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04

이사벨라 버드의 한국 기행 한 가지 놀라운 것은 이 분이 1831년 생인데 한국 여행을 1878년 (47세)에 처음하고 두번째 방문을 무려 1897년 (66세)에 한 다음 1898년 (67세)에 저 유명한 한국에 관한 여행기를 썼다는 점이다. 이 양반의 기행문을 보면 알겠지만그냥 유람하는 정도가 아니고 배를 타고 단양, 영월, 금강산에 원산까지 누볐다. 이걸 무려 할 매 혼자 돌아다녔다는 점이 놀라울 뿐이다. 그냥 안 가보고 대충 적은 거 아닌가 싶다가도 그 묘사의 디테일, 관찰의 정확성을 보면안 가보고는 도저히 적을 수 없는-.  21세기에 인도에 가서 땅을 파도 덥고 힘들어 죽네 사네 하는 판에 놀라울 뿐이며 나이 60대에 이런 업적을 남길 수 있는 것을 보면 나 같은 사람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사벨라 버드가 전하는 .. 2024. 9. 28.
이사벨라 버드가 전하는 흡혈귀 이야기 필자가 최근 읽고 있는 구한말 외국인의 한국기행문 중에는이사벨라 버드의 저작 이상이 없다. 그녀의 날카로운 관찰력, 그리고 대상에 대한 기본적 애정은 필자가 부끄러울 지경이다. 이 양반은 지금 태어났다고 해도 세계적인 인문학자로 대성했을 것이다. 물론 한국에서 태어난다면 어렵겠지만. 이사벨라 버드의 책을 보면, 흡혈귀 이야기가 나온다. 그녀의 이야기에 의하면 조선에 사는 이 흡혈귀는 바로 "양반"이다. 아무것도 안 하는 이들이 농민의 피를 빤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이사벨라 버드가 주목한 것은 "농민의 피를 빠는"데 있지 않았을 것이라 본다. 굳이 자본론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이 세상에는 싫던 좋건 그렇게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오랫동안 역사를 만들어 왔기 때문이다. 지배자라고 해서 유럽에 없었겠는가?미국에 .. 2024. 9. 28.
왜 폼나는 말은 유지하기 어려운가 구한말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반도의 말은 대부분 조랑말인데 이에 대한 평가는 이원적이다. 부정적 측면은 체고가 낮고 성질이 좋지 않아 마부들이 통제하기 어렵고심지어는 자기들끼리도 싸우는 판이라 말로 부리기가 어렵다는 기술이 있는 반면긍정적 측면을 보면 적게 먹고 아무거나 먹고 크기는 작은데 끈기가 있어서 먹은데 비하면 엄청나게 멀리 간다는 것이다. 이를 간추려보면 결국 한반도에서 조랑말이 살아 남은 건 쉬는 장소에 풀어만 놔도 아무거나 잘 먹어서 마초가 필요없다는 점이 매우 크게 작용했다 할 수 있겠다. 군마로 쓸 만한 품종-. 우리 역사에서도 외부로부터 어느 시점인가는 들어왔을 수도 있겠다고 보는데 이런 말들은 전쟁이 조금만 뜸해지면 한반도에서 곧 도태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 바로 이 사육의 어려움이.. 2024. 9. 28.
삼국지 동이전의 말....한반도에는 조랑말 뿐? 박물관에 가면 신라나 가야의 무사를 복원해 놓은 모형이 있는데 말을 탄 기마무사도 있다. 이 기마무사들은 모두 20세기 서러브렛Thoroughbred 같은 체고體高가 높은 말들이다. 마갑을 입은 말들도 모두 체고가 높은 우람한 말들 뿐이다. 그런데-. 비교적 문헌 자료가 많은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한반도 말들은 근세에도 그렇게 우람한 말들은 별로 없었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기병들의 열병을 하는데, 왕이 갑옷을 입히고 열병을 하자 하니, 대신들이 반대한다. 왜? 갑옷을 입고 말을 타면 말이 자빠진다는 것이다. 한반도의 19세기 말 기록을 보면 외국인들의 눈에 비친 한반도 말들은 모두 조랑말이다. 그리고 이 조랑말은 근성이 있고 적게 먹고도 멀리 가지만 성질이 나빠 조랑말끼리도 틈만 나면 싸우고 마부가 .. 2024. 9. 27.
많이 키우지 않았던 조선 돼지 우리나라는 조선시대까지도 돼지를 많이 키우지 않는다는 기록이 반복적으로 나오며 구한말 외국인의 견문록에도 이 이야기가 나온다. 반면에 농사에 쓴다고 도살을 금지한 소는 전국적으로 열심히들 잡아 먹었다. 돼지를 왜 많이 키우지 않았을까? 전통적으로 돼지를 키우는 방식은 두 가지다. 첫째는 돼지를 우리에 가두고 키우는 방식 둘째는 놔서 키우는 방식이다. 돼지를 놔서 키우기도 하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놔서 키우는 것이 동서양을 막론하고 훨씬 보편적이었다. 유럽은 중세까지도 돼지는 놔서 키웠고 동양도 황하문명이 남하하기 이전 양자강 유역은 돼지를 놔서 키웠다. 이렇게 놔서 키우는 곳은 대개 인구밀도가 가둬 키우는 곳보다 낮다. 인구밀도가 낮다 보니 거주지 주변에 광범한 황무지가 존재하고 그 황무지를.. 2024. 9. 27.
조선시대 소, 말, 돼지 구한말과 일제시대 우리나라 재래종 소, 말, 돼지에 대한 기록을 보면 일치하는 기술이 있다. 간추려 보면, 소: 그 체격과 성격, 힘에 대해 극찬하는 기술이 많다. 순하고 힘이 좋고 몸도 크다. 말: 조랑말에 대한 기술이 많다. 소위 서러브렛 비슷한 녀석들에 대한 기술은 별로 없다. 적게 먹고 강인하지만 체격이 작고 성격이 온순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돼지: 작다. 색은 검다. 등쪽에는 털도 나있다. 성장이 느리다라는 지적이 많이 나온다. 재래종 돼지는 현재 복원되었다고 이야기 하는 품종들이 있는데필자가 보기엔 남아 있는 기록과 거의 비슷한 것 같다. 조선시대의 가축 중 소, 말, 돼지를 보면, 이 중 소는 현재까지 제대로 남아 내려온것 같지만 말과 돼지는 거의 소멸한 것 같다. 흔히 제주도 조랑말, .. 2024.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