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04 무한 반복재생하는 한국사의 클리셰 요즘 한국사 교과서로 난리다. 필자는 다른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불만이 있다. 한국사는 필자가 보기엔 이렇다. (외침)--(격퇴)--(민족문화의 창달)--(외침)--(격퇴)--(민족문화의 창달)--(외침)--(격퇴)--(민족문화의 창달)이후 무한 반복. 고조선부터 시작해서 2024년 현재까지 한국사는 이 클리셰의 무한 반복이다. 외침, 격퇴, 민족문화의 창달 외에는 한국사는 할 말이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외침을 격퇴하고 민족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인가? 필자의 말이 의심스럽다면 우리 교과서에서 저 위의 세 가지 빼고나면 생각나는것이 뭐가 있는지 한 번 되짚어 보자. 필자 생각에는 한국사라는 건 Story of Korea가 되어.. 2024. 9. 30. 일본인류학회지: 한국의 관점에서 본 "삼중구조 모델" https://www.jstage.jst.go.jp/article/asj/advpub/0/advpub_240806/_article/-char/ja/ 韓国の観点から見た「三重構造モデル」© 2024 一般社団法人日本人類学会www.jstage.jst.go.jp 일전에 일본에서 화제가 되었던 일본인 삼중구조모델에 대한 우리 쪽 관점에 대한 이야기가 논문화되었다. 야요이인 기원론에 대한 필자를 포함한 한국쪽 연구의 첫발이 되겠다. #일본인의기원 #삼중구조론 2024. 9. 29. 신간 예고: 한국 법의인류학 연구 성과 출판의 이정표를 자부하며 필자가 법의인류학자인가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솔직히 그렇다고 자신있게 대답은 못하겟는데, 그 이유는 필자가 하는 일이 이 분야에 한 발은 걸쳐 놓았지만 또 그렇다고 해서 법의인류학자로서의 일에만 전념한 사람은 아니기 때문이다. 국내에는 필자보다 더 법의인류학자로 자부할 만한 분이 많다. 그럼에도 필자와 서울대 법의학교실 이숭덕 교수가 함께 편집하고 경희대 홍종하, 서울대 조소희 연구교수들이 편집을 조력한 이 책을 자부하며 내놓는 이유는, 필자가 지난 20년간 몸담아 활동해 온 서울대 법의학연구소가그야말로 불모지나 다름 없는 상황에서 딛고 일어나 이제는 국제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여 경쟁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약해 온그 성과를 일부나마 이 책에 담아 낼 수 있어서이다. 이 책에 기고하신 분들은 저마다 자기.. 2024. 9. 29. 과학적 사고의 첫발은 관찰 과학이 태동하는 시기 대개는 관찰의 수준이 올라가는 데서 과학적 사유가 시작된다. 과학혁명의 첫발이 해부학과 천문학에서 시작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인체에 대한 관찰과 천체에 대한 관찰 기록 이것이 곧 근대과학을 만드는 첫발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어떤 사회의 과학적 사유의 맹아를 보고자 한다면 그 사회의 관찰 수준을 보면 된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의 과학적 사유의 수준을 보려면 최한기가 지동설을 알았네 아니네 이런 것은 과학적 사유와 아무 상관도 없다. 세계가 둥글다는 것을 알았네 아니네 이런 것은 과학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는 말이다. 이보다는 과학적 사유의 첫발이라 할 관찰과 기록의 풍조가 식자들 사이에 일어나는가 이것이 근대과학의 태동에 있어 훨씬 중요하다. 관찰기록 하나 없이 하늘이 아니라 지구가 .. 2024. 9. 29. 필자가 하는 이야기에 대하여 필자가 하는 이야기가 역사학, 고고학, 유전학을 넘나든다고 해서 이 이야기들이 역사학, 고고학, 유전학 범주에 있는 이야기라고 생각 말아주기를 바란다. 필자는 2000년대 초반부터 고고학 발굴현장에서 여러 가지 작업을 하고 많은 역사학자분과 교류하며 논문을 써왔지만 필자가 고고학자라던가 역사학자라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대해 답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다른 분야에 넘어간 것이지필자의 이야기에 발굴 이야기, 문헌 이야기가 나온다고 해서 고고학? 역사학?필자는 그런 학제간 장벽의 존재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이 블로그에 계속 쓰고 있듯이 필자가 그리고 있는 큰 주제가 있는데 이 주제를 파고 들어가기 위해 펼쳐 놓는 그물 안에 고고학 비스무리한 것, 역사학 비스무리한 것,.. 2024. 9. 28. 이사벨라 버드가 온돌에서 죽다 살아난 까닭 이사벨라 버드의 글을 읽어보면 재미있는 이야기 중 하나가 뜨거운 온돌방이 인상적이었던 모양으로,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방을 달구는 여관집들이 아마도 이해가 안 갔던 모양이다. 그래서 이 꼼꼼한 할머니는 온돌방에 앉아 방 온도까지 재서 그것을 기록해 놓았는데 한번은 39도까지 올라갔다고 한다. 그래서 너무 더워 방문을 좀 열고자 하면 호랑이 들어온다고 방문 닫으라고 한 모양이다. 꼼짝없이 매일 밤마다 35를 넘나드는 온돌방에 앉아 도대체 왜 이렇게 죽도록 방에 불을 때나 이해가 안 간 모양이다. 오늘 김단장 쓰신 글을 보니 여관집은 아마도 쇠죽 쑤는 김에 온돌방도 같이 달구었음이 틀림없다. 그 사실을 알았다면 현대 인류학적 시각을 100년도 전에 이미 가지고 세상을 바라봤던 이 똑똑한 할매는 아 그래서 그.. 2024. 9. 28.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3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