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697 찍고 나서 물은 말, 내가 뭘 찍었소? 남들이 곡하니 영문도 모르고 따라 곡하고 나선 누가 죽었소? 묻는다 했다. 사진 찍는 놈이 무얼 찍는지 꼭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전시실에 보이기에 저 놈이다 해서 냅다 달라 들었다. 어차피 조명장치도 할 수 없으니 일단 저거다 해서 달라들어 서너 바퀴를 돌며 보고선 찍고 보고선 찍고 했다. 한 시간을 쪼그라 앉아 철퍼덕 앉아 서서 쏴 각종 자세로 혼자서 지랄하니 박물관 직원이 뭐하는 놈인가 하는 표정으로 멍하니 바라본다. 퍼타그러퍼? 하기에 저번처럼 세마이 semi 하고 말았다. 한 시간 딱 저 유물에만 쏟았다. 한데 찍고 그 전시 섹션을 나왔는데 내가 찍은 게 뭔지 내가 모르더라. 설명문 보러 다시 돌아간다. #테살로니키고고학박물관 2024. 11. 14. 테살로니키 아타튀르크 생가 앞에서 아타튀르크 박물관 Μουσείο Ατατούρκ Θεσσαλονίκης https://maps.app.goo.gl/ZLoAMhpDhhVCLkts6 아타튀르크 박물관 · Thessalonikiwww.google.com 지금 나는 그리스 북부 테살로니키 구심 아타튀르크 박물관 앞 카페서 이 글을 쓴다. 잠시 이 박물관 둘러보고 나왔으니 이 박물관은 주그리스튀르키예대사관과 한통속이라 그래서 터키 정부서 관리한다. 입장료는 따로 없고 주변으로 터키 정부군으로 보이는 군인들 경비가 삼엄을 풍긴다. 이곳은 그의 생가다. 그는 오스만투르크가 그리스를 수중하에 둔 그 시절 이곳에서 태어났으니 그의 무덤은 영묘급 단장해서 그 수도 앙카라에 있으니 근현대 독재자 중 거의 유일하게 해당 국가 국민 사이에서 절대적인 추앙을 .. 2024. 11. 14. 상식을 도전한 폼페이 비극 이미 국내 언론에도 보도되었지만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희생된 저러한 희생자들 유전자 분석 결과 종래 통념과는 다른 사실을 알려주기도 하는데 예컨대 부모 자식으로 안 관계가 전연 별개 혈연으로 드러났다는데 더 절박성이 보이지 않는가? 나아가 저걸 보면 뼈가 완전히 삭아없어진 건 아니라는 사실도 드러난다. 암튼 폼페이 계단 아래 옹기종기 모여 아버지와 어머니, 그네들 두 아이라 생각한 한 가족의 비극적인 장면이 이제 의문부호가 달린다. 최근 DNA 분석 결과 “엄마”로 추정되던 이가 사실은 남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저네들 발표를 보면 석고 처리한 깁스 내 뼛조각을 분석했단다. 연구원들은 그 남자가 검은 피부와 검은 머리였음을 발견했는데, 이는 아프리카 유산을 암시하는 것 같다. 놀랍게도.. 2024. 11. 14. 써먹지 못한 작업 부채, 베르기나도 침공한 K팝 덩치가 산 만한 그리스 연수 어느 문화재청 직원이 혹여 단장님 다니시다가 이런 선물 요긴하게 써 먹을 일 있을 것이라면서 그런 용으로 쓰라고 고맙게도 주어서 갖고 다닌다. 문제는 어제 딱 그런 일이 생겼는데, 숙소에 두고 가는 바람에 그럴 기회를 망실하고 말았다는 데 있다. 알렉산드로스 본향 아이가이 터전 베르기나에 polycentric museum of aigai 라는 요상한 2022년 개관 신상 박물관이 있으니, 개중 몇 장면을 골라 소개하면서 나는 고고학 전시의 혁명이라 평했거니와 그 이야기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그 전시 첫 코너가 동전실이라, 그 동전이 아무리 봐도 일괄 기증품인 듯해서 가이드는 아니고 분명 그 현장 배치 안내인 겸 감시원인 마흔 어간 참하게 생긴 아줌마한테 그걸 문의하다가 또 노.. 2024. 