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72

고대이집트 건축의 금자탑 아부심벨 아부 심벨 사원 Abu Simbel Temple 은 수단과의 국경 근처에 위치한 이집트의 고대 사원 단지다. 람세스 2세 Ramses II 가 카데시 전투 Battle of Kadesh 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기원전 13세기에 지었다. 신전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입구에 있는 람세스 2세의 거대한 조각상 4개다. 이 사원은 사실 1960년대 아스완 하이 댐 Aswan High Dam 의 물에 잠기는 것을 막기 위해 이전되었다. 2024. 6. 4.
인도의 만리장성? 쿰발가르 성벽 Kumbhalgarh Fort Kumbhalgarh 는 위선 인도 현지 발음이 궁금한데, 구글에서 두들기니 kuhm baal gaar 라 발음표시하고 컴발가르 비슷하게 나한테는 들리지만, 쿰발가르 정도로 표기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저 말은 글자 그대로는 "쿰발 요새 혹은 쿰발 성벽 Kumbhal fort" 정도라는데, 그렇다면 가르 garh 라는 말이 성벽 혹은 요새에 해당하는 뜻임을 알겠다.흔히 인도의 만리장성 the Great Wall of India 이라 일컫는다는데, 그러면 인도는 존심 상하지 않나? 왜 만리장성에 비긴단 말인가? 그래, 만리장성이 월드와이드 페이머스 world wide famous 라 그쪽에 기대어 장사 한 번 해 보겠다는 심산이면야 이해하겠다. 인도 라자스탄 Rajasthan 주 라즈사만드 Rajsaman.. 2024. 6. 4.
몽골 고비 사막의 거북이 하우스 몽골 고비 사막에 있는 거북이 모양 집 세트장이 아니랜다. 몽골 정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는 이 구조물은 높이가 24미터가 넘는다는데 왜 거북인가? 장수를 상징한다고. 2024. 6. 3.
대서양을 바라보는 삼천 년 전 아일랜드 청동기시대 해안 요새 당연히 못 가 본 곳이다. 내가 일전에 아일랜드 일주에 나설 땐 내내 풍랑이 극심해 바다는 들어갈 엄두를 낼 수 없었다. 아일랜드 아란 제도 Aran Islands 중 가장 큰 이니스 모르 Inis Mór 섬에 있는 선사시대 요새인 던 아옹하사 Dún Aonghasa 라는 데라 한다. 기원전 11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대서양이 내려다보이는 절벽 위에 들어섰다. 이 요새는 동심원 반원형 벽과 방어 구조를 갖추고 있어 정교한 청동기 시대 건축을 보여준다. 누가 만들었는지, 변천 과정은 어떤지 등등은 다 베일에 가려져 있다고. 아일랜드 선사시대는 볼 수록 희한하다. 2024. 6. 3.
아프리칸 무어인, 백제 고구려 왕조보다 긴 시간 스페인의 주인 북아프리카 출신 아프리카 무어인들African Moors 은 서기 711년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하고선 1492년까지 물경 781년간이나 지금의 스페인 땅 주인이었다.백제 고구려 왕조 존속 기간 보다 긴 시간이었다.더 놀랍게도 그 시간은 이후 그들이 물러난 시간보다 더 길다!그들이 물러난 자리를 도로 찻은 기독교 문화가 존속한 시간은 고작 오백년 남짓하다.이들은 모로코를 지나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스페인 이베리아 반도로 진격했다.아프리카 무어인들은 스페인에 대학과 모스크를 지었다. 그들은 또한 수학, 의학, 화학, 철학, 천문학, 식물학, 석조 및 역사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겼다.알람브라 궁전은 그네들 유산이다. 2024. 6. 3.
폼페이 희생자들은 석고로 재현한 모습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에 희생당한 사람들 아비규환을 증언하는 실물 증거로 흔히 첨부 사진 위쪽 같은 장면이 제출되거니와 저걸 보고서는 많은 이가 인골이 저런 식으로 발견된다 생각하기 십상인데, 여러 번 말했듯이 저건 실은 석고상이며, 그 현장에서도 물론 인골이 출토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화산재에 거의 다 삭아 없어졌다. 대신 인골은 그 사람이 있던 자리는 화산재 퇴적 더미에 구멍으로 남게 되는데, 바로 이 점을 이용해 사람이 있던 자리에다가 발굴조사자들이 석고를 쏟아부어 버리면 그 빈 속만 꽉 차게 된다. 저 방식이 이미 19세기인가 개발됐다. 간단히 말해 주물 기법을 응용해 석고를 부어서 재현한 것들이 우리가 폼페이 희생자들이라 생각하는 그 모습이다. 첨부 사진 아래는 그 석고 반죽을.. 2024. 6.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