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395

《신라 seven kings論》(8) 敎의 주체와 왕권의 문제 敎란 무엇인가? 가르친다는 뜻이요 이에서 비롯하여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행정명령, 법원 결정문 따위 전반을 敎라고 했다. 이 경우 敎는 가르친다기 보다는 명령한다에 가깝다. 그래서 敎가 지닌 여러 가지 의미 중에는 사역과 강제를 의미하는 使의 뜻이 내포하는 일이 많다. 이것이 정치 행정무대로 전용해서는 왕이 내리는 명령 전반을 敎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敎를 내리는 주체가 누구냐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신라사, 특히 중고기 신라사에서는 왕권이 확립되었네 아니네 하는 문제가 빈발하고, 이를 주제로 하는 논문만 수십편 수백편에 이른다.  무엇이 문제인가? 근자에 발견된 501년 무렵 포항 중성리비를 필두로 영일 냉수리비, 울진 봉평비 따위에서는 주로 이해관계를 다투는 쟁송 문제와 관련한 신라 조정의 판결.. 2018. 8. 1.
휴가는 아무리 길어도... [중국어 한 마디] 假期再长也短,工作再短也长。 휴가는 아무리 길어도 짧고, 근무는 아무리 짧아도 길다. *** 중문학도 홍승직 선생 페이스북에 오른 글을 쌔비왔다. 2018. 8. 1.
변비 방귀 같은 여름 구름 한시, 계절의 노래(132) 여름 구름(夏雲詩) 송 석봉충(釋奉忠) / 김영문 選譯評 봉우리 같고 불꽃 같고목화 솜 같은 구름 하늘 날며 옅은 그늘난간 앞에 드리우네 대지 위 백성은말라서 죽어가는데 장마 비는 안 만들고헛되이 하늘 덮네 如峰如火復如綿, 飛過微陰落檻前. 大地生靈乾欲死, 不成霖雨謾遮天. 폭염이 내리 쬐는 하늘에 하릴 없이 솟아오른 구름을 보고 누구나 한 번쯤 품었음직한 원망을 읊은 시다. 이 시는 북송(北宋) 승려 혜홍(惠洪)이 지은 『냉재야화(冷齋夜話)』에 실려 전한다. 『냉재야화』는 모두 10권으로 이루어진 시화(詩話)다. 혜홍이 북송 시대 시에 얽힌 에피소드와 시평을 모았다. 시화는 ‘시 이야기’란 뜻인데 북송 구양수(歐陽修)의 『육일시화(六一詩話)』가 최초의 저작이다. 이후 수많은 문.. 2018. 8. 1.
전통시대의 에어컨, 부채 한시, 계절의 노래(131) 대나무 부채 두 수(竹扇二首) 중 첫째 송 왕질(王質) / 김영문 選譯評 죽순 껍질 비단 옷을남김없이 벗고서 대 한 그루 변화하여천 가닥 부채살 됐네 시원한 바람 일으키며세상 더위 받지 않는데 그 누가 맑은 바람이쉴 때가 있다 하나 脫盡龍兒錦繡衣, 一枝變化作千絲. 泠然不受人間暑, 誰道淸風有歇時. 더위를 쫓는 여름 용품 중에서는 부채가 가장 클래식하면서 가장 널리 보급된 인기 품목에 속한다. 휴대하기 편리하고, 바람 일으키기 쉽고, 예술적 품위까지 갖출 수 있다. 선풍기나 에어컨이 좋다 해도 어떻게 내 몸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까? 또 최근 유행하고 있는 손풍기는 배터리로 작동하므로 배터리가 떨어지면 무용지물이 된다. 바람의 질과 양도 변변치 않고 소음도 작지 않다. 하지만.. 2018. 8. 1.
