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395

왕선겸(王先謙)과 《한서보주漢書補注》 왕선겸(王先謙. 1842~1917)은 字가 익오益吾, 號는 규원葵園이며, 호남湖南 장사長沙 출신으로 근대 중국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로 흔히 규원선생葵園先生이라 부른다. 18세에 補廩膳生했다. 동치同治 4년(1865)에 진사進士가 되고 국사관편수國史館編修、한림원시독翰林院侍讀、국자감좨주國子監祭酒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고금군서古今群書를 박람博覽하고 치학治學은 고거考據를 중시했다. 광서光緒 시대에 강소학정江蘇學政이 되었지만 銀 1천량을 희사해 남청서원南菁書院을 세웠다. 光緒 15年(1889)에 사직하고 고향 長沙로 돌아가 정착해 악록서원嶽麓書院 산장山長으로 장장 10년을 지냈다. 무술변법운동戊戌變法運動에 강유위康有爲와 양계초梁啟超의 급진사상을 반대했다. 光緒 26年(1900), 당재상唐才常이 자립하여 군사를 .. 2018. 3. 8.
백제삼서(百濟三書. 百済三書) 《일본서기日本書紀》가 인용한 백제계 관련 사서로 짐작되는 《백제기百済記》 《백제신찬百済新撰》 《백제본기百済本記》 세 가지를 합칭하는 말이다. 이들 삼서가 《日本書紀》에서는 신공황후기神功皇后紀 이래 흠명천황기欽明天皇紀에 인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 삼서가 무엇인지를 두고 각종 주장이 난무하거니와, 세 가지가 각기 다른 사서인지 아닌지도 불분명하다. 그것이 《日本書紀》에 인용된 양상을 차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神功皇后)卌七年〔367〕夏四月(中略)因以千熊長彦爲使者, 當如所願. 千熊長彦者, 分明不知其姓人. 一云, 武蔵國人, 今是額田部槻本首等之始祖也. 【百濟記云職麻那々加比跪者, 蓋是歟也.】於是, 遣千熊長彦于新羅, 責以濫百濟之獻物.○ (神功皇后)六十二年〔382〕, 新羅不朝. 即年, 遣襲津彦擊新羅. 【百.. 2018. 3. 8.
민속학자 김태곤(金泰坤, 1936~1996) 민속학자, 호(號) 남강(南剛)【약력】ㅇ 1936년 4월 25일(음)충청남도 서산 출생ㅇ 1963년국학대학(現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ㅇ 1966년경희대학교 문학석사 학위취득ㅇ 1977년동경교육대학 문학박사 학위취득ㅇ 1996년 1월 25일 작고【경력】ㅇ 1970~1996년 문화체육부 문화재전문위원ㅇ 1971~1978년 원광대학교 교수ㅇ 1978~1996년 경희대학교 교수,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장ㅇ 1992~1996년 경희대학교중앙박물관장ㅇ 1991~1996년 국제샤머니즘학회장, 한국민속학회장【연구업적】[저서]ㅇ 󰡔황천무가연구󰡕(1966), 창우사ㅇ 󰡔한국무속연구󰡕(1981), 집문당ㅇ 󰡔한국민간신앙연구󰡕(1983), 집문당 등 총 34권[논문]ㅇ 「한국신당연구」(1965), 󰡔국어국문학󰡕 29,.. 2018. 3. 8.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 신라 제9대 벌휴니사금 장자이자 태자. 부왕보다 일찍 죽었지만, 나중에 그의 아들 첨해가 왕위를 잇자 저 이름으로 갈문왕에 추봉됐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첨해니사금 : 원년(247) 가을 7월에 시조묘에 배알하고 아버지 골정(骨正)을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으로 봉하였다. ☞골정(骨正) 2018. 3. 8.
련충(連忠)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원년(230) 련충(連忠)을 이찬으로 삼고 군무와 국정을 맡겼다. 가을 7월에 시조묘에 배알하였다. 2018. 3. 8.
연충(連忠) ☞련충(連忠) 2018. 3. 8.
골정(骨正)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즉위년 :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벌휴왕 손자로 어머니는 내례부인(內禮夫人)이고 왕비는 석씨이며 조분왕의 누이 동생이다. 용모가 웅장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앞 왕의 태자 골정(骨正)과 둘째 아들 이매(伊買)는 먼저 죽었고 맏손자[大孫]는 아직 어렸기에 이매의 아들을 왕위에 세웠으니, 이가 곧 나해니사금이다. 이해 정월부터 4월까지 비가 오지 않다가 왕이 즉위하는 날에 큰 비가 내렸으므로 백성들이 기뻐서 경축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즉위년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 2018. 3. 8.
