 원로가 보관 중이다가 자최도 없이 사라진 조선시대 어느 문중 묘지명이 미국 쪽인가에서 발견돼 본국으로 귀환했다. 그런 작업에 국가기관에서 결정적인 공로를 세웠다 하는 이런 보도자료가 배포되었으니 말이다. 개중 아래 소식이 있으니 베냉, 프랑스에 약탈됐다 130년만에 되찾은 .. 2022. 2. 22. 태평양 절해고도 모아이석상까지 침범한 코로나바이러스 태평양 외딴섬 이스터 덮은 코로나19 공포…"어디까지 퍼졌을지" 2020-03-28 04:09 인구 1만 명 고립된 섬에 감염경로 불명 확진자 이미 지역사회 감염 시작된 듯…섬에 산소호흡기 3대뿐 보도를 신뢰한다면 모든 입도가 금지된 지난 19일 이전에 이미 코로나바이러스가 상륙했다고 봐야 하며, 그런 까닭에 우려가 더 크다. 이미 그새 퍼질대로 퍼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이스터섬에 대해선 접때 술쳐먹었는지 누군가 이 섬을 대표하는 모아이 석상을 들이받은 소식을 전하면서 그 지리적 특징을 고립성에 주목해 소개한 적 있거니와. 원주민과 외래인 각각 절반정도씩 대략 만명이 사는 고립한 동남태평양 절해고도라 칠레까지 거리가 물경 벵기로 다섯시간 거리라 하니 그 절박성은 어떠하겠는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 2020. 3.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