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록스6 고대 DNA가 밝혀낸 오록스의 세계 2024년 10월에 공개된 소식이라, 고대 DNA 연구를 통해 400년 전에 멸종한 거대 야생소 오록스auroch에 관한 궁금증이 많이 풀게 되었다는 요지다.이 연구를 주도한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Trinity College Dublin이 당시 그런 연구 성과 탑재와 더불어 직접 작성 phys.org를 통해 배포한 자료를 살핀다.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유전학자들이 국제 연구팀과 협력하여 시베리아에서 영국에 이르기까지 5만 년 전 뼈에서 채취한 38개 유전체를 분석하여 가장 상징적인 초기 인류 미술 중심이 된 동물 오록스의 선사 시대를 밝혀냈다. 오록스는 수십만 년 동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누볐다. 수많은 동굴 벽에 그림으로 장식된 오록스는 가축화해서 우리에게 근육, 고기, 우유의 풍부.. 2025. 8. 21. 멸종한 거대 소 오록스가 돌아왔다! 역교배로 탄생한 타우록스 덴마크에 방사, 1천300킬로그램 넘어 1627년 사냥에 멸종된 거대 소, 그 조상이 살아나고 있다by Irene Wright현대 소의 거대한 조상이 멸종된 지 수 세기 만에, 덴마크에서 새로운 품종이 야생 서식지 복원을 위해 방생되고 있다. 오록스(학명 Bos primigenius)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1627년 멸종되기 전까지 수십만 년 동안 산 거대 소 한 종이었다. 원래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에 서식했지만, 현재는 훨씬 작은 가축 후손들만 그곳에 살고 있다.8월 20일 Rewilding Europe에 따르면, 헴펠 재단Hempel Foundation은 이 무시무시한 동물의 부활을 바라며 살아있는 소에서 여전히 발견되는 DNA를 이용하여 오록스와 유사한 동물을 번.. 2025. 8. 21. 1627년에야 멸종된 거대 소 오록스 선사 예술에서 이 오록스aurochs[Bos primigenius]라는 동물을 자주 만나는데, 이 분을 이참에 한 번 정리해 보자. 이 오록스는 지금은 멸종된 소과 동물로, 현대 가축의 야생 조상으로 간주된다. 숫놈은 어깨 높이가 최대 180cm(71인치), 암놈은 최대 155cm(61인치)에 달했으며, 홀로세Holocene 시대 가장 큰 초식동물 중 하나였다.크고 길쭉하며 넓은 뿔은 길이 80cm(31인치)에 달했다. 오록스는 플라이스토세 거대동물군Pleistocene megafauna에 속했다. 아마도 아시아에서 진화하여 따뜻한 간빙기 동안 서쪽과 북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한다.가장 오래된 오록스 화석은 중기 플라이스토세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종은 서유럽과 북아프리카에서 인도 아대륙과 동아시아에.. 2025. 5. 18. 오록스 이야기 (3) 사육과 야생 그 야릇한 길항 인류사에서 가축화가 진행된 동물의 운명에는 두 가지 길이 있다. 하나는 원래 야생에서 살던 녀석 중 일부가 사육화 된 후에도여전히 야생에는 그 사촌들이 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돼지를 보자 집돼지와 멧돼지는 지금도 종이 분리되지 않고 동일 종으로 서로 같다. 멧돼지가 사육화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하나는 메소포타미아, 다른 하나는 중국 땅 어딘가에서 사육이 별도로 진행되어 대략 중국의 경우 용산문화기가 되면 완전히 돼지사육이 정착화 한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데 이처럼 돼지가 사육화한 후에도 여전히 야생에는 멧돼지가 남아 있어 이따끔씩 그 멧돼지의 유전형질이 집돼지로 흘러들어오곤 한다. 이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집돼지가 있지만 산에는 여전히 멧돼지도 있다. 이 멧돼지가 집돼지와 교배하여 새끼를 낳는.. 2024. 11. 2. 오록스 이야기 (2) 소라고 다 소라 부를 수는 없다 오록스Aurochs는 일반적으로 부르는 이름으로 학명으로는 Bos primigenius라 부르고 우리말로는 보통 원우라고 부른다. 우리가 흔히 소라고 부르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물소는 아예 속이 달라서 소와는 꽤 거리가 먼 친척이다. 제일 위 계통도를 보면 Bubalina (buffalo)라고 되어 있는 것이 바로 물소인데 인도를 가면 버팔로라고 부르면 대개 물소를 가리킨다. 미국 대륙에 있는 들소 (바이슨)와 동남아에서 보이는 그곳의 토착 소 (반탱, 가우르) 등도 소와 같은 속에 속하는 아주 가까운 친척이고 겉모습도 소 비스무리 하지만 역시 소와는 종이 다르다. 위 그림은 동남아에서 볼 수 있는 반텡banteng이라는 녀석인데 소 같지만 소가 아니다. 동남아에서는 소처럼 사육한다. 일반적.. 2024. 11. 1. 오록스 이야기 (1) 스페인 투우 오록스 논문이 네이쳐에 새로 나왔는데, 국제 컨소시움이 낸 연구다. 요즘은 이렇게 안 하면 DNA관련 논문을 고고학 자료로 내기 힘들다. 이 논문도 수십 명이 저자로 참여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막 뜨고 있는 "아파트" 노래의 작사자와 작곡가를 보면 한 명이 아니라 무려 열 명까지 참여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중에는 실제로 곡을 만드는 데 같이 한 사람도 있겠지만 저작권 문제라던가 이런 부분 때문에 포함된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런 논문이 나가면 왜 저렇게 저자수가 많은가 하면 그 중에는 실험을 한 사람도 있고, 시료만 제공 한 사람 등등 역할 분배가 확실한 편이고 그러다 보니 저런 논문은 공저자가 이 삼십명씩 되는 경우가 흔하다. 고대 DNA 연구는 어느 한 나라에서 하기 점점 어려워진다는.. 2024. 10.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