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56 사비시대 백제 돌삐 도관導管 1,400 year old Stone Water Pipe from Baekje Period Excavated at Sabi City Wall, Buyeo, Chungcheongnamdo Province 정확한 기능을 현재로선 짐작키 어렵다. 상수도관 하수도관으로 썼을 수도 있고 그것을 포함한 물대기 전반으로 사용했을 것이기에 그냥 도관導管이라고만 해둔다. 재질은 돌삐라 촬영은 2017. 5. 31 부여다. 조사자인 심상육 선생에 의하면 출토지는 부여 청산성 정상부, 사비도성 동북우 지점이라 하며 이와 흡사한 같은 석제 도관이 국립부여박물관에 1점인가 소장된 것으로 안단다. 발굴조사를 통한 첫 확인 사례다. 아마 발굴보고서는 나왔을 것이다. 사비도성 쌓을 적에 들어갔으니 그 나이는 대략 천사백살이다. **.. 2020. 5. 31. 백제금동보살, bodhisattva from late baekje period 부여나성 구간 중 북나성 시굴조사서 수습한 백제시대 금동보살상 파편...아까비 A fragment of guilt bronze bodhisattva from late baekje dynasty period, excavated from north buyeo city wall. (2017. 5. 31) 40 Tombs for a Golden Ruler from Heaven Geumcheok-ri Tumuli, Gyeongju 慶州金尺里古墳群 경주 금척리 고분군 About 30 round and gourd-shaped tombs are scattered throughout Geumcheok-ri, the suburbs of Gyeongju. The tombs here are presumably.. histor.. 2020. 5. 31. 소공동 롯데백화점 주차장으로 변한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옛터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6번지 1923 년 11월 30일부터 1974년 12월 1일 까지 1992년 10월 15일 국립중앙도서관 세움 소공동 롯데백화점 주차장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 도심 한복판 소공동 롯데백화점 주차장에는 아무도 주시하지 않는 표식돌 하나가 있다. 조선호텔 근처 옆구리로 들어가는 롯데 주차장 들어서자마자 지하 주차장 내려가기 전에 이 표식이 historylibrary.net 2020. 5. 26. 40 Tombs for a Golden Ruler from Heaven Geumcheok-ri Tumuli, Gyeongju 慶州金尺里古墳群 경주 금척리 고분군 About 30 round and gourd-shaped tombs are scattered throughout Geumcheok-ri, the suburbs of Gyeongju. The tombs here are presumably those for low-level nobles of the Silla Period (57 B.C. ~ A.D.668). The exact dates of their construction are not known. Note, however, that their location and the interior structure of some of them -- as revealed du.. 2020. 5. 25. 박주미가 묻힌 남양주 성묘成墓 광해군 생모 공빈김씨恭嬪金氏(1553~1577. 6. 13)라면 나는 퍼떡 박주미가 오버랩한다. 성묘 ★★★☆☆ · 역사적 장소 · 진건읍 송능리 산 55 www.google.com 그의 묘는 남양주에 있고 성묘成墓라 일컫는다. 한데 보다시피 품격이 완연히 왕릉이나 왕비릉의 그것이다. 여타 후궁묘와는 위엄이 현격히 다르다. 후궁묘가 저처럼 왕릉에 버금가는 이유는 딱 하나다. 왕을 낳은 여인인 까닭이다. 그 아들은 광해군이다. 한데 아다시피 그 아들은 폐위되어 군으로 강등됐다. 그러니 그 어미 역시 왕의 생모에서 여타 우수마발 같은 후궁으로 전락해야 한다. 그럼에도 현재 우리가 보는 저와 같은 왕릉급 규모를 갖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저 무덤은 광해군이 왕이었을 시절에 조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기록에 .. 2020. 5. 24. 돌하르방 dol-hareubang or Grandpa Statues of Jeju Island 돌하르방 dol-hareubang 19세기 이전 19th Century or Earlier 19世紀以前 돌하르방은 대개 제주 내 읍성의 문 앞에 설치되어 성문을 지키는 수호신이면서 민간 신앙의 대상물이기도 했다. 돌하르방은 '돌할아버지'란 뜻으로, '우석목偶石목, ‘무석목武木石’, ‘백하르방, '옹중석翁仲石'이라고도 한다. 구멍이 많은 현무암을 사용해 입체감이 강하다. 두 주먹을 불끈 쥐고 큰 눈망울을 하고 벙거지 모자를 머리에 꾹 눌러쓴 모습이다. 현재 제주도에 있는 돌하르방 45기는 제주도 지방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 전시된 돌하르방은 제주시에 있던 것을 옮겨놓은 것이다. A Pair of Grandpa Statues of Jeju Island On Jeju Island, stone.. 2020. 5. 21. 이전 1 ··· 251 252 253 254 255 256 257 ··· 3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