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465

Giotto's Campanile Giotto's Campanile or Tower (il Campanile di Giotto in Italian) as part of the complex of Florence Cathedral on the Piazza del Duomo in Florence, ItalySquare in plan with 14.45 metre (47.41 ft) sides, 84.7 metres (277.9 ft) tall with polygonal buttresses at each corner 2018. 2. 11.
부채 같은 신세는 되지 말지니 아래 시는 《옥대신영玉臺新詠》 권1에 작자를 반첩여班婕妤라 해서 수록한 작품이거니와 이 시가 논란을 거듭한다. 시 형태로 보건대 운율을 갖춘 오언시가 되거니와, 반첩여가 활동한 전한 말기에 이런 형태가 나오기란 마른 하늘 날벼락과 같다 해서 작자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안다. 《옥대신영》에는 다음과 같은 서문이 붙었거니와, 옛적에 한(漢)나라 성제(成帝)의 반첩여(班婕妤)가 총애를 잃어 장신궁(長信宮)에서 태후를 공양하게 되니, 이때 부(賦)를 지어 스스로 상처받은 마음을 풀어내고 아울러 원시(怨詩) 1首를 지었다. (昔漢成帝班婕妤失寵,供養於長信宮,乃作賦自傷,並為怨詩一首) 그 전문은 다음과 같다. 新裂齊紈素 제 땅에서 난 비단 새로 자르니鮮潔如霜雪 곱고 깨끗함 눈서리 같네 裁為合歡扇 마름해 합환 부채.. 2018. 2. 11.
삼국사기 지리지는 고려와 고구려를 혼동했다 고려 태조 13년(930), 왕건은 고창(안동) 전투에서 견훤에 대승하면서 승기를 완전히 잡는다. 한데 이 사정을 전하는 기록이 심상치 않다. 이때 왕건은 지금의 경상도 중북부와 영동을 다 손아귀에 넣고 지금의 포항에까지 진출했다. 《삼국사기》 지리지가 정리한 고구려 영토는 얼토당토않다. 영일현, 그러니깐 지금의 경북 포항까지, 어느 때인지는 모르나 고구려 수중에 있었다고 한다. 이는 택도 없는 소리다. 함에도 이런 택도 없는 기록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고자 하는 무모한 시도도 없지는 않다. 그렇다면 대체 무엇인가? 나는 《삼국사기》가 고려와 고구려를 헷갈리는 바람에 저리 잘못 정리했다고 본다. 아래는 《고려사절요》 해당년 기록이다. 봄 정월에 재암성(載巖城․경북 청송 진보) 장군 선필(善弼)이 와서 .. 2018. 2. 11.
이성계의 장송의례와 수릉壽陵 태조실록 권제7, 태조 4년(1395) 3월 4일 정유 첫 번째 기사로 이성계가 자기가 묻힐 묏자리를 둘러본 일이 다음과 같이 실렸다. 상께서 과주(果州)로 거둥하여 수릉(壽陵) 자리를 살폈다. 돌아올 때 도평의사사 주최로 두모포(豆毛浦) 선상(船上)에서 술상을 차리고 여러 신하가 차례로 술잔을 올렸다. 정도전이 나와서 말하기를 “하늘이 성덕(聖德)을 도와 나라를 세웠으매, 신들이 후한 은총을 입고 항상 천만세 향수(享壽)하시기를 바라고 있사온데, 오늘날 능 자리를 물색하오니, 신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옵니다” 하고 흐느껴 눈물 흘리니, 임금이 말했다. “편안한 날에 미리 정하려고 하는 것인데 어찌하여 우는가?” 왕심촌(往尋村) 노상(路上)에 이르러 임금이 말을 달려 노루를 쏘려 했지만, 마부 박부금(朴夫.. 2018. 2. 11.