11. 14. 하루짜리로 단축한 테살로니키, 그 여러 변죽 조금 있다 나는 베르기기 숙소에서 테살로니키를 향해 출발한다. 그리스에서는 인구 기준 아테네에 이은 제2도시라 하니, 이네들 인구를 • Municipality 319,045 • Urban 802,572 • Metro 1,006,112 라 하는데 인구 기준이 면적에 따라 서구는 저리 다르니, 이건 우리한테 익숙하지 아니한 개념이라 다 집어치고 인구 백만쯤 된다 생각하면 되겠다. 내가 가고자 하는 데는 다 구심에 몰려 있으니, 걸어서 해결 가능한 거리라 문제는 주차난이 아테네보다 극심한 데라 하는데, 그래도 겨울이라 관광철은 아니니 좀 낫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돌아볼 데로 저를 찍었더니 벌써 저기는 오늘 휴무라는 구글 경고가 뜬다. 닫으면 제끼면 그뿐이요 그만큼 다른 데 할애할 여지가 더 생긴 것이다. 내.. 2024. 11. 14. 정사 삼국지 급고각본 by 김영문 * 명대 말년인 사종思宗 숭정崇禎 17년(1644년) 상숙常熟(江蘇省 常熟市)의 장서가 겸 판각상 모진毛晉이 자신의 각방刻坊 급고각汲古閣에서 앞의 ‘서상당본’을 계승한 삼국지 10책册 65권본을 출간했다. 이 판본을 ‘모본毛本’ 또는 ‘급고각본’이라고 부른다. 삼국지 여러 판본 중에서 ‘서상당본’이 선본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는 만큼 이 판본도 ‘서상당본’의 원문을 계승했으나 편집 방식은 거의 새롭게 구성했다. * 우선 표지를 넘기면 바로 “진수 삼국사三國史 모두 65편 총 65권[晉壽三國史凡六十五篇總六十五卷]”이라는 총 제목이 있고 그 뒤에 각각 행을 나누어 “위지 30권, 촉지 15권, 오지 20권[魏志三十卷, 蜀志一十五卷, 吳志二十卷]”이라고 삼국의 부문별 권수를 밝히고, 다음 행 하단에는 이 판본에.. 2024. 11. 14. 정사 삼국지 진인석陳仁錫 본 by 김영문 * 명대 희종熹宗 천계天啓 6년(1626년)에는 국자좨주 진인석陳仁錫이 남감본을 바탕으로 자신이 비주批注를 부가한 새로운 삼국지 40책 65권본을 출간했다. 비주批注는 연의체演義體 소설 판본에 흔히 보이는 형식인데, 원문을 읽고 느낀 소감을 간단한 비평문 형식으로 원문 아래에 간주間註로 붙이거나 해당 원문 상단 빈 곳에 역시 소주小注로 부가하는 방법을 쓴다. * 예를 들자면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이탁오李卓吾 비평이나 모종강毛宗岡 비평 판본이 모두 이런 형식을 쓴다. 흥미롭게도 진인석은 이른 시기에 정사 삼국지에도 이런 형식의 비주를 원문 상단에 부가하여 새로운 양식의 삼국지 판본을 선보였다. 진인석은 삼국지 뿐만 아니라 전국책戰國策 선집인 책어선평(策語選評과 자치통감資治通鑑 축약본인 통감강목(通鑑綱.. 2024. 11. 14. 베르기나 아이가이 일찍 끝내고 완상한 할리아몬 강 절경 과거 경험도 그렇고, 이번에도 새삼 절감했지만, 어느 지역에 입성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간에 보고자 하는 핵심부터 치고 들어가야 한다. 시간 좀 남았다고 넋놓고 여유 부리다간 언제나 막판 돌발변수가 생긴다든가 혹은 여타 이유로 언제나 쫓기는 신세가 되기 마련이다. 어제 입성한 마케도니아 왕국 도읍 아이가이, 현 지명 베르기나는 사흘을 잡았으니, 솔까 볼 만한 데로 점찍은 데는 하루면 충분하지만, 들어오는 날은 어차피 날려버려야 하니 그렇다 치고 본격 답사 첫날이라 할 오늘 이른 아침부터 부산을 떨어 다 해치웠다. 알렉산더 대왕 아버지 무덤인 마케도니아 왕릉 자체를 박물관으로 개조한 아이가이 왕릉군 박물관 Μουσείο Βασιλικών Τάφων Αιγών을 필두로, 마케도니아 왕릉 유적인 아이가이 궁전 .. 