아음부(阿音夫) 골벌국 마지막 왕으로, 조분니사금 7년, 신라에 귀부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7년(236) 봄 2월에 골벌국왕(骨伐國王) 아음부(阿音夫)가 무리를 이끌고 와서 항복하였으므로 집과 토지를 주어 편히 살게 하고 그 땅을 군으로 삼았다. 2018. 3. 8.
아이혜(阿爾兮) 나해왕의 딸이자 조분니사금 왕비이기도 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15대 기림니질금(基臨尼叱今)은 기립왕(基立王)이라도고 한다. 석씨다. 제분왕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이다. 2018. 3. 8.
옥모(玉帽) 구도갈문왕의 딸로, 벌휴니사금의 왕자 골정과의 사이에서 조분니사금을 낳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2018. 3. 8.
홀정(忽淨) 벌휴니사금 아들로, 옥모부인과의 사이에서 조분니사금을 낳았다. 석씨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2018. 3. 8.
제귀(諸貴)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조분니사금 : 조분니사금(助賁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석씨로, 벌휴니사금 손자이고 아버지는 골정(骨正)갈문왕이다. 어머니는 김씨 옥모부인(玉帽夫人)이니 구도(仇道) 갈문왕 딸이고, 왕비는 아이혜부인(阿爾兮夫人)으로 나해왕 딸이다. ☞조분니사금 2018. 3. 8.
강훤(康萱)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32년(227) 3월에 파진찬 강훤(康萱)을 이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련진(連珍)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27년(222)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우두주(牛頭州)에 침입하였으므로 이벌찬 충훤(忠萱)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막았는데, 웅곡(熊谷)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여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으므로 진주(鎭主)로 좌천시키고 련진(連珍)을 이벌찬으로 삼아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9년(224) 가을 7월에 이벌찬 련진이 봉산(烽山) 아래에서 백제와 싸워 그들을 깨뜨리고 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8월에 봉산성(烽山城)을 쌓았다.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구수왕 : 11년(224) 가을 7월에 신라의 일길찬(一吉) 련진(連珍)이 쳐들어 왔다. 우리 군사가 봉산(烽山) 아래에서 맞아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2018. 3. 8.
연진(連珍) ☞련진(連珍) 2018. 3. 8.
윤종(允宗) 나해왕 16년(211) 이찬이 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6년(211) 봄 정월에 훤견(萱堅)을 이찬으로 삼고 윤종(允宗)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훤견(萱堅) 나해왕 16년(211) 일길찬이 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6년(211) 봄 정월에 훤견(萱堅)을 이찬으로 삼고 윤종(允宗)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리음(利音) ?~220. 신라 나해니사금 아들로 관료이자 장군. 동왕 12년(207) 이벌찬이 되고 이듬해 변경을 침범한 왜군을 막았으며, 14년(209) 포상팔국의 난을 진압했다. 19년(214) 서쪽 변경을 침략한 백제군을 토벌하고 사현성을 빼았다가 25년(220) 3월에 사망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2년(207) 봄 정월에 왕자 리음(利音)을 이벌찬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의 군사 일을 겸하여 맡아보게 했다. 13년(208)…여름 4월에 왜인이 변경을 침범하므로 이벌찬 이음을 보내 군사를 거느리고 막게 했다. 14년(209) 가을 7월에 포상(浦上)의 여덟 나라가 가라(加羅)를 침범하므로 가라 왕자가 와서 구원을 청했다. 왕이 태자 우로(于老)와 이벌찬 리음(利音)에게 .. 2018. 3. 8.
이음(利音) ☞리음(利音) 2018. 3. 8.
진충(眞忠) 나해니사금 10년(205), 일길찬으로 국정에 참여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0년(205) 봄 2월에 진충(眞忠)을 일벌찬으로 삼아 나라의 정치에 참여시켰다. 2018. 3. 8.
이매(伊買) 신라 제9대 벌휴니사금 둘째아들이며, 골정 태자 동생이다. 내례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 나해니사금을 두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벌휴왕 손자로 어머니는 내례부인(內禮夫人)이고 왕비는 석씨이며 조분왕의 누이 동생이다. 용모가 웅장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앞 왕의 태자 골정(骨正)과 둘째 아들 이매(伊買)는 먼저 죽었고 맏손자[大孫]는 아직 어렸기에 이매의 아들을 왕위에 세웠으니, 이가 곧 나해니사금이다. 2018.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