수릉壽陵, 자기가 만든 자기 무덤 2017년 2월, 경주 傳 황복사지 인근을 발굴한 매장문화재 전문조사기관 성림문화재연구원은 이곳에서 통일신라시대 미완성 왕릉을 발굴했다면서, 그 성격을 가릉(假陵)이라 규정한 조사성과를 공개했다. 보통 제왕이 자기가 죽어 묻힐 곳으로 생전에 미리 만든 무덤을 수릉壽陵이라 하는데, 그런 용어가 싫다 해서 가릉이라 부르기로 했다고 한다. 아마도 현대 한국사회에서 널리 쓰는 가묘假墓라는 말에서 힌트를 얻은 듯한데, 그것이 왕릉에 대한 버전이 가릉일 것이므로, 그 명칭이 가릉이건 가묘건, 임시 무덤을 말한다는 점에서 저 용어 역시 문제는 없지 않다. 분명 조사단에서는 저 무덤이 만들다가 어찌된 이유로 중단하고 폐기한 왕릉이라 해서 저리 이름을 붙였지만, ‘미완성 왕릉’이라 하는 편이 훨씬 그 의미를 명료하게 전.. 2018. 2. 11.
Xuanzang and Xi'an Statue of Xuanzang in front of DaCi'en Temple, Xi'an, Shaanxi Province, China 中國陝西省西安大慈恩寺前玄奘法師像중국 섬서성 서안 대자은사 전면 현장법사상 For more information on Xuanzang, see below https://en.wikipedia.org/wiki/Xuanzang 2018. 2. 11.
우연과 필연, 역사의 분식 내가 기억에만 의지해서 그 정확한 맥락을 옮겼는지는 자신이 없다. 단재 신채호가 우리 앞에 주어진 史라는 것이 얼마나 뜬금없음을 말해주는 일화 중 하나로 든 어떤 역사학도 이야기가 있다. 그에 의하면 이 역사학도가 간밤에 옆집 부부가 싸움하는 소리를 다 듣게 되었다. 다음날 동네에 이 싸움을 둘러싸고 소문이 돌았다. 한데 자기가 간밤에 들은 부부 싸움 내용과 그 소문은 진상이 너무나 달랐다. 이를 보고 그 역사학도는 자기가 쓰던 역사책을 불질러 버렸다. 내가 쓰는 역사라는 게 어쩌면 저 부부 싸움과 같을지 몰랐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가 단재 시대엔 유행이었던 듯하다. 같은 충청도 출신으로, 단재와는 절친이었던 벽초 홍명희 어떤 글에서도 저 이야기를 내가 본 적이 있으니 말이다. 2009년 2월로 기억한다.. 2018. 2. 10.
Maoling Mausoleum, 漢武帝茂陵 한무제 유철의 무릉 소개 Maoling Mausoleum, or Tomb of Emperor Liu Che 劉徹 of Western Han Dynasty *** 현지 안내판 설명이다. 무릉경구 茂陵景區Maoling Mausoleum Scenic Spot茂陵是漢武帝劉徹之陵墓, 西漢帝王陵中规模最大的一座. 由于陵的所在地原屬漢代槐里县之茂乡, 武帝建陵于此, 故称茂陵. 《汉书·武帝纪》载: "建元二年(公元前139年), 初置茂陵邑". 茂陵营建, 共历时五十三年. 据史书记載, 把全国每年赋税收入的三分之一, 花费在陵墓的修建上. 因而陵体高大宏伟, 形为方锥, 形爲方錐, 有“东万金字塔”之称. 《关中记》载: “汉诸陵皆高十二丈, 方一百二十步, 唯茂陵高十四丈, 方一百四十步。” 今实测, 46.5米, 底边东西231米, 南北234米, 宽5.8米, 與記載相符. 陵周围.. 2018. 2. 9.
생존보고 서안西安에서 살아 있음을 보고함 2018. 2. 6.
The Han River The Han River Crossing Yangpyeong, Gyeonggido Province, Korea 漢江二水頭又兩水頭 / 한강 두물머리 2018. 2. 4.
