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72 천안의 흑색마연토기, 백제인의 저승세계가 내린 선물 [발굴조사보고서] 천안 구도리 백제분묘 제목 : 천안 구도리 백제분묘 발간 : 천안시, 백제고도문화재단 발간연도 : 2020년 본 보고서는 천안시의 의뢰로 실시한 ‘천안 동부바이오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허 historylibrary.net 일전에 차순철 선생이 천안 구도리 백제시대 무덤 발굴보고서가 발간되었다는 소식을 이 블로그를 통해 전한 적 있다. 이 소식을 보면 한 무덤에서는 흑색마연토기黑色磨硏土器, 곧 검은빛을 내고 표면을 갈아만든 듯하다 해서 검은간토기라 부르는 백제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토기 1점이 발굴됐다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 외장하드에 보관 중인 과거 사진들을 자주 훑어내려가는데, 휴대폰 뭉치를 뒤지다가 2017년 9월 27일 폰카가 포착한 사진 중에 문제의 저 .. 2020. 6. 7. [나만 못본 구라파 유람기] (9) 인터내쇼날 거지 되어 집나가면 개고생 맞다.것도 한 달을 떠돌다 보면 거지다. 해직, 그리고 그 직전 휴직 3개윌까지 합쳐 2년을 내리 백수로 보내다가 이때가 아니면 언제? 하는 심리가 발동해 난생 처음 한달이라는 장기 일정으로 유럽이란 데를 갔다가 그것이 끝날 무렵 나는 거지가 되어 있었다. 왜 거지가 되었던가?피로감과 날씨의 합작품이었다.열라 더웠다. 푹푹 쪘다.그 더운 여름에 한달을 쏘다니고 그에 더해 도보 이동이 많은 데다 유난히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이라 썬크림은 바르나마나였으니 이번에 한꺼번에 제거한 얼굴 점이니 사마귀니 쥐좆이니 하는 것 절반은 저때 터득했다 보면 대과가 없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미 여행을 떠나기 전 복직판결이 났으니 돌아가기가 그리 싫은 심통에 여행은 더 고역이 되어갔다.놀아봐라 그 생활이.. 2020. 6. 7. 논 가운데 선 산청 삼장사지 삼층석탑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Samjangsa Temple site, Sancheong,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 28th May, 2012 경남 산청군 삼장사지 삼층석탑...논길을 걸어가야 한다. 현지 문화재 안내판은 아래와 같다. 국문 영문 모두 손대지 않는다. 삼장사지 삼층석탑 山淸三壯寺址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e of Samangsa Temple Site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호 Gyeongsangnam-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1 이 탑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던 부재部材들을 모아 1989년에 복원한 것이다. 또절터에는 탑과 더불어 철조여래좌상鐵造如來坐像과 석등石燈도 있었다.. 2020. 6. 3. 낙서질 바위..전세 역전해 문화재로 재탄생한 거창 수승대 거창 수승대다. 맨질맨질한 바위면마다 낙서질 못해 환장한 곳이라 그때도 분명 방명록이 있었는데 그건 일시요 영속성 없다 해서 너도나도 바위에 달라 붙어 낙서질에 여념이 없었으니 그 낙서질 주범에 퇴계 이황이 위치하거니와, 퇴계는 한국 낙서질 문화의 남상이라 토이기 toeigi 선생 다녀간 곳이란 소문 삽시간에 퍼져 나도 하나 새기자 해서 이내 그 바위 곰보가 되어버리니 그걸 새긴 이 치고 본인이 돌 쪼은이 단 한 명도 없어 애꿎은 백성만 동원되었으니, 그 품삯이라 해봐야 얼마되지 아니해 재능기부에 가까웠으니 백성들 불만이야 오죽 했겠는가? 겨울에 다녀간 이도 있어 그 엄동설한에 돌 쪼아봐라. 각석은 백성의 고혈을 짜낸 착취의 유산이다. 위대한 유산이란 실은 자연 파괴의 상흔이며 그건 피와 땀, 때론 목숨.. 2020. 6. 2. 사비시대 백제 돌삐 도관導管 1,400 year old Stone Water Pipe from Baekje Period Excavated at Sabi City Wall, Buyeo, Chungcheongnamdo Province 정확한 기능을 현재로선 짐작키 어렵다. 상수도관 하수도관으로 썼을 수도 있고 그것을 포함한 물대기 전반으로 사용했을 것이기에 그냥 도관導管이라고만 해둔다. 재질은 돌삐라 촬영은 2017. 5. 31 부여다. 조사자인 심상육 선생에 의하면 출토지는 부여 청산성 정상부, 사비도성 동북우 지점이라 하며 이와 흡사한 같은 석제 도관이 국립부여박물관에 1점인가 소장된 것으로 안단다. 발굴조사를 통한 첫 확인 사례다. 아마 발굴보고서는 나왔을 것이다. 사비도성 쌓을 적에 들어갔으니 그 나이는 대략 천사백살이다. **.. 2020. 5. 31. 백제금동보살, bodhisattva from late baekje period 부여나성 구간 중 북나성 시굴조사서 수습한 백제시대 금동보살상 파편...아까비 A fragment of guilt bronze bodhisattva from late baekje dynasty period, excavated from north buyeo city wall. (2017. 5. 31) 40 Tombs for a Golden Ruler from Heaven Geumcheok-ri Tumuli, Gyeongju 慶州金尺里古墳群 경주 금척리 고분군 About 30 round and gourd-shaped tombs are scattered throughout Geumcheok-ri, the suburbs of Gyeongju. The tombs here are presumably.. histor.. 2020. 5. 31. 이전 1 ··· 253 254 255 256 257 258 259 ··· 3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