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20 학회 강연 이번 5월에 열리는 학회에서 강연이 하나 있는데, 평소에도 대중 강연은 거의 없었고,학회 강연을 일년에 몇 차례 정도 하는 편이었지만, 국내 강연은 이제 정중히 거절 할 생각이다. 따지고 보면 필자가 지금까지 해온 일이라면 구글링 하면 다 온라인 서칭이 되고 생산된 업적도 단행본화하고 있어 굳이 학회의 귀한 시간에 필자가 해온 일을 이야기 할 필요 없을 것 같고, 새로운 세대가 참신한 이야기를 전하는데 학회가 더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물론 앞으로도 뭔가 생산적 업적이 나온다면 학계 발표는 심사를 거쳐 학술지 논문의 지면으로 계속 찾아뵙도록 하겠다. 2025. 5. 10. 위대한 톨킨, 그리고 반지의 제왕 반지의 제왕이라는 소설이 있다. 이 소설은 사실상 판타지 소설의 시조새 격으로 이후에 나오는 모든 비슷한 종류 소설의 원형이 되었다. 이 소설의 탁월한 부분은 절대권력이 얼마나 인간에게 매혹적인 것이고, 얼마나 인간을 쉽게 파괴하는지를 담담히 서술한다는 점이다. 이 소설은 인생의 경험이 충분하고 많은 숙려를 거친 사람이 아니면 할 수 없는 이야기를 한다. 그렇게 보면 이 절대반지의 반환을 왜 호빗이 하게 되었는지도 알 수 있다. 왜 호빗이 절대반지를 파괴하는 일을 맡았을까? Hobbits like Frodo and Bilbo were able to resist the corrupting influence of the One Ring because they were content with their sim.. 2025. 5. 9. 60 이후 작업의 조정 막상 일을 해 보니 현실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60 이후의 연구작업을 준비하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실제로 wet lab을 빼고 작업을 해보니 처음 생각과 달리 많은 조정을 거치게 되었다. 현재로서 필자가 60 이후의 연구 주제로 결정한 것은 세 가지다. 1. 조선시대 사람의 생노병사에 대한 문헌적, 고병리학적 검토 필자가 지난 20년간 진행한 고병리학적 연구에 문헌적 디테일을 입히기 위한 작업이다. 2. 한국인과 그 농업사회의 기원에 대한 자연과학적 검토 한국인의 기원, 한국 농업사회의 기원에 대한 검토를 자연과학적 측면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전학, 인류학, 동식물학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한다. 3. 동아시아 미라에 대한 역사적 고찰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의과학적 검토는 더 이상 .. 2025. 5. 9. 노년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법 어차피 60 이후의 연구는 혼자 가야 한다. 이건 이성적으로 판단하면 쉽게 알 수 있는데 막상 체화하여 대책을 내기는 쉽지 않은 부분이다. 그때문에 사회에서 자리 잡고 활동하던 사람들은현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자기가 젊은 시절 구축한 시스템을 그대로 돌리다가어느날 아침에 그 모든 것을 사회에 돌려주고 맨손으로 나가 자멸한다. 이것이 65세 이후에 대학 등지에서 나는 아직도 더 일할 수 있으니 사회에서 대책을 세워달라는 요구의 본질이다. 이렇게 사회에서 2-3년 더 세월을 연장해줘 봐야나오는 것이 대단할 리도 없고또 그래 봐야 지금보다 더 쇠약해진 나이에 빈손으로 나가게 될 뿐이다. 차라리 혼자 서서 연구하는 시스템을 하루라도 힘이 있을 때 구축하여 돌려보는 편이 더 장기간 실속 있는 연구를 계속하는 데 도.. 2025. 5. 8. 일본: 잃어버린 30년의 시작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될 즈음이 필자가 일본을 좀 여러 이유로 자주 방문하기 시작할 때였는데이때 일본의 퇴조가 그렇게 장기간 계속될 것이라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일본인들 스스로는 물론이고 주변의 그 누구도 일본이 일시적 불황이라고 생각했는데그 후 다시는 못 일어나고 지금 30년째 후퇴 중이다. 필자가 조심스럽게 써 본다면, 필자가 30년 전 일본을 방문했을 때 처음 목격하고 느낀 여러 정황이 지금 우리하고 무지하게 닮았다는 생각을 한다. 우리는 지금 경제의 일시적 불황기라고 생각하고 조만간 반전되지 않겠는가 하는 희망을 모두 품고 있는데, 그것이 아니고 이런 퇴조기가 앞으로 30년이 계속될 수도 있다. 출생률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생산성 저하, 무엇보다 당시의 일본 사회 분위기가 우리하고 .. 2025. 5. 8. [마왕퇴와 그 이웃-120] 개-돼지-닭 어떤 인구 집단이 이동할 때에는 이들이 농경민이라면 종자를 휴대할 테고, 또 가축도 함께 이동할 것이다. 그런데 종자는 그렇다고 쳐도 가축이라고 해서 모든 가축을 줄줄이 끌고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휴대성이 좋고 인간에 의해 쉽게 제압 가능한 동물들이 이동에 동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렇다. 소위 라피타 문화 Lapita culture 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태평양 일대를 식민화한 거대한 인구 이동 흐름을 말한다. 이 이동에서 태평양 여러 섬을 작은 배에 의지해 건넌 용감한 이들 곁에 있었던 가축에는, 개, 돼지, 닭-. 세 종이 있었다는 것은 현재 상식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태평양 일대 섬을 방문해 보면 뜻밖에 야생 닭을 만나게 되는데 이는 모두 태평양 섬들을 식민화한 폴리네시안들과 함께 바.. 2025. 5. 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7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