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494 옥주산인 김옥진의 모란 그림 1976년 어느 날, 옥주산인沃州山人 김옥진金玉振(1928~2017)이 붓을 들어 결혼하는 선남선녀를 위해 모란을 그려주었다. 이 그림을 받은 부부는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았을까. 2020년, 세상은 이 단순한 소망마저도 사람들에게 거의 허락하지 않을 만큼 각박하기만 하다. 그래도 그 소망을 기원했던 모란꽃은 지금껏 흐드러지게 피어 남았다. (2020. 8. 28) *** 편집자注 *** 김옥진이 쓴 호 옥주산인沃州山人은 글자 그대로는 옥주라는 땅 산 사람이란 뜻이거니와, 예서 옥주沃州는 전라도 진도를 말한다. 김옥진은 진도 출신이라 출신지를 따서 이렇게 호했다. 줄여서 그냥 옥산沃山이라고도 했고, 옥주도인沃州道人 혹은 옥도인沃道人이라고도 했다. 뭐 쓰는 사람 마음 아니겠는가? 2022. 9. 1. 도장을 망실한 안중식, 변호사 개업한 변영만 - 1909년 대한민보 광고 1. 1909년 어느 날, 심전(안중식安中植) 선생이 물소뿔로 판 도장을 잃어버렸다. 누가 주워다가 어떤 그림에 찍고 "이거 심전 그림이오."하고 비싸게 팔았을는지도. 2. 1909년 어느 날, 산강재(변영만卞榮晩) 선생이 변호사 개업을 했다. 손님이 많았을지 적었을지. 2022. 9. 1. 권진규, 부처를 깎다 이 '불상'은 몸뚱이는 고려 철불이되 머리통은 금동미륵반가상의 그것이다. 이를 두고 작가 권진규(1922-1973)가 불교미술을 잘 몰랐다는 둥 그런 얘기를 하는 이도 있다고 들었다. 글쎄, 대 조각가 권진규뿐만 아니라 근대 일본 미술학교의 교습과정을 무시하는 발언 아닐까 한다. 권진규가 아무 이유 없이 그냥 저렇게 조각을 할 분인가? 돌아가신 분은 말이 없으니 본래의 의도는 알 길이 없지만, 추측은 해볼 수 있겠다. 석가모니가 설산에서 수행할 때, 파순이라는 마왕이 온갖 방해를 일삼았다(아마 옆에서 파를 썰기도 하지 않았을까 싶은데). 그 파순이의 항복을 받는 장면에서, 석가모니가 오른손 검지로 땅을 가리키자 땅의 신이 나타나 그것을 증명했다 한다. 다시 말해 석가모니가 성취한 정각正覺을 땅의 신이 증.. 2022. 8. 25. 김호진 계용묵의 제주 족적 광복 후 한동안 제주의 거의 유일한 신문사였던 '제주신보' 사옥은 지금의 칠성로 거리에 있었습니다. 그 시절 분위기가 그러했듯, 제주신보도 진보적 색채가 강했지요. 그 신문사 편집국장 이야기 하나가 전설처럼 전해집니다. 4.3이 한창 불붙던 시기, 편집국장의 친구가 지나가다 제주신보사에 들렀습니다. 그런데 그 국장은 신문사 인쇄기로 사령관 이덕구 명의의 삐라를 찍어내고 있었다는군요. 서북청년단 사무실로부터 60걸음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았음에도요. 대경실색한 친구가 만류했음에도, 그는 "산군들의 부탁이야"라며 태연하게 인쇄를 계속했다고 합니다. 그 편집국장은 뒷날 계엄사령부에 잡혀 수용소- '농업학교 천막'에 들어왔다가 고문 끝에 총살당합니다. 그의 이름은 김호진金昊辰이었습니다. 그곳으로부터 다시 100여.. 2022. 8. 25. 집 떠나면 개고생, 일본의 조선 표류민 대접 1893년 겨울 배 타고 한양 가다가 오키나와까지 떠내려간 어떤 분에 따르면, 오키나와 부속 도서에선 대접이 후하다가 오키나와 본섬에선 '국법'으로 풀떼기만 주더니(통역관을 구슬러 다시 진수성찬을 받았지만서도) 가고시마로 이송되서는 대접이 영 시원찮았다고 한다. 2022. 8. 25.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친필(?) 국사편찬위원회에 유리건판으로 남아있는 자료 중 하나다. 거기 붙은 설명은 다음과 같다. "秀才 朱澤民이 見示한 美人 병풍의 시에 대하여 益齋 李齊賢(1287∼1367)이 次韻한 4수." 에서는 이 시를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주택민이라는 이는 에 딱 한 번 등장하는데, 고소姑蘇 사람이고 익재를 위해서 연산효설도燕山曉雪圖를 그려주었다고 한다. 그나저나 익재가 썼다는 글씨를 처음 본다. 1930년대에는 그 유명한 나진옥(羅振玉, 1866~1940)이 갖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어디에서 누가 아껴주고 있을는지? 2022. 8. 15.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8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