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20

예학 그리고 교회 만들기 조선후기 성리학은 예학으로 특징지을 수 있지 않을까. 성리철학에 대한 이해가 끝난 조선의 유학자들은 예학으로 달려갔다. 정확히는 고대 이후 망실되었다는 고례의 복원을 위해서였다. 삼년상이니 친영례니 이런 유교 의례는 원래 조선에는 없었고 중국도 사라진 고례가 많았다. 유교적 이상국가를 꿈꾼 조선유학자들은 고례의 복원을 열망했는데 이에 따라 조선사회를 고례에 의해 작동하는 사회로 바꾸고자 했지만 문제는 고례가 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것이 되겠다. 이런 때 지남의 역할을 한 것은 결국 주자가례와 유교 텍스트로서주자가례에 자세히 적힌 것은 그대로 따라 하되여기도 남아 있지 않은 고례는 남아있는 경전(주로 예기)의 편린에 따라 하나씩 조각을 맞추어갔다.그렇게 완성된 것이 조선의 의례다. 조선이 복원한.. 2025. 5. 12.
어째서 성리학자가 천주교도가 되었는가라는 문제 지금까지 조선의 선비들이 천주교도가 된 문제에 대해사상적 차원에서 접근한 시도는 많지 않았다고 본다. 특히 이미 성리학적 세계관에 깊이 침잠한 일류 성리학자들이 어째서 천주교에 경도되었는가, 그 이유에 대해서는 기적이라던가, 천주의 섭리라는 종교적 설명 외에 철학적으로 도대체 왜? 어째서 성리학자들이 그토록 쉽게 천주교에 경도되었는가, 그 문제를 파고든 부분이 많지 않았다고 본다. 필자의 생각에는, 초기 한국 교회사는 교회사가 내지는 종교학자가 할 것이 아니라, 성리철학에 능통한 분이 파고들어야 한다. 그래야 도대체 어째서 일류 성리학자들이 어느날 훌러덩 천주교에 빠져든 이유를 천주의 섭리라는 설명 이외에서 찾을 수 있다는 말이다.필자의 소견으로는, 한국의 천주교가 성리학적 세계관을 탈피하여 본격적으로 .. 2025. 5. 12.
맹자를 읽고 도통을 만난 성리학자들-성경근본주의와 유사점 오직 성경에만 기반하여 교회를 만들고 운영하겠다는 것이 곧 프로테스탄티즘일 것이다. 성리학은 이 프로테스탄티즘, 개신교와 유사한 점이 매우 많다. 가장 비근한 예로서, 초기 북송 성리학자들은 사서, 특히 맹자를 죽도록 파면서 이미 천년 전에 단절된 도통을 자신들이 이었다고 주장하는 근거를 찾았다. 이는 교회에서 전하는 전통을 부정하고, 오직 성경에 기반하여 교회를 재건하고자 하는 프로테스탄티즘과 동일한 방식이다. 공자님은 말씀하셨다. 子曰 夏禮吾能言之 杞不足徵也 殷禮吾能言之 宋不足徵也 文獻不足故也 足則吾能徵之矣무슨 말인가? 믿을 만한 문헌만 있다면 진리는 얼마든지 그 안에서 내 스스로 찾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도통을 중국 성리학자들에게서 받아온 것이 아니라, 문.. 2025. 5. 12.
한국 천주교의 출발과 그 전사前史 필자가 생각건데, 한국 천주교사 시작은 이승훈의 세례가 아니다. 정확히는 한국교회가 자생적으로 탄생하여 교회가 만들어지고 운영되다가, 사도전승에 기반하지 않은 교회는 무효라는 북경천주당 해석에 입각하여 기존 교회를 정지시키고 신부 파견을 요청한 시점. 이 시점이 한국 천주교가 시작된 시점이다. 그 이전은 한국천주교와 개신교가 공유해야 할 기독교사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이승훈과 그의 동료들이 만든 교회는 "천주교회"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교회는 천주교 교리를 가지고 만들었다지만, 교회 구조는 오히려 개신교를 더 닮은특이한 형태의 교회였기 때문이다. 한국천주교회사는 이 시기의 교회를 "한국천주교회의 전사"로 간주하는데, 필자는 이 시기를 천주교도 개신교도 아닌 한국에서 발생한 특이한 형태의 교회의 단계로 .. 2025. 5. 11.
長江後浪推前浪 흔히 후속 세대가 앞선 세대를 세월 흐름에 따라 교체하는 현상을 長江後浪推前浪, 장강 앞물결은 뒷물이 몰아낸다 라 묘사하지만, 세대 교체는 이 글에서 보듯이 뒷 세대가 앞세대를 밀어 바꾸는 형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장강 뒷물이 앞물을 밀어 바다로 밀어내면서 후속세대가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앞물이 흐르던 길과 다른 길로 바꾸어 강이 흐르게 되고, 원래의 앞 물은 마치 물길이 바뀌어 고립되어 버린 담수호처럼 메말라 사라진다는 말이다.따라서 노년의 연구가 조금이라도 더 생명을 갖기 원한다면 바뀌는 물길을 부지런히 쫒아가야 한다. 바뀌는 물길을 쫒아가야 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後浪과 前浪의 구분이라는 것이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後浪이 前浪에 밀려 사라진다는 것은 착각이다. 끊임없이 물길을 바꾸는 강물을 쫒아.. 2025. 5. 11.
60 이전을 정리하고 물길의 흐름을 추적하라 만약 생명력 있는 노년의 연구를 꿈꾼다면, 딱 60 즈음에 자신의 이전까지 연구를 한 차례 정리하는 것이 좋겠다. 종합하여 단행본을 내건 종설을 쓰건 간에, 이전 연구의 종합적 일단락은 나이 60 언저리에 한 차례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왜인가? 언젠가도 썼지만 자신이 하던 연구의 효용성은 반감기가 있는데, 딱 20년 정도 지나고 나면 이미 연구성과로서의 가치는 다 휘발되어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나이 60 즈음에 한 차례 정리하지 않으면 그 후에 자신의 연구의 정리라는 것은 학술적으로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뜻이다. 필자는 노후나 사후에 만들어지는 소위 "전집"류에 상당히 회의적인데, 연구의 반감기를 생각하면 거기에 실린 글 태반은 이미 학술적 가치를 상실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2025.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