2024. 11. 14. 유독 알아달라 징징거리는 고고학 우리 직업 이리 고생하고 이리 고심하며 그래서 그런 직업에 종사하는 우리는 숭고하다 이런 티 못 내서 환장하는 직업군에 고고학이 빠지지 않는데 유독 인문학 중에 고고학만 왜 저리 자랑하지 못해 안달복달할까? 고고학 현장 돌아보면 외국도 똑같은데 특히 그리스 고고학 현장이 더 그래서 그 현장 맨처음 만나는 기념물이 해당 유적 발굴한 고고학도 흉상이라 이걸 국내서도 딱 한 군데 흉내낸 데가 전곡구석기 현장이라 여기엔 공원에다 삼불 흉상을 세워놨다. 연세대 구석기학파는 공주 석장리박물관 안에다가 손보기실을 꾸몄다. 왜 직업군 자랑하지 못해 저리 환장할까? 저건 알아봐달라는 아우성이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몹시도 안쓰럽다. 돌이켜 봐라. 우리 학문 이리 고생한다고 누가 저런 식으로 가는 데마다 자랑질이라던가? 역.. 2024. 11. 13. 설치미술과 만난 고고학, 그 전시의 혁명 자세한 소개는 추후 정리하기로 하고 위선 사진들로만 감상한다. Polycentric Museum of Aigai 라는 데다. 2024. 11. 13. 그리스 자동차 여행[운전] 정리 한달째 지겹도록 천지사방 몰고 다녔으니 이제 정리할 때다. 더 지나면 일상이 되어 문제의식을 소멸한다. 1. 도로사정 물론 일부 고속도로는 사정이 아주 좋다. 남북을 관통하는 1번 고속도로인가는 속도광들한테는 왔다인 데다. 속도제한 표지판이 있기는 하지만 무용지물이며, 지키는 사람 아무도 없다. 한달간 운전하면서 스피드건 단 한 대도 못봤고, 경찰관은 사고현장에서만 보았다. 맘대로 달린다. 기타 주요 간선도로 제외하면 도로 사정은 아주 안 좋다. 어느 정도로? 꼬부랑길 산길은 대책없다. 안전운전 조심운전 방어운전만이 살 길이다. 그리스는 지리가 우리만큼 산이 많지만, 사회간접투자를 어찌 했는지, 도로는 비포장인 데도 제법이고, 꼬부랑길은 우리랑 차원이 달라서 간단히 견주면 김천 수도암 올라가는 길이 수십.. 2024. 11. 13. 너무나 다른 그리스 지리풍토 Google 지도Google 지도에서 지역정보를 검색하고 지도를 살펴보거나 운전경로 정보를 검색합니다.www.google.co.kr 에게해 여러 섬을 돌파하고 아테네 주변과 그 남부를 훑고서 서서히 북상해 지금은 그 북쪽 베르가이라는 데를 정박 중이어니와 이 과정에서 적어도 그리스 내부 지리 풍토를 조금을 보는 안목이 생겼으니 에게해 여러 섬은 위선 메마른 사막지대를 방불하고, 그리하여 숲이라 할 만한 데를 찾기가 매우 드문 반면 그리스 남부에서는 더러 그런 면모가 나타나니, 예컨대 내가 가 본 데로는 스파르타나 올림피아 정도에는 무성한 숲이 보인다. 그렇다고 온 산하가 우리한테 지금 익숙한 그 밀림과 같지는 아니해서 있는 데는 있고 없는 데는 없는 딱 그 정도 수준이다. 그런 까닭에 에게해 여러 섬과 .. 2024. 11. 13. 제국주의 일본과 비파형-세형 동검 문화 일본이 망하지 않고 만주부터 조선, 일본땅을 여전히 통제하고 있었다면고고학적 사실 중 비파형-세형 동검 문화 만큼 정치 이데올로기로 쉽게 이용 가능한 것도 없었을 것이다. 이는 중국문명과 뚜렷이 구분되는 문명의 특징이 있고, 또 요하유역에서 만주일대, 한반도를 거쳐 일본까지 하나의 문명권으로 묶는 것도 가능하다 (아래 그림 참조). 아마 그 이름은 한국청동기문화나 요령청동기 문화 대신 뭐라도 다른 이름을 일본인들은 여기에 붙였겠지만어쨌건 이 문화는 요하유역에서 만주, 조선과 일본을 하나로 묶어 다스리는역사문화적 정당성을 웅변하는데 백프로 활용되었을 것이다. 