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1920

성근 봄 봄이 누군가에게는 고통이기도 할 것이다. 또 누군가에겐 찬란하기도 할 것이다. 성근 봄은 아직은 조금은 아픔이다. 그제 구례 화엄사에서 2년전 오늘 나는 이리 쓰고 저들 사진을 첨부했다. 바뀐 것이 없어 신기해서 다시 적어둔다. 2019. 3. 26.
무령왕릉을 지키는 유니콘Unicorn 궁댕이다. 빵빵한 방댕이다. 정육점에서 비교적 쉽사리 본다. 공주 송산리 무령왕릉 입구를 지키던 돌짐승[石獸]인데 뿔이 하나인 유니콘이다. 지금은 국립공주박물관을 지킨다. Guardian of Tomb of King Muryeong 백제 무령왕릉 진묘수百濟武寧王陵鎭墓獸 2019. 3. 25.
덕수궁 지는 참꽃 어제 창덕궁 경복궁 훑었으니, 덕수한테 괜시리 나만 미안해 점심시간 짬내서 들렸더라. 이곳은 창덕이 경복이 견주어 봄이 더 빨라 진달래는 이미 절정 지나 만취한 중년마냥 흐물흐물 해파리라 사뿐히 즈려 밟히는 신세라 개나리 미선나무 한데 어우러진 모습 담았다간 미선나무 가랑이 사이로 쫓겨난 고종, 하릴없이 서양 커피나 마시던 곳 담아 보니 그런대로 볼 만은 한지라 내친 김에 석어당昔御堂 전면 동남쪽 마당 늙수그레 살구나무 올려보니, 썩어도 준치라 가지 끝마다 몽알몽알 붉은 여드름이라, 잘 하면 이번 주말이면 만개한 살구꽃 완상하리라 뒤로 한 채 문을 나서는데 그리 나잇살 많지 않아 뵈는 소나무 한 그루, 올려보니 곳곳이 방울방울 솔방울이라, 그대도 나만큼이나 지쳤는가? 축 늘어진 오뉴월 소불알 같구나. 2019. 3. 25.
Preah Pithu temple in Angkor, Cambodia by courtesy of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한국문화재재단)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supportive for the restoration projects of Preah Pithu Temple since 2015. 한국이 ODA 지원 사업 일환으로 복원작업을 진행 중인 캄보디아 시엠립 앙코르 유적 앙코르톰 내부 프레아피투 사원 2019. 3. 25.
남녘이 전한 봄소식 용심나서 창덕궁 행차하니 이쪽에선 겨우 파열 조짐인 목련이 남쪽 땅 경주에선 벌써 거무틱틱하니 변해간다기에 괜한 용심 부려 혹 서울 역시 봄이 온 데 없냐 해서 애써 찾아나섰더랬다. 누군가 창덕궁 홍매 피었다 하므로 그쪽을 공략 대상으로 삼는다. 바람이 제법 차고 강한 오늘, 워밍업 삼아 남영동 사저 주변을 간단히 탐색한다. 미군부대 바깥 담벼락 따라 쥐똥나무 푸릇파릇, 지난날 쥐통 열매 떨구지도 못한 채 새순 낸다. 이문세 노래하고 엘리옷 뇌까린 라일락, 보라색 띠기 시작했으니 이내 그 지독향 뿜어내리라. 언제나 화려하게 꽃 피우는 그집 앵도나무 담벼락 너머로 금방이라도 터질 듯한 모습임을 확인하고는 버스 잡아 창덕궁 향한다. 들어서자마자 미선나무 영춘화 매화 집단으로 만발한다. 애꿎은 용심이었나 보다. 낙선재 향하니 산수유 .. 2019. 3. 24.
전통과 원형, 마곡사 영산전의 경우 문화재 현장에서 참말로 곤혹스런 말이다. 전통과 원형이 있느냐? 없다. 함에도 없는 전통과 원형을 찾아가느라 모두가 골을 싸맨다. 비근한 예를 하나 들자. 공주 마곡사 영산전. 별칭이 천불전(千佛殿)인 데서 엿보듯이 이곳에는 천불을 안치했다. 경주산 곱돌로 만든 작은 석상 천여구를 안치했다. 천불은 중앙불단을 중심으로 양측면으로 단을 마련한 ㄷ자형 불단에 안치됐다. 한데 공주시가 근자에 이걸 보수하면서 측면 불단을 없앴다. 이유는 이랬다. 측면 불단을 조사해보니 근대기에, 베니어 합판으로 보축됐다는 이유였다. 원형을 훼손했다 해서 뜯어제낀 것이다. 그리하여 천불단은 중앙불단만 남게 되고, 양쪽 측면은 없앴다. 없애니 깨끗해 보여서 좋기는 하다. 한데 문제가 생겼다. 천불을 다 수용할 공간이 없는 중앙불단.. 2019.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