사직단에 숨은 쥐 제(齊) 경공(景公)이 안자(晏子)한테 물었다. “나라를 다스림에 무엇을 근심해야 하오?” 안자가 대답했다. “사직단에 숨어 사는 쥐를 근심해야 합니다.” 경공이 말했다. “그게 무슨 말이오?” 안자가 대답했다. “대저 사직단을 만들 때는 나무를 묶어 벽을 세우고 흙을 바릅니다. 쥐는 그 틈을 파고들어 그곳에 깃들어 삽니다. 연기를 쐬어 쫓아내자니 나무가 탈까 두렵고, 물을 퍼부어 쫓아내자니 벽이 무너질까 두렵습니다. 이에 쥐를 죽일 수 없는 까닭은 사직단이 무너질까 두렵기 때문입니다. 대저 나라에도 사직단의 쥐와 같은 자들이 있사온데 임금 주위에 있는 간신이 그들입니다. 안으로는 임금 곁에서 선악(善惡)을 분별하지 못하게 가로막고 밖으로는 백성들에게 함부로 권력을 휘두릅니다. 그자들을 죽이지 않으면 나.. 2018. 8. 1.
《신라 seven kings論》(7) 大等으로 둔갑한 '기타등등' 냉수리비문 '此七王等'이 결코 '왕 7명들'이 아님을 직감으로 알아챈 고대사학도가 딱 한 사람 있었다. 실명 공개는 생략한다. 그가 저리 생각한 가장 큰 이유는 같은 비문에 등장하는 유사 구절, 유사 표현이었다. 다시 말해 같은 비문에 '前世二王'이며, '此七人'과 표현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저 구절은 왕 7명들이 아님을 직감했다. 하지만 예까지였다. 더 나아갔으니, 이것이 화근이었다. '此七王等'이 '이들 일곱 왕과 대등(大等)', 다시 말해 1명의 갈문왕과 6명의 대등을 지칭한다고 본 것이다. 그가 이런 논거를 내세운 나름의 이유는 있다. 신라 중고기에 이미 관직 혹은 관위로 이름을 드러내는 대등은 그 분파가 제법 있다. 상대등(上大等)이 있는가 하면, 전대등(典大等)이며, 사대등(仕大等) 등이 .. 2018. 7. 31.
해태 등을 타고 흐르는 무더위 뜨겁다. 인근 어느 주택가 공사판에 놓인 수은주를 보니 36.2라는 숫자가 찍힌다.습기가 어제그제보단 덜해 그래도 살 만은 하나 무척이나 볕이 따가와 피부 전체가 오목렌즈 통과한 빛을 쬐는 듯하다.광화문 전면 쌍으로 버틴 해태상은 이 더위를 어찌 버티는가 등줄기를 보니 아직 땀은 흐르지 아니하는데 땀띠 흔적 완연하다. 2018. 7. 30.
《신라 seven kings論》(6) 끊어읽기 오류, 그리고 국어학의 욕망이 빚은 대참사(총결) 아래는 포항 영일 냉수리 신라비 첫 대목이다. 503년(지증왕 4년)에 세운 것으로 간주되며, 포항 중성리비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最古신라비였다.  (1) 斯羅喙夫〇智王乃智王此二王敎用珍而」(2) 麻村節居利爲證尒令其得財敎耳」(3) 癸未年九月廿五日沙喙至都盧葛文」(4) 王〇德智阿干支子宿智居伐干支」(5) 喙尒夫智壹干支只心智居伐干支」(6) 本彼頭腹智干支斯彼暮〇智干」(7) 支此七王等共論敎用前世二王敎」 1989년 이 비가 발견되었을 적에 고대사학계가 흥분했거니와, 이 비문을 근거로 한때, 그러니깐 지증왕 시대에는 신라에 王이 한 명이 아니라 7명이나 떼거리로, 동시에 존재했다는 주장이 통설처럼 군림했다. 이를 근거로 우리가 아는 신라왕은 권위가 세지 못했으며, 여러 王 중에 한명이 지나지 않았다는 주장이 득세했던 것이.. 2018. 7. 29.
《신라 seven kings論》(5) 한문도, 한국어도 숫자 뒤 명사에 복수를 따로 표시하지 않는다 (A) 이 일곱 학생들은 모두 경상도 출신이다 (B) 이들 일곱 학생들은 모두 경상도 출신이다. (C) 이(들) 일곱 학생(혹은 학생 일곱)은 모두 경상도 출신이다. (A)와 (B)가 꼭 틀리다 할 수 없지만, 어쩐지 한국어답지 않다. 이런 표현은 요새 쓰이기 시작했다. 영어 영향이다. 7과 같은 복수를 의미하는 숫자가 수식하는 명사는 영어에 물들기 전 한국어에서는 복수를 의미하는 접미사 '들'을 붙이지 않았다. 이유는 간단하다. 7이라는 숫자에 이미 들이라는 복수가 함유됐기 때문이다.  그에 대한 한문 표현 역시 복수를 따로 표시하지 않는다. 일곱 학생은 그냥 '七學生'이지 결코 '七學生等'이 아니다. '七學生等'이 굳이 말이 되려면, 그 의미는 '일곱 학생과 기타등등'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7 플.. 2018. 7. 29.