필자는 일본이 내선일체를 주장하는데 있어 한국청동기문화와 야요이문화의 연결성 만큼 중요한 선전도구는 없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일본이 조선을 점거하고.. 2024. 11. 13. 학생부군신위 그리스 물고기 테라코타 폰카에 새로운 기능으로 반사 막음인가가 있다 들은 듯한데 맞는지 모르겠다. 혹 있다면 알려주기 바란다. 저런 그리스 로마 번질번질 뺀질뺀질 도기는 별도 조명 장치 없이 전시물 찍으면 그 유물 빛이 받는 데는 반드시 반사가 생겨 사진이 영 이상하게 된다. 이건 박물관에서 마음 먹고 조명 조절해 촬영한 것이다. 저 표현 보니 제사상 생각밖에 안 나고 그 머리맡에는 학생부군신위 지방이라도 써놔야 할 듯하다. 이르기를 Circa 400 BC- a red-figure terracotta dish with a fish inside- from Athens- Greece- This artifact is now housed at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라 하는데 기원전 400년 무렵 유물로 .. 2024. 11. 13. 나무바닥에 돌로 쌓은 백제 산성 연못 금산 진산성에서 드러나 근자 충남 금산군이 고고학 발굴과 관련한 보도자료 하나를 배포했으니 군내 진산면 읍내리 680 일원에 소재하는 고대 성곽 진산성 동쪽 건물터와 동문터가 있을 곳으로 추정한 곳 일원을 국가유산청 2024 역사문화권 중요 발굴조사 일환으로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재)가경고고학연구소에 의뢰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바닥은 나무로 짜고, 그 외곽은 돌을 계단식으로 쌓은 사각형 백제시대 연못 흔적으로 찾았다고 한다. 이를 조사단과 의뢰 기관은 집수지集水池라 했지만, 계속 하는 말이지만, 이는 말도 되지 않는 표현이라, 물을 모으는 연못이 말이 되는가? 연못이 그럼 물을 모으지 돌을 모은단 말인가? 암튼 이런 목석木石을 혼합한 구조가 이례적이라 평가하면서 백제시대 문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가치가 있다고 했다. 이.. 2024. 11. 13. 구본준 떠난지 벌써 10년, 그를 생각하며 곡한다 알렉산더로스 대왕 태생지요 그가 마케도니아 왕위에 즉위한 그리스 베르기나Vergina, 옛 이름 아이가이Aigai에 막 입성해 출출한 허기를 달래느라 식당에 들어가 돼지고기를 뜯고 있는데 느닷없는 카톡 전화, 것도 영상통화가 걸려온다. 찍힌 연락처를 보니 언론계 선배요,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재청장을 역임한 정재숙 누나라 이 누님 떠나기 전에는 장도長途라는 글자 적힌 봉투에 100달러짜리 지폐 담아주면서 잘 다녀오라 하면서 돈 떨어지면 언제고 연락하라 신신당부한 정감 많은 사람이라, 또 무슨 장난질을 치려고 영상통화꺼자? 했으니 오늘이 구분준 10주기 되는 날이라, 즐거운 파티를 벌이는 중이라 너스레다. 그는 그런 사람이다. 추모식이라는 표현 굳이 쓰지 않는다. 그러면서 함께 모인 사람들 면면을 보이.. 2024. 11. 12. 베르기나, 사람보다 닭이 많은 알렉산더 본향 안개 낀 메테오라는 차마 눈 뜨고 볼 수는 없어 그대로 다음 행선지 베르기나로 날았으니 두 시간 만에 예약한 여인숙에 여장을 풀고선 읍내 탐방에 나섰으니 물론 현재와 이천삼백년 전 필리포스2세와 알렉산드로스 시절 마케도니왕 왕국 수도랑 지금의 베르기나를 비기겠는가? 다만 그때나 지금이나 이곳은 그리스 기준 변방이기는 마찬가지라 마케도니아가 무슨 희랍인 취급이나 받기나 했던가? 촌구석 뜨내기에 지나지 않았으니 언제나 혁명은 이런 변방이 주도한다. 왜? 절박하니깐..