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45 예술인가 도덕인가, 유독 글씨에만 가혹한 평가 필자의 착각인지 모르겠는데한국과 일본의 박물관이나 미술관 걸린 옛 글씨들 보면이상하게 우리 쪽 글씨가 후지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런데-. 글씨야 조선의 문인들이 특별히 못 썼을 리도 없고, 여기나 거기나 비슷하리라 생각하는데, 혹시 우리가 글씨를 고르는 기준이 단순히 미의 측면만 보는 것이 아니라 글쓴 이의 도덕적 측면이라던가, 역사적 유명세라던가,아무튼 문예적 측면 이외의 부분이 많이 작용하는 것이 아닌가? 가끔 글씨는 그것을 쓴 이의 인격적 측면이 중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평가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보는데, 고흐가 인간성이 좋았겠는가, 고갱이 인간성이 좋았겠는가. 최북은 술주정뱅이에 사람 구실도 간신히 하는 사람이었던 듯한데 유독 글씨에만 도덕성을 강조하고 인격을 강조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2025. 5. 27. 자기 인식에 대한 확인 작업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의 하나는내가 보고 인식한 내용이 정말 맞는가, 라는 것이다. 내가 보고 인식한 내용이 맞다고 확신하고내가 이야기하는 것을 잘 공부하면 나처럼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바로 "알면 보인다"라는 이야기다. 여기서 "알면"이라는 것은 내가 하는 이야기를 알면, 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자연과학에서 논문을 쓰면이게 안 된다. 내가 생각하고 아는 내용이 왜 맞는지를 증명하는 작업이 줄기차게 요구된다. 알면 보인다? 그런 내용으로는 심사자의 칼날을 피해갈 수도, 인정받을 수도 없다. 이건 인문학이나 예술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보는데, 물론 자연과학이나 의학처럼 자신의 주장을 객관적 데이터로 맞다는 것을 악착 같이 보일 필요는 없겠지만,내가 하는 이야기가 정말 맞는 이야기인가를, 스스로 .. 2025. 5. 26. 상식의 무서움에서 벗어날 수 없는 예술 필자가 이전에도 썼지만, 공부하는 사람한테 가장 무서운 것은 상식에 기반한 비평이다. 전문가들의 지식에 바탕한 비평은 서까래 갈아 끼우고 뼁끼 다시 칠해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상식에 기반한 비평은 한 번 제대로 어퍼컷에 맞아 걸리면 집이 날아간다. 자기 평생 연구한 논리의 틀이 무너진다는 말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일수록 상식에 기반한, 소박한 비평을 두려워해야 한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했는데, 이는 소위 말하는 예술도 마찬가지다.아무리 들여다 봐도 이건 졸필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죽어도 칭찬하는 경우가 있다. 아마 누군가 그 스승의 스승의 스승부터 시작된 상찬일 것이라 짐작해 본다. 벌거벗은 임금님도 뭔가를 입었다고 생각하면 입은 것처럼 보이는 게 사람의 지각이다. 이 때문에 가장 경계해야 하는 이야기가 ".. 2025. 5. 26. 정조의 정신 나간 문체반정 단언컨대 문체반정은우리 때도 교과서에서 배웠고 지금도 가르치고 있는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이 문체반정이 정말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한국사 독자 태반은 정확히 모른다고 단언한다. 이도 당연할 것이 고문이 뭔지를 알아야 문체반정이 뭔지를 알 텐데, 고문이건 패관체이건 간에 지금 우리가 쓰는 글과는 하등 관련도 없는, 이게 어떻게 이해가 쉽겠나? 서양으로 치자면 한참 독일어, 이태리어 등 자국어 문학이 나와야 할 시기에느닷없이 라틴어 쓰기가 맘에 안 든다고 로마시대 라틴어로 돌아가자는 운동이나 다름없으니 그만큼 정조의 문체반정이란 우리말 쓰기나 국어순화운동도 아니고한문 문장 중에서도 고문으로 돌아가자는 이런 정신 나간 운동이야말로정조라는 소위 "개혁군주"의 이미지가 얼마나 잘못되어 있는가를 반증하는 것이라 .. 2025. 5. 25. 명필이라 우기기 우리 옛 건물에 걸려 있는 현판을 보면 물론 그 중에 정말 대단하다 싶은 글씨도 더러 있지만 상당수가 이게 어떻게 여기 걸려 있나 싶은 글씨도 많다는 점 이야기 해 둔다. 필자가 글씨를 볼 줄 모르니 그럴 수도 있겠지만 일단 좌우 글씨 크기는 맞아야 할 거 아닌가 원래 이런 글씨를 거는 거라고 하면 할 말 없는데솔직히 일본이나 중국 건물의 현판을 보면 그럭저럭 좌우 크기는 맞춘 글씨들이 대부분이니 저쪽 사람들이라고 해서 글씨 볼 줄을 몰라 앞뒤 좌우 크기를 맞춘 글씨를 걸었겠는가. 사실 조선시대 도학이란 것이 문장은 고문, 글씨는 정자체로 또박또박 쓰라고 강권한 사회인지라 글씨 가지고 폼잡는 건 글쎄다. 뭐 뒤에서야 서로 평가해주고 그랬을지 모르겟다만, 적어도 도학자들은 글씨 잘쓰는 일 그다지 높게 치지.. 2025. 5. 25. 조선이 망한 이유 조선이 망한 이유는 지식인들이 현실참여를 안해서 망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너도 나도 현실참여를 하는 통에 지도를 제대로 그리는 이도 없고 사람 몸을 제대로 탐구한 이도 없었으며식물을 유심히 관찰한 이도 없고 동물을 제대로 안 사람도, 땅이 움직인다는데 왜 그런 것인지도 아는 이 없고, 너도나도 얄팍한 지식으로 좀 이름 났다 싶으면하던 것 다 관두고 현실참여를 하러 뛰어갔기 때문에 바로 그 때문에 조선은 망한 것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열심히 현실참여를 하고 있을 때 우리가 우습게 보던 옆나라에서는 도쿠가와 삼백년 동안누구는 지도를 그리는데 뿌리를 뽑을 정도로 그렸고, 누구는 사형수 몸을 해부하는 것에 충격받아 해체신서를 썼으며누구는 서양의 식물관찰을 보고 과학적 관찰의 첫발을 떼고, 우리가 수백년간 뛰.. 2025. 5. 25.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4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