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61 매우 닮아 있는 다이아몬드와 토인비의 세계관 토인비와 다이아몬드는 출발점도 다르고 양자간 문명론도 분명한 차이가 있지만유심히 보면 이 두 사람 주장은 많은 부분이 닮았다. 우선 세계사를 일원론적인 발전사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여러 개 문명이 발생과 발전 쇠퇴와 멸망의 과정을 밟아가며세계사는 이러한 문명의 종합체라고 본다는 점은 거의 동일한 세계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인비와 다이아몬드 책을 보면 많은 문명의 역사가 기술되어 있고어떻게 발전했는가 보다 훨씬 중요한 것이 어떻게 쇠퇴하고 멸망했는가라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사실 이러한 세계관은 막시즘과 이에 반응한 카운터 막시즘이 지적 세계를 장악한 20세기에는주류의 사관의 자리를 차지 못한 그런 마이너한 사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사관은 유심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과연 역사.. 2025. 1. 12. 비로소 읽어보는 문명 비평서들 Personal Journal of D.H. SHINProfessor, Dept of Anatomy and Cell Biology/Institute of Forensic and Anthropologic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3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South Korea. E-mail: cuteminjae@gmail.compaleoshin.blogspot.com필자의 연구편력 블로그 필자는 세간에 유명한 문명비평서는 거의 읽어보지 않았다. 일단 의대를 졸업한 후 대학원에 들어가서부터 지금까지문명비평서를 읽을 정도의 시간 여유가 없었다. 정확히 말하면 전혀 안 본 것은 아닌데 예를 .. 2025. 1. 11. 동문선 선독은 왜 없는가 일본사를 보면 눈에 띄는 것 중 하나가 칙찬 와카집 勅撰和歌集이다. 쉽게 말해 덴노의 명으로 편찬된 와카집으로한 번만 출판된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출판되었고 이 때문에 만엽집 이후 일본의 전통 시가에 대한 자료는 매우 풍부하다. 사실 와카라고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은 헤이안 시대 이후의 것이라 우리로 치면 통일신라 이후의 작품에 해당한다. 반면 우리 문학 시가의 분량은 매우 빈약하다고 느끼게 되는데사실 빈약한 것이 아니라 아무도 읽지를 않아서 그렇다. 우리 역사에서 동문선은 133권 45책, 4천302편의 글이 실린 방대한 대작인데이 책이 나온 것이 조선 전기이며 이른 것은 많이 올라간다고 하지만 대체로 통일신라 이후 고려시대, 조선 전기에 몰려 있어일본의 칙찬와카집이 나올 떄와 거의 시기를 같이 한다 하.. 2025. 1. 11. 밥 딜런보다 위대한 나훈아 밥 딜런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발표되었을 때필자 기억으로는 한 달인가 두 달인가 수락의 멘트 대신 길고긴 침묵이 이어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마 본인도 난감했으리라. 노벨문학상은 대단한 영예이니 이를 받자는 욕망과 자신이 쓴 수많은 노랫말 정신이 아마 서로 길항되어 부딪혔으리라. 그리고 그가 노벨문학상을 받는 순간 필자는 밥 딜런 스스로 그의 음악의 당위성을 해체시켰다고 생각했다. 그의 주옥 같은 가사가 모두 공기 속으로 날아가 사라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지금도 필자는 밥 딜런은 필자와 다름 없는 속물이라고 생각한다. 나훈아-. 위대하다. 훈장을 거부했을 때 멘트를 보면 이 사람은 진심이다. "세월의 무게, 가수라는 직업의 무게도 엄청나게 무거운데, 훈장을 가슴에 달면 그 무게까지 제가 어떻게 견디냐.. 2025. 1. 10. 외국어는 당신을 자유롭게 한다 젊은 분들은 외국어를 3개 정도는 해 두기를 권한다. 필자는 한국어 외에 영어, 중국어, 일본어, 그리고 한문 (고문) 이렇게 넷을 하는데, 이 네 가지 언어를 하는데 있어 시간은 좀 들였지만 그동안 들인 시간과 공덕의 본전은 충분히 뽑았다고 생각하며무엇보다 지금 남은 여생에도 이 네 가지 언어가 필자의 삶을 무한히 윤택하게 해줄 거라는 믿음이 있다. 또 한 가지-. 외국어는 파란약으로 끊임없이 세뇌하려는 모국어의 유혹에서 당신이 벗어날 수 있게 만든다. 모국어에만 전적으로 지적 정보를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 특히 한국어처럼 이 나라에서만 쓰는 언어인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그 언어가 세뇌의 도구로 쓰이고, 권력이 그 언어 사용자를 통제하고자 할 때 이에서 벗어날 방법이 없다. 이럴 때 외국어는 이러한.. 2025. 1. 8. 한 번도 도전받지 않은 "역사발전의 법칙"과 "참여하는 지식인" 우리나라 소위 식자층에는 전설처럼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소위 "역사발전의 법칙"과 "참여하는 지식인"이다. 이 두 가지는 세트를 이루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그 타당성에 대해 한 번도 제대로 비판 받은 바가 없다. 물론 단순한 불의에 대해 항의하는 수준의 "참여하는 지식인"의 활동까지 이 범주에 놓고 재단할 생각은 없다. 그런 용기라면 당연히 칭송받아야 할 터. 필자가 이야기하는 것은 "역사발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상정하고이에 근거하여 "참여하는 지식인"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도대체 역사발전의 법칙이라는 것이 뭔지 지금까지 한 번도 제대로 검증된 바도 없고이게 사실인지 아닌지 뭔지도 모른다. 필자가 보기엔 이 세상에는 수도 없는 다양한 정치체, 사회가 존재하는데이런 사회를 모두 줄을 .. 2025. 1. 8.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4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