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44 인더스문명 사제왕Priest-King과 춤추는 소녀 Dancing Girl (4) 따라서 인더스 문명사에서 Priest-King의 얼굴을 채색하는 것은 단순히 흑백사진에 컬러색을 입히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여기에 무슨 색을 입힐까 고민하고 실행하는 순간, 바로 인도사회에서 인더스 문명을 어떤 입장에서 보는가가 결정되며정치적 입장까지도 엿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블로그에서 여러 차례 밝힌 것처럼 필자의 연구진도 인더스문명 유적에서 작업했다. National Geographic 지원을 받아 들어갔었으며, 그 최종 결과물은 영국의 Archaeopress에서 단행본으로 출간했었다. 이 인더스문명 연구에서 필자와 함께 공동 작업한 이원준 박사(국과수)는, 현장에서 발견된 인골을 CT 로 스캔하여 그 3차원적 결과물 바탕으로 법의학적으로 작업하여 무덤에 묻힌 사람의 얼굴을 복원하.. 2024. 7. 10. 인더스문명 사제왕Priest-King과 춤추는 소녀 Dancing Girl (3)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인더스문명은 세계 4대 문명 중 하나로 대단한 문명이지만, 정작 이 문명은 많은 부분이 베일에 싸여있다. 인도도 이 문명을 마냥 자랑스러워할 것 같지만 그 자랑스러움의 이면에는 곤혹스러움도 읽힌다. 왜냐. 인도의 기록에는 이 문명의 존재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말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처음 이 문명의 존재를 인지한 영국의 학자들도 처음에는 이 문명이 5천년씩이나 올라가는 것이라 생각을 못하고 있었다. 인도의 기록으로 볼 때 당시까지도 인도의 문명은 잘해야 그리스 정도 올라간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이 인더스문명이 출현하면서 인도문명은 일약 5천년 전으로 소급되어 세계 4대 문명의 하나로 들어가게 되었지만 정작 이 문명에 대해서는 어떤 기록도 없고 심지어는 문.. 2024. 7. 10. 인더스문명 사제왕Priest-King과 춤추는 소녀 Dancing Girl (2) 김단장께서 올린 그림을 보면 Priest King의 조각상에 색을 입힌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런 조각상의 얼굴의 경우 특히 인종의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는 색을 입히는 것에 대해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 인도는 북서쪽은 서양 사람이 아닌가 착각할 정도로 유럽인과 얼굴을 구별하기 어려운 사람이 있는 반면 중부인도와 남인도에는 흑인이라고 생각할 정도의 사람도 있다. 이런 경우 얼굴의 색이나 머리색, 수염색 등을 어떻게 칠하는가에 따라 완전히 얼굴이 달라보이게 된다. 이 Priest King은 그나마 수염과 얼굴의 모습이 이미 정해져 있는 상황이라 그래도 좀 나은 상황일 수 있는데 그것도 없는 경우에는 수염을 얼마나 달아 붙이는가, 눈썹 색은 어떤가, 눈 홍채의 색은 어떤가에 따라 아예 인종이 달라.. 2024. 7. 10. 인더스문명 사제왕Priest-King과 춤추는 소녀 Dancing Girl (1) 앞에 블로그 김단장께서 priest-king 이야기를 쓰신 터라이 문명에 조금 발을 들여놨던 인연으로 여기에 대해 조금 써본다. 작금 인더스문명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이 문명의 담당자 인종 구성이 명확치 않다는 점이다. 일부에서는 이를 서아시아나 아리안과 관련이 있는 침입자의 문명이라 보고일부는 지금 인도인과 별 차이 없는 토착 계열로도 보는데, 앞에서 쓴 Priest King이 이 문제에 대해 거의 유일하게 숟가락이라도 얹어 볼 근거가 있는 유물이기 때문이다. 지금 인더스 문명 담당자들 얼굴이라도 짐작해 볼 수 있는 유물은 딱 둘이다. 하나는 앞에서 이야기 한 priest king두 번째는 dancing girl이라고 불리는 유물이다. 이 작품은 델리 박물관인가 있는데 실제로 가서 보면 아주 작.. 2024. 7. 10. 신간 리뷰: 문제의 600년 사실 여기서 문제는 일본 도작의 시작을 기원전 1000년까지 끌어올리면서 문제는 생겼다고 할 수 있는데, 종래 별 차이 없으리라 생각한 도작과 금속기 시작 중에 야요이시대 관련 도작만 연대가 급상승하면서 금속기 사용과 연대가 벌어져지금 약 600년 정도 "금속기 없는 야요이시대"가 발생했다고 하는 것이 이 책의 이유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에는왜 이 600년간 한반도는 남단까지 비파형동검이 나오지만 일본에서는 그렇다할 만한 제대로 된 동검 한 자루도 나오지 않는가 여기에 대해 장황히 설명했다. 글쎄. 여러 가지 생각해 볼 수도 있겠고, 또 필자는 이쪽 전공자가 아니라 확신할 수 없지만, 대개 이렇게 장황하게 이유를 찾아야 하는 경우라면 대개는 그 가정이 잘못된 경우가 많다. 무슨 뜻인고 하니, 애초에 벼.. 2024. 7. 10. 야요이 연대 상승과 청동기시대 오늘 아까 소개한 책을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필자가 아는 한 이 책을 쓴 후지오라는 양반은 신중하기 보다는 과감한 주장을 많이 한 양반으로 아는데, 소위 야요이시대 연대를 끌어올리는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책을 보면, 야요이 연대를 끌어올리다 보니, 금속기와 연대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비어 있는 금속기 없는 시대에다가 한국의 청동기시대의 예를 따라 청동기시대란 이름을 붙이겠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어차피 한국도 청동기시대 앞쪽은 청동기 없는 청동기 시대니 피차 일반 청동기 좀 없는 시대라고 해서 야요이시대 앞쪽에도청동기시대라는 이름 우리도 좀 붙여 본들 어쩌겠냐는 주장으로 보인다.역시 과감하긴 한데 이렇게 이름을 붙여도 될 일인가 싶은것도 사실이다. 한반도의.. 2024. 7. 10.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3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