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56 [박물관 연혁과 현황]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 이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은 운영 주체가 광역자지단체이자, 2006년 이후에는 자치도라는 이름이 부여된 제주특별자치도가 직접 운영하는 공립박물관이다. 그 연원은 앞선 개관 40주년을 맞는다는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에서 잠깐 논급했듯이 공식 출범은 1984년이지만, 그 직접 발단 연원은 박정희 대통령 직접 건립 지시에 의한 제주민속관을 삼는다. 제주도에 관한 관심이 많았던 박정희는 제주에 민속관을 지으라 했고, 그가 1979년 10월 26일 시해되기 전에 이미 그 밑그리림이 완성된 상태였다. 박정희가 그린 그림은 민속 테마였다가 나중에 자연사를 가미해 지금과 같은 이름으로 등장을 알린다. 제주도에서는 제1호 공립박물관이며, 전국에서는 제6호 공립박물관이다. 그 등장 시점이 빠른 셈이고, 나아가 언뜻 화합.. 2024. 5. 25. 신석기 거석기념물, 아일랜드의 자부심 아일랜드 신석기 이 거석 기념물은 내가 여러 번 소개했다. 현장 보면 입이 떡 벌어진다. 아일랜드 미트 카운티 County Meath 에 위치한 선사시대 기념물인 뉴그레인지 Newgrange 다. 유럽에서 가장 상징적인 신석기 시대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힌다. 이 통로 갖춤 무덤 passage tomb (이른바 횡혈식 석실봉토분)은 만든 시기가 기원전 3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톤헨지 Stonehenge 나 기자 대피라미드 Great Pyramids of Giza 보다 오래되었다고 아일랜드에선 언제나 선전한다. 아쉬운 점은 그리 말하나 유명세가 밀린다는 사실이다. 지름 약 85m인 커다란 원형 봉분 mound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한 조각으로 장식한 호석護石 kerbstones으로 둘러싸여 .. 2024. 5. 24. 세상 출현 이전 마추픽추 페루 마추픽추 Machu Picchu 옛날 발굴 사진들 이 잉카 정착지는 총 3만2천500헥타르 면적을 차지하며 농업 지역과 도시 지역 크게 두 가지 구역으로 나뉜다. 이 사진들을 통해 지금은 너무나 유명한 이 유적이 세상에 노출되기 전에는 수세기 동안 울창한 초목에 숨어 있었음을 안다. 2024. 5. 24. 히타이트 수도 하투샤 대성전의 수수께끼 푸른 돌 Hattusa: The sacred Green stone found in the Great Temple.히타이트 Hittite 제국 수도였던 터키 하투사 Hattusa 에 있는 수수께끼 같은 대성전 Great Temple 에메랄드 녹색 돌 Green Stone. 그 역사와 기원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종교적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신염 돌 nephritis stone 이다. 이 돌은 많은 특징이 있다. 중국에서는 보석 디자인에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이런 돌이 이 지역에서 나기는 한다는데 덩치가 너무 크다.이 돌이 한 조각으로 오늘날까지 살아남았고 이 지역 다른 돌과 크게 다르다는 사실이 많은 관심을 끌었다. 지역 주민들은 오랫동안 그것을 "소원의 돌 wishing stone"이라 불렀다.이 대성전은 .. 2024. 5. 21. 처자식이 뭐라고, 얻어터지고선 왜 사나 묻는 The Boxer 이 분이야 나 또한 현장서 두어 번 실견 알현하고 여러 번 소개했지마는 요약식으로 새삼 정리한다. The Boxer at Rest, 곧 쉼하는 복서 정도로 타이틀 달겠거니와 • 1885년 로마에서 발굴되었으며 현재 로마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 동상은 권투선수가 무릎에 팔을 얹고 앉은 모습을 묘사하며, 머리는 오른쪽으로 돌리고 입을 벌린 채 약간 치켜들었다. • 권투 장갑이요 가죽 장갑 일종인 "카이스투스 caestus"를 제외하고는 벌거벗은 상태다. • 고대 세계에서 살아남은 청동 조각 중 가장 훌륭한 예 중 하나다. • 제작시기는 기원전 약 330~50년 사이로 좁혀지나 확정된 연대는 없다. • 얼굴은 멍과 상처가 보이며 입술은 얻터져서 생긴 듯 움푹 패여 있다. • 부러진 코와 콜리플라.. 2024. 5. 20. 아리숑숑 모자이크 폼페이 저택 하도 짧은 순간 한꺼번에 보니 내가 봤는지 안 봤는지도 헷갈리는 폼페이 유적 한 장면이라이르기를 The House of Puquius Procolus (2nd Century BC), Pompeii.라 하는데 푸퀴유스 프로콜루스 집? 정도로 옮기면 될 듯 하지만 모르겠다.그러고 보니 생각이 나는 듯도 하지만 글타고 확신은 하지 못한다.주마간산 휙 지날 뿐이니 그렇다고 내가 저짝을 상주할 수는 없잖은가?바닥 모자이크가 인상적이다. 저 저택에 대해서는 아래 상세한 소개가 있으니 참고 바란다. 집의 첫 번째 레이아웃(외부에서 볼 수 있음)은 입구 입방체 대문자들 cubic capitals 이 지시하듯이 삼니움 시대 Samnite period (기원전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바닥에는 열린 문 앞에 웅크린 .. 2024. 5. 20. 이전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3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