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840 "백번 기도가 한 번 종두만 못하다" 100년전 두창 예방주사 장려 표어 1922년 코레라 예방 표어 당선작과 이듬해 두창 예방 표어 당선작이다. 코레라 콜레라 예방 표어 당선작은 이렇다. 일등..보이지 않는 곳에서 코레라는 번진다 이등..코레라에는 내일이라 하지 말고 오늘 주사 삼등..천리의 코레라도 이웃이라 생각하라 두창 예방 표어 당선작이다. 일등..죽을내, 얽을내, 종두할내 이등..백번 기도가 한번 종두만도 못하다 삼등..곰보는 문명의 수치 둘다 어딘가 기시감 다대하니 지금의 코로나 정국에서 백신접종을 독려하는 논리랑 같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 2021. 10. 16. 그리스조각의 대량 복제생산 로마제국시대 유물을 보면서 이상했던 점 중의 하나가 그리스 조각의 대량 복제 문제였다. 왜 짝퉁을 저리 많이 만들었을까? 이것이 궁금하기는 해도, 나는 그것을 제대로 물은 적도 없고 그런 까닭에 그런 의문을 풀 이유도 없었다. 그렇다고 내가 이쪽에 관심이 많아 적어도 개설서라도 한 번 읽어봤으면, 그에 대한 해명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런 기회조차 나에게는 없었다. 그러다가 근자 로마제국 관련 책 하나를 읽다가 이 문제가 심각히 언급되고 있음을 보았다. 이에 의하면 로마제국 어느 시기에 고대 그리스 어느 지역 정복전쟁이 있었단다. 그 전리품으로 그리스 조작이 대량으로 로마에 들어왔단다. 꼭 이 사건이 아니었다 해도, 그리스 광풍이 일어 그때 권력자들 사이에서는 그리스 조각 수집 열풍이 일었단다. 그것을 집.. 2021. 10. 12. Criteria for Selection to be included on World Heritage List 세계유산 등재조건 The Criteria for Selection To be includ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sites must b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meet at least one out of ten selection criteria. These criteria are explained in th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hich, besides the text of the Convention, is the main working tool on World Heritage. The criteria are regularly r.. 2021. 9. 22. 동경은 등때기에 울러맸지 가슴팍에 걸치지 않았다 동경, 곧 청동거울이 출토하는 양상을 보면 첫째 무덤 혹은 그에 버금하는 곳, 곧 부처님 산소인 탑 같은 데가 압도적이고 둘째 각종 문양이 있는 곳이 실은 거울 뒷면이라 거울 본연의 기능과는 암짝에도 관련없으며 셋째 저 무령왕릉 출토품처럼 뉴 라는 돌기에 구멍을 뚫어 어디다가 매달았음을 추찰케 한다. 문젠 저걸 사람이 매달아 사용한다 했을 적에 착장 방식이라 백이면 백명이 다 저런 식으로 생각한다. 고고학 역사학 혹은 그 언저리 있는 자들은 모조리 저런 식으로 목에다다 끈을 매고 앞쪽 그러니깐 가슴팍으로 늘어뜨려 사용했다고 본다. 저런 인식은 주로 시베리아 샤먼에 대한 근대기 민속지 조사에서 기인하는데 18-9세기 이래 저 지역을 답사한 민속학자들이 촬영한 사진 혹은 보고서를 보면 저런 식으로 등장하기 .. 2021. 9. 22. 지진구 진단구? 멀쩡한 태항아리의 둔갑술 공평동유적전시관 전시품 땅쟁이들은 곧 