《신라 seven kings論》 (4) 한문을 이두로 해석하는 코미디 울진 봉평 신라비나 영일 냉수리 신라비나 모조리 가릴 것 없이 그에 적힌 문장은 한문이다.거기에 신라식 요소가 보인다 해도, 근간은 한문임은 하늘이 두쪽나도 변할 수 없다. 한문에서 'A等'이라고 하면, 말할 것도 없이 'A와 기타등등'이라는 뜻이다. 이건 천자문만 해도 아는 구문론이다.  냉수리비에서 보이는 '此七王等'은 이들 일곱 왕과 기타등등이다. 그렇다면 이것이 왕이 일곱이 아니냐, 그러니 일곱 왕과 기타 등등이 아니냐 하겠지만, 이들 일곱이 누구인지는 그 바로 앞에 나온다. 그들 중 (갈문)王을 冠稱한 이는 오직 한 명 뿐이다. 나머지는 그 아래에 포진한 신하들이다. 그래서 '갈문왕과 기타등등'이라 한 것이다. 같은 냉수리비에서는 이와 똑같은 구문이 무려 세 군데 네 군데나 나온다. 그래 너희 .. 2018. 7. 29.
《신라 seven kings論》 (3) 왕이 일곱? 웃기는 짬뽕 다음과 같은 역사 가정을 해 본다.  옛날 신라라는 왕국 서기 500년에 김태식 대물왕(大物王)과 홍승직 국무총리, 기호철 교육부장관, 신동훈 문화체육관광부 기조실장, 신영문 교육부 대학교육정책과장, 유제욱 문화체육관광부 생활체육과장, 이재호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사무관이 모여 재미교포 미련곰탱이라는 여인이 관계된 재산 분쟁건을 함께 논의한 결과, ‘此七王等’(A)이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 “모든 재산은 미련곰탱이가 갖는다. 이 문제를 다시 거론하면 사지를 찢어죽인다.” 이런 결정 내용은 홍길동 과장, 전우치 사무관, 심청이 사무관, 춘향이 사무관, 어우동 주무관, 배비장 주사, 별주부 주사 ‘此七人’(B)이 현지에 전달하고 비석을 세워 기록한다. 묻는다. ‘此七王等’(A)은 누구인가? 이 문제를 함께 논.. 2018. 7. 29.
《신라 seven kings論》(2) 음경 45센티 대물왕 김태식 다음 두 문장을 보자. (A) 옛날 신라라는 왕국에 김태식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왕은 음경(陰莖) 길이가 45센티미터였다.(B) 옛날 신라라는 왕국에 김태식이라는 대물왕(大物王)이 살았다. 왕은 음경 길이가 45센티미터였다. 먼저 (A)를 본다. 말하는 사람이 '김태식이라는 사람'과 '왕'을 동일시했을 때, 이것이 이상한 문장임을 낌새 챈다. 그것은 바로 '호응'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바로 다음 문장에 김태식을 왕으로 지칭할 조건이 그 앞 문장에는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가 전달되려면, 저 문장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A) 옛날 신라라는 왕국에 김태식이라는 왕이 살았다. 왕은 음경(陰莖) 길이가 45센티미터였다. 반면 (B)에서는 그 바로 앞.. 2018. 7. 29.
《신라 seven kings論》(1) 문법과 호응 문법 혹은 언어학에서 말하는 법칙을 형이상학 혹은 관념에 속하는 그 무엇이라 대단하게 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문법이라는 것이 사람의 인지 능력을 상회하는 일은 결코 없어 그것은 언제나 실생활의 영역을 탈출하지 아니한다.문법 혹은 언어학에서 고상하게 내세우는 개념 중에 '일치' 혹은 '호응(sequence or agreement)'이란 요물이 있다.예컨대 A boy is standing there라 했으면, 그 뒤에서 a boy를 지칭할 대명사는 모름지기 he여야지 she 혹은 it 혹은 they가 될 수 없는 이치가 바로 호응이다. 이것이 무에 대단한 발견이겠는가? 이런 호응은 언어학 혹은 문법을 배우지 않아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생득적(inborn)으로 지니고 태어난 능력이다.물론 그런 능력을 타고난.. 2018. 7. 29.