훈민정음과 훈민정음 해례본은 다르다 문화재 분야에서 때마다 빈발하는 주장 중 하나가 국보 1호를 교체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을 교체해야 한다는 사람들이 항용 말하기를 국보 1호가 주는 상징성이 있으므로, 남대문(숭례문)으로는 그 상징성을 충분히 보여줄 수 없으니, 한민족 가장 위대한 발명품인 훈민정음으로 바꾸자고 말한다. 실제 이를 교체하기 위한 움직임이 노도怒濤와도 같아, 문화재청이 그에 끌려들어가 이를 위한 설문조사라는 것을 하기도 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실제 이를 문화재위원회 심의에 부의했다가 무산된 일도 있으니, 내 기억에 그런 근자의 가장 가까운 시도가 유홍준 문화재청장 시대에 있었다. 이들에게 국보 1호니, 보물 1호니, 사적 1호니 하는 것들은 단순한 행정관리번호에 지나지 않는다는 반론도 이제는 필요 없어, 그건 이젠 잘 .. 2018. 2. 4.
친일파라 해서 친일파라 해서 훌륭한 작품 쓰거나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은 천박하기 짝이 없다. 20세기 한국문단에서 시詩로는 미당 서정주를 뛰어넘을 이 없고, 미술, 특히 조각에서는 김경승은 절대지존 언터처블이다. 2018. 2. 3.
본토에서 버림받고 우리가 거둔 세 가지 그것이 태어난 본토에서는 별 볼 일 없는데 한국에 상륙해 득세한 대표로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1. 스모키 노래 living next door to alice 2. 베르나르 베르베르 3. 기 소르망 조선시대에도 이런 비슷한 인식이 있었다. 유몽인柳夢寅(1559~1623) 《어유야담於于野譚》에서 1. 조맹부趙孟頫 글씨2. 십구사략十九史略 3. 고문진보古文眞寶 이 세 가지를 일러 중국에서는 버렸지만 우리만 숭상한다면서 이르기를 "우리나라에서 숭상하는 것이 이처럼 낮고 보잘 것 없으니 중국에 미칠 수 없음은 당연하다" 고 했다. 하지만 나는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선호는 시대와 공간을 따라 다른 법이다. 그것을 쪽팔림이 아니라 특질로 볼 수도 있으리라. 2018. 2. 3.
정다산의 중국환상 "중국은 문명이 발달해 아무리 외진 시골이나 먼 변두리 마을에 살더라도 성인이나 현인이 되기에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우리는 서울 사대문에서 몇 리만 떨어져도 아득한 태고적처럼 원시사회다. 하물며 멀고먼 시골은 어떠하랴? 무릇 사대부 집안은 벼슬길에 오르면 서둘러 산기슭에 셋집을 얻어살면서 선비로서의 마음가짐을 잃지 않아야 한다. 혹시 벼슬에서 물러나더라도 재빨리 서울 근처에 살며 문화의 안목을 떨어뜨리지 말아야 하니 이것이 사대부 집안의 법도다." 유배지에서 다산 정약용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 한 구절이다. 원문을 대조하지 않고 누군가의 번역을 옮긴다. 원문이 없으니 대조가 불가능하다. 다산...요즘 태어났으면 재빨리 미국으로 날랐을듯.. 거기서 원정출산도 했을 듯 왜 중국이었을까? 그것이 단순한 환.. 2018. 2. 3.
예의염치禮義廉恥란? 본능에 대한 타박이며 분출에 대한 억압이요 나체에 대한 가식이다 (2016. 2. 3) 2018. 2. 3.
Tomb of Lee Deokhyeong Tomb of Lee Deokhyeong, Yangpyrong, Gyeonggi Province京畿道楊平郡漢陰李德馨墓 / 경기 양평군 한음 이덕형묘 Lee (1561~1613) was Prime Minister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 of the Jeonseon Dynasty 2018. 2. 3.
The Han River The Han River Crossing Yangpyeong, Gyeonggido Province 京畿道楊平郡漢江二水頭(或云兩水頭) / 경기 양평 두물머리 2018. 2. 3.
