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45 후지와라 세이카, 그리고 이승훈 (2) 후지와라 세이카와 강항의 교유는 잘 알려져 있는데, 강항은 문과 급제자 출신으로 조선에서도 최고급 문사였다고 할 수 있는 바, 후지와라 세이카는 그가 승려시절 품고 있던 성리철학의 의문을 강항에게 물었다. 그는 강항과 만나기 전 도대체 어디서 성리철학의 개요를 전해 들었을까? 책이다.무슨 책? 대단한 책도 아니고 사서 주자집주다. 이때쯤이면 이미 사서에는 주자가 주를 단 버전이 쫙 깔려 있어 성리철학을 접하지 않으려 해도 접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일견해서는 뜬구름 잡는 소리로만 보이는 그 주자주의 철학적 관념들이 실제는 매우 구체적으로 짜여진 고도의 철학적 완성품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주자의 주를 읽고 나름 짐작한 성리철학이 과연 맞기는 맞게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생기고 바로 그에.. 2025. 5. 12. 성리학을 모태로 탄생한 한국 기독교 여기서 한국 기독교란 천주교 개신교 등의 종파가 아니라 크리스천을 말한다. 한국 최초의 교회, 이승훈이 만든 "사도전승 없는 가짜 교회"는 사실은 성리학을 모태로 탄생했다. 이들은 뼛속깊이 성리학자로서, 어릴 때부터 고도의 성리학 교육을 받아 성공한, 일급의 문사들로서, 성리학의 가르침과 논리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왜 한국 기독교의 개창기-. "이승훈의 교회"가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세워졌는가, 그 이유는 바로 이 한국에서 자생한 교회가유학, 성리학을 모태로 탄생하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리학과 서양 철학 중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매우 비슷한 측면이 많고, 이들이 천주학 책을 받아가 자습하다가 의문을 풀기 위해 북경으로 가 그 곳 신부를 만나 자신의 생각이 맞다는 것을 확인한.. 2025. 5. 12. 후지와라 세이카, 그리고 이승훈 (1) 성리학은 사도전승 되는 것이 아니다. 사제관계는 당연히 학맥이라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사제관계가 반드시 성립되어야 그 진수를 체득한 것이 아니다. 그렇게 따지면 도통은 이미 끊어졌고 우리가 그 도통을 이었다고 자임한 북송의 유학자들은 어떻게 성리학을 발명했겠는가? 여말선초 유학자들은 성리학에 관련된 자료를 들고 들어온 것이지성리학자를 만나 스승으로 모시고 이로부터 제자로 인준받아 돌아온 것은 아니었다. 퇴계, 율곡, 남명, 화담 모두 마찬가지다. 스승은 모셨겠지만 이들이 성리학 진수를 체득한 것은 스스로 깨달음에 의한 것이라는 뜻이다. 결국 성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철학의 텍스트, 그리고 이를 반복 독서 사유하는 부지런함과 치밀함이 되겠다. 그러면 이것이 전부인가? 그렇지 않다. 성리철학은 매우 .. 2025. 5. 12. 예학 그리고 교회 만들기 조선후기 성리학은 예학으로 특징지을 수 있지 않을까. 성리철학에 대한 이해가 끝난 조선의 유학자들은 예학으로 달려갔다. 정확히는 고대 이후 망실되었다는 고례의 복원을 위해서였다. 삼년상이니 친영례니 이런 유교 의례는 원래 조선에는 없었고 중국도 사라진 고례가 많았다. 유교적 이상국가를 꿈꾼 조선유학자들은 고례의 복원을 열망했는데 이에 따라 조선사회를 고례에 의해 작동하는 사회로 바꾸고자 했지만 문제는 고례가 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것이 되겠다. 이런 때 지남의 역할을 한 것은 결국 주자가례와 유교 텍스트로서주자가례에 자세히 적힌 것은 그대로 따라 하되여기도 남아 있지 않은 고례는 남아있는 경전(주로 예기)의 편린에 따라 하나씩 조각을 맞추어갔다.그렇게 완성된 것이 조선의 의례다. 조선이 복원한.. 2025. 5. 12. 어째서 성리학자가 천주교도가 되었는가라는 문제 지금까지 조선의 선비들이 천주교도가 된 문제에 대해사상적 차원에서 접근한 시도는 많지 않았다고 본다. 특히 이미 성리학적 세계관에 깊이 침잠한 일류 성리학자들이 어째서 천주교에 경도되었는가, 그 이유에 대해서는 기적이라던가, 천주의 섭리라는 종교적 설명 외에 철학적으로 도대체 왜? 어째서 성리학자들이 그토록 쉽게 천주교에 경도되었는가, 그 문제를 파고든 부분이 많지 않았다고 본다. 필자의 생각에는, 초기 한국 교회사는 교회사가 내지는 종교학자가 할 것이 아니라, 성리철학에 능통한 분이 파고들어야 한다. 그래야 도대체 어째서 일류 성리학자들이 어느날 훌러덩 천주교에 빠져든 이유를 천주의 섭리라는 설명 이외에서 찾을 수 있다는 말이다.필자의 소견으로는, 한국의 천주교가 성리학적 세계관을 탈피하여 본격적으로 .. 2025. 5. 12. 맹자를 읽고 도통을 만난 성리학자들-성경근본주의와 유사점 오직 성경에만 기반하여 교회를 만들고 운영하겠다는 것이 곧 프로테스탄티즘일 것이다. 성리학은 이 프로테스탄티즘, 개신교와 유사한 점이 매우 많다. 가장 비근한 예로서, 초기 북송 성리학자들은 사서, 특히 맹자를 죽도록 파면서 이미 천년 전에 단절된 도통을 자신들이 이었다고 주장하는 근거를 찾았다. 이는 교회에서 전하는 전통을 부정하고, 오직 성경에 기반하여 교회를 재건하고자 하는 프로테스탄티즘과 동일한 방식이다. 공자님은 말씀하셨다. 子曰 夏禮吾能言之 杞不足徵也 殷禮吾能言之 宋不足徵也 文獻不足故也 足則吾能徵之矣무슨 말인가? 믿을 만한 문헌만 있다면 진리는 얼마든지 그 안에서 내 스스로 찾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도통을 중국 성리학자들에게서 받아온 것이 아니라, 문.. 2025. 5. 12.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4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