역사와 문법, 영일 냉수리 신라비와 송산리 6호분 명문 전돌의 경우 예서 문법이란 grammar를 말한다. 전근대 한국사는 절대 다수 기록이 한문이거나 혹은 한자를 빌린 이두류이니 개중 한글문헌이 15세기 이후 일부 있다. 한문은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이라는 말이 상징하듯이 덮어놓고 읽고 쓰기를 강요하나, 엄연히 한문은 문법 체계가 있는 언어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걸 망각하면 평지돌출 파천황 같은 억설이 난무하거니와, 하시何時라도 이를 떠나서 텍스트를 대할 수는 없다. 내가 신라 냉수리비문에 등장하는 '此七王等 차칠왕등'을 '이들 일곱 왕들(these seven kings)'이라고 결코 볼 수 없는 가장 주된 전거로 내세운 논리가 grammar다. 그 grammar 중에서도 호응互應이었다. 무슨 판결에 관여한 일곱 중 왕은 오직 갈문왕 한 명인데 어찌하여 나머지 여.. 2018. 7. 29.
관곡지 연꽃 만나러 갔다가 메모리카드에 멘붕하고 이러다간 올핸 연꽃을 놓칠 듯한 절박감에 새벽에 시흥 관곡지로 날랐다. 사진기 꺼내 두어 장 찍는데, 느낌이 아무래도 이상했다. 사진기 화면에 "카드가 없습니다"는 표시가 뜬다. 열었다. 메모리 카드가 없다. 혹 사진기 가방에 메모리 카드가 있는가 깡그리 뒤졌는데도 없다. 카드가 한두 장도 아닌데, 그 모든 카드가 단 하나도 없다. 얼마 전 나는 여름 휴가로 이태리를 다녀왔다. 따로 외장하드를 준비하긴 했지만, 준비한 모든 메모리 카드를 다 소진하지 않아, 그대로 담아온 것이며, 얼마전 그것을 다운로드한다고 회사로 모조리 가져다 놓은 것이다. 얼마 전에도 이런 황당한 일이 있어, 이후에는 그런대로 메모리 카드를 체크하곤 했던 것이지만, 오늘 새벽은 기분이 좋아서였을까 아니면 다른 전전반측 때문이었는가 이.. 2018. 7. 29.
필담筆談, 말을 대신한 문자의 소통 내장한 사진 정보를 보니, 촬영일자가 2007년 10월7일이라 박힌다. 중국 사천성 아미산 인근 낙산대불樂山大佛이라는 당나라 시대 거대한 강안江岸 불상을 친견하러, 배를 타고 가는 길이다. 강이 아니라 바다처럼 보이나, 이곳은 종국에는 장강長江이라는 거대한 강을 형성하는 지류 중에서도 세 강 줄기가 합쳐지는 지점이라, 벽돌탑이 희미하게 돌출한 저 강안 작은 산 오른편 강안에 전면을 바라보는 낙산대불이 서 있다. 내가 이곳은 아마 세 번인가 찾았다고 기억하거니와, 개중 첫 번째 아닌가 한다. 이때 조유전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과 월간조선 사진부장 출신 퍼타그러퍼 이오봉 선생, 《한국의 고고학》 발행인이자 도서출판 주류성 업주 최병식, 그리고 나를 포함한 네 명이 동행했다. 대불 현장으로 접근하는 배는 이곳 .. 2018. 7. 29.
[노회찬을 애도하며 - 다시 읽어보는 ‘어부의 노래’](홍승직 해설 번역) [노회찬을 애도하며 - 다시 읽어보는 ‘어부의 노래’](홍승직 해설 번역) (漁父辭) 역사와 전통은 있지만 최근 들어 경영진이 무능하여 날로 부실해지기만 하는 ‘갑’ 회사가 있다. 이에 반해 ‘을’ 회사는 후발 주자로서 ‘갑’으로부터 온갖 멸시와 푸대접을 받았지만 유능한 인재를 끌어모으고 탁월한 전략을 세워서 초고속 성장을 거듭하여 결국 ‘갑’을 인수 합병할 작전을 짜게 된다. 여기서 ‘갑’의 중역들은 두 파로 나뉜다. 어차피 무능한 오너가 계속 경영을 맡으면 회사가 망할테니 차라리 ‘을’에게 합병되는 것이 낫다고 보고 은근히 합병을 부추기는 ‘에라파’와 그래도 어떻게든 무능한 경영진이 정신 차리도록 계도하여 회사를 살려보자는 ‘구라파’다. 아무래도 가망이 없어서인지, 언제부터인가 ‘구라파’에 남은 중역.. 2018. 7. 29.