문화재로서의 설악산 우리가 흔히 국립공원으로 아는 대부분은 실은 문화재이기도 하다. 정확한 통계치는 없는데 국립공원 구역 전체 40% 정도를 문화재가 침탈한 상황이다.국립공원과 같은 환경자원은 문화재보호법상 명승 혹은 천연기념물 지정 대상이다. 명승名勝..이게 참으로 묘해서 2000년 이전까지는 전국에 걸쳐 명승으로 지정된 문화재는 5군데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유홍준이 문화재청장으로 재직한 시절에 자연유산 바람을 타고서 대대적인 영역 확장을 꾀해 지금은 백 곳을 넘었다. 이에 의해 북한산 역시 중요한 부분은 문화재보호법상 명승이기도 하다. 명승만이 아니라 국립공원 내 사찰 같은 곳은 대부분 문화재보호구역이다. 설악산 역시 상당 구역이 국립공원이면서 천연기념물 보호구역이며 명승이다. 더욱 정확히 말하면 설악산은 전.. 2018. 2. 2.
남편을 몽둥이로 때려치는 마누라 임진왜란 어간을 살다간 조선의 지식인 어우당(於于堂)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 나오는 일화 중 한 토막이다.예로부터 교화하기 어려운 이가 마누라다. 남자 중에 강심장인 사람이라도 몇이나 부인을 두려워 않을 수 있으리오? 옛날에 어떤 장군이 10만 병사를 이끌고 드넓은 들판에서 진을 치고는 동서로 나우어 큰 깃발을 세우니, 하나는 푸른색이고, 다른 하나는 붉은색 깃발이었다. 장군이 이윽고 군사들에게 거듭 말했다.“마누라가 두려운 자는 붉은 깃발 아래 서고, 두렵지 않는 자는 푸른 깃발 아래 서라.”10만 군사가 모두 붉은 깃발 아래 모여 섰는데 유독 한 놈만 푸른 깃발 아래 섰다. 장군이 전령을 시켜 그 이유를 물으니 답이 이랬다.“제 마누라가 항상 저에게 경계하기를 .. 2018. 2. 1.
왕건의 죽음과 이일역월제以日易月制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의하건대, 고려 건국시조 태조 왕건은 서기 943년 음력 5월 29일, 양력 7월 4일에 사망한다. 이틀 뒤에 발상發喪하고, 그 다음날 그의 시신은 빈전殯殿에 간다. 빈전은 궁궐 정전 혹은 편전이었을 상정전詳政殿 서쪽 뜰에다가 마련했다. 빈殯을 마치고 그를 장사한 때가 같은 해 음력 6월 26일, 양력 7월 30일이다. 그의 무덤은 현릉顯陵이라 했다. 이로써 본다면 왕건은 죽은 시점을 기준으로 정확히 27일 만에 묻혔다. 나아가 왕건 기제忌祭는 매년 6월 1일이다.  이런 상장喪葬제도를 보건대, 고려는 이미 건국과 더불어 왕에 대해서는 한 달을 하루로 쳐서 27일간 상장 의례를 치렀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상장제를 이일역월제以日易月制라 한다. 말 그대로 하루를 한 달로 친다는.. 2018. 1. 31.
꿩 대신 닭 한반도에 꿩이 많을까 아님 원앙이 많을까? 나는 원앙이 더 많다고 본다. 원앙이 이쁜가 꿩, 특히 숫꿩인 장끼가 이쁜가? 나는 후자가 낫다고 본다. 고기는 어느 쪽이 나을까? 원앙은 먹어보지 않아 모르겠지만, 꿩은 죽여준다. 오죽하면 꿩 대신이 닭이라 했을까? 설날 떡국에는 꿩기미를 쓰야는 법이다. 하지만 꿩은 귀한 까닭에 그와 비슷한 품종으로 흔한 닭을 썼다. 그래서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나왔다. 여러 모로 꿩은 원앙보다 귀하다. 그럼에도 꿩은 그저그런 날짐승이요 원앙은 천연기념물이라 해서 문화재로 대접받는다. 왜 이리 된 것인가? 뭔가 잘못 아닌가 말이다. 2018.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