끌어엎지 않음 내가 계속 굴종이니 혁명가가 배태하는 절대의 공간이 바로 이것이다. 이곳을 기반으로 아비가 닦은 거름 무럭무럭 먹고 자라난 알렉산더가 마침내 자신을 얼치기 촌뜨기라 놀리던 아테네 테베를 개박살내고선 이를 발판으로 마침내 종주국 아케.. 2024. 11. 12. well head에 둘러앉은 여인네들 메트 뮤지엄 소장품 중 하나로 칼라풀하기 짝이 없는 고대 조각이다. 저에다가 메트는 Terracotta group of women seated around a well head Greek, Tarentine 라는 명세로 소개한다. well head가 무슨 뜻인가? 글자 그대로는 저 well이 우물인가? 그럼 우물머리? 암튼 어떤 웰헤드 주변에 우루루 몰려 앉은 다섯 여인네를 형상화한다. 타렌티네Tarentine는 출토지인 듯하다. 2nd half of 4th century BCE On view at The Met Fifth Avenue in Gallery 162 제작 시기는 기원전 4세기 2분기쯤으로 본댄다. 대략 기원전 350년에서 조금 빠른 시점으로 보는 듯하다. 그렇담 저건 어디에 써먹던 것일까? .. 2024. 11. 12. 관음보살 같은 미케네 여인 Mycenaean Lady, Acropolis of Mycenae, Greece, 13th century BC. 곧, 그리스 미케네의 아크로폴리스Acropolis of Mycenae를 튀어나온 기원전 13세기 무렵 미케네 여인이라 하는데 이 분을 어디서 뵈었는지 아닌지 아리까리하기만 하다. 이젠 너무 짧은 순간에 하도 많이 보니 뭘 봤는지 안 봤는지도 모르겠고 더구나 실견이 아니라 해도 하도 이런저런 자료라 해서 소개한 것이 많아 더 헷갈린다. 암튼 저 프레스코화는 목걸이를 받는 여신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한다 하는데 저 생생한 묘사가 놀랍기만 하다. 얇은 블라우스 위에 반소매 보디스bodice를 걸친 모습이 하늘하늘하다. 복잡한 헤어스타일과 풍성한 주얼리(목걸이, 팔찌)가 눈길을 끈다는데 현재 소장처는 .. 2024. 11. 12. 아쉽지만 접어야 하는 메테오라 메테오라는 여러 모로 아쉽지만 기상조건에 이 정도로 만족해야겠다. 그런대로 건질 만한 풍광은 그에서도 몇 가지 건지는 한 듯하니, 이제 다음 행선지 베르기나나로 떠야야지 않을까 싶다. 현지시간 9시 반, 쳌아웃까지 시간 반 남았으니, 어차피 따뜻한 호텔방이 여러 모로 나아 그 시간까지 꽉 채우고 나가려 한다. 혹 그새 안개가 좀 걷힌다면 모를까 싶다. 언덕배기 한 바퀴 돌다보니 수도원 수녀원이 꽤 많아 개중에 묻을 닫은 데도 있지만 연 데가 두어 군데 보이고, 개중에 풍광 좋은 데가 있어 그런 데 들러볼까 한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메테오라는 풍광을 맛보려는 데 아닌가 싶다. 그 유명하다는 곳 나도 와 밨어 하는 안심을 주는 그런 데 아닌가 싶다. 물론 하루이틀 잠깐 훓어보는 인상비평에 지나지 않지만 말이.. 2024. 11. 12. 이가 없음 잇몸으로, 그래도 건지는 메테오라 넋놓고 당할 수는 없다. 어떻게 여길 왔는데 안개 타령만 일삼을 수는 없다. 순간 내가 선 지점이 유독 안개가 많은 데 아닌가 싶었다. 산중 도로를 따라 무조건 달렸다. 수동 2단으로. 역시나 조금 산을 내려가고 언덕길을 도니 우중 안개 수도원이 하나 나타난다. 천우신조다. 적지 않은 사람이 다녀갔겠지만 이런 풍광 맛본 사람 몇이나 될 거 같은가? 역시 마음 먹기 나름이다. 빗줄기가 거세진다. 2024. 11. 12. 이전 1 ··· 200 201 202 203 204 205 206 ··· 10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