잠못 이루는 열대야 한시, 계절의 노래(130) 여름밤 시원한 곳 찾아(夏夜追凉) 송 양만리 / 김영문 選譯評 밤이 돼도 여전히낮과 같이 더운지라 문 열고 잠깐 동안달빛 속에 서보네 대숲 깊고 빽빽하여풀벌레 우는 곳에서 바람 없어도 시원함이언뜻언뜻 느껴지네 夜熱依然午熱同, 開門小立月明中. 竹深樹密蟲鳴處, 時有微凉不是風. 내 고향 영양은 평지가 해발 200m 이상인 산촌이다. 한여름에도 밤에 선선함이 느껴지는 준고원지대다. 나는 대학에 진학하면서 처음 대구로 나왔다. '대프리카'살이 첫 해 한여름 어느 날 나는 도저히 밤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 그것이 더위 탓인지 전혀 인지하지 못했고 뭔가 답답하고 불쾌한 기분만 느껴졌다. 그것이 열대야 때문임을 다음날 뉴스를 듣고 알았다. 즉 하루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이면 열대야라고 .. 2018. 7. 29.
이대근과 만난 항우 해하가(垓下歌) [秦] 항우(項羽) 力拔山兮氣蓋世時不利兮騅不逝騅不逝兮可奈何虞兮虞兮奈若何 힘은 산도 뽀개고 기운은 세상을 엎네때가 좋지 않고 애마 또한 달리지 않네애마가 달리려 하지 않으니 어쩌리오?우야, 우야, 난 어쩌란 말이더나? 騅(추)는 유방과의 마지막 결전에서 항우가 타던 말 이름이요, 虞(우)란 그의 애첩이다. 전장에 출동했는데, 애첩을 동원하니 질수밖에...남아의 기개를 말할 적이면 언제나 끌어대는 항우의 마지막 말이다. 실제 항우가 저리 노래했는지는 모른다. 그보다 대략 100년 뒤에 태어난 사마천이 그리 적었으니 그렇다 할 수밖에 더 있겠는가? 힘!하기야 내가 필명으로 자주 쓰는 '지도로'로 역시 그 욕망의 표상이다. 역대 신라 왕, 아니 전 세계 제왕을 통털어 아마 음경이 가장 컸던 듯하.. 2018. 7. 28.
절박함이 안내판을 만든다 주로 유럽에 국한다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네들이 자랑하는 유명 관광지 혹은 문화유산 현장을 국내의 그것과 견줄 때 두드러진 특징이 불친절성이다. 예컨대 파리 에펠탑을 보면, 주변 어디에서도 에펠탑을 소개한 안내판을 발견할 수 없으며, 같은 지역 노트르담성당도 그렇고, 루브르박물관도 마찬가지다. 로마? 콜로세움 어디에도 안내판이 없고, 판테옹 역시 마찬가지이며, 베드로성당도 안내판을 구비하지 않았다. 피렌체도 그렇고, 베네치아도 그렇다. 한데 이런 사정이 그리스로 건너 가면 판이하다. 내가 작년 풍찬노숙 막바지 한달을 파리와 로마와 아테네를 주된 목적지로 삼아 돌았거니와, 마지막으로 들른 곳이 아테네였으니, 이곳이야 말할 것도 없이 파르테논 신전이 자리잡은 아크로폴리스를 뺄 수 없거니와, 이를 중심으로 .. 2018. 7. 28.
수국(水菊) 수국은 연꽃과 더불어 여름을 대표하는 꽃이다. 그 폼새가 어쩐지 수척을 연상케 한다. 그래서 나는 언제나 수국을 볼 때마다 애도를 생각한다. 죽어간 생명들의 안식을 기원하며.. 2018.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