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25

필사적인 양반 되기 우리나라는 원래 유교의 고례와는 거리가 먼 나라라 성리학이 들어오고 주자가례가 들어와도 원래의 풍습을 바꾸는데 꽤 오래 걸렸다. 이미 주자가례는 조선이 개국되던 시기에는 들어와 있었지만, 그대로 실천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16세기나 되어야 주자가례 흉내라도 내게 된 것이니, 밥만 먹으면 사서집주 읽고 주자가례 들춰보던 양반들이 가례 따라 움직이는데 무려 200년이 넘게 걸린 것이다. 그런데, 18세기까지도 전 국민 절반이 노비로 아마도 그 중 대다수는 제사를 지냈을 리도 없고, 족보도 없었을 나라에서 불과 백여년 만에 집집마다 제사를 지내고 양반 족보 없는 집이 없게 되었다. 놀랍지 않은가?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양반들도 200년 걸린 풍속을노비출신이었던 사람들까지도 짧은 시간에 집집마다 제사를 .. 2025. 8. 23.
전국에 흩어진 노비와 토지 앞서 김 단장께서 조선시대 전국에 흩어진 양반의 노비와 토지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다. 이 부분에 대해 부연한다. 쇄미록에도 이 이야기는 절절히 나오는 바, 가 본 적도 없는 노비에게서 신공을 받기 위해 사람을 보내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온다. 신공이라고 해 봐야 신통치 않다. 딱히 경제적인 득을 얻기 위해서라기 보다상징적인 신공을 받아 주종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정도가 아닌가 싶을 정도다. 아마 이들은 19세기가 되면 자연해체되어 외거노비와 주인 관계가 망각되고 모두 소농으로 독립해 나갔을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유학호를 취득하여 양반으로 진입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이처럼 전국에 흩어진 노비와 토지가 성립된 것은필자가 보기엔 조선 건국이 고려시대 대규모 장원을 규제하며 넓은 곳에 직접된 농장을 불온.. 2025. 8. 22.
그 다음은 설명이 없는 한국사 우리나라 역사 설명을 보면 이렇다. 안 그렇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필자가 보는 한국사의 개략이다. 개항 이전까지 조선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자본주의 맹아도 있고, 근대의 여명기 설명도 있다. 조선사회가 어떻게 변해갔는지 설명도 있다. 그러다가 개항기부터 해방 때까지거의 100년 가까운 세월 동안은오로지 식민지 독립운동 이야기만 하다 보니 그 이전까지 설명하던 사회 변화는 어찌 되었는지, 자본주의 맹아는 어찌 되었고 근대의 여명기라더니 그건 그 다음 스토리는 어찌 되었는지설명이 싹 사라지고 오로지 일제의 수탈과 독립운동 이야기만 한다. 그러다 해방이 되니 거의 100년 동안무려 3세대에 걸친 사람들이 도대체 어떻게 살았고한국사회의 변화가 그 동안에는 어떻게 되었는지제대로 설명도 안 하.. 2025. 8. 22.
한국근대사의 이주갑 인상론 아시다시피 일본고대사에는 이주갑인상론이라는 요물이 있다. 일본 고대 기록을 주변 국가와 대조해 보니 대략 120년 정도 끌어올린것 같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것으로, 이렇게 끌어올린 연대는 길게 늘여지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주변국가와 기록이 제대로 연동하기 시작한다는 것이 되겠다. 한국근대사가 딱 그렇다. 한국사는 필자가 보기엔, 약 100-200년 정도 발전 정도가 빨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노비 사역 같은 경우는 필자가 보기엔 18세기 중반까지도 향촌사회의 가장 흔한 농업생산양식이었고, 19세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해소되는 과정에 있었으니 이런 형국에서는 지주 전호제도 그 이전에는 주류였다고 보기 힘들다. 소농을 기반한 지주 전호제의 소작을 대규모로 운영하여 나온 결과물을 상업작물로 내다 팔아 큰 지주.. 2025. 8. 21.
조선후기- 광작운동은 없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조선시대 호적은단순히 호구의 구조 뿐 아니라 재산상태까지 엿볼 수 있는 근거가 있는데, 호적을 유심히 보면, 17세기에서 19세기로 가면서 일부 조선후기 연구자들이 주장하듯이광작운동에 의해 농민이 경작하는 토지가 넓어지는 것이 아니라이전에는 양반의 노비사역에 의해 운영되던 농장이 해체되어 19세기에 이르면 매우 작은 단위의 소농민이 향촌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이는 호주와 처자, 그리고 소수의 노비 (1-2명)을 거느린 작은 단위의 가구인데이전에는 많은 수의 노비를 데리고 직접 농사짓던 양반들이이 시기에 이르면 다른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데리고 있어 봐야 생산성도 높지 않고 골치만 썩던 노비사역을 19세기가 되면 걷어 치워 버리고, 독립 소농민들 .. 2025. 8. 21.
닭고기를 내어 매를 주어 기르다 앞서 조선시대에는 꿩 대신 닭,닭이 꿩의 보조적 역할이라 썼었는데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 바로 쇄미록에 나와 있는 바, 닭을 잡아 매를 기르는 장면이다. 오희문 집에서 매를 얻어 길들이고자 할 때 집안의 닭을 잡아 매에게 먹이는 장면이 나온다. 이는 매를 먹일 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매를 일달 길들여만 놓으면 매가 꿩 사냥을 해서 거둬들일 테니결국 이익이라는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조선시대에 닭은 꿩의 보조적 수단이었던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하겠다. 물론 닭은 이처럼 꿩의 보조적 역할에만 그쳤던 것은 아니고, 닭을 기르는 이유 중에는 달걀이 있음도 잊어서는 안되겠다. 꿩은 육고기는 얻어도 알을 얻을 수가 없으니알이야 말로 꿩이 갖지 못한 닭의 최대의 장점이 되겠다. 각설하고, 오희문 집에서 닭을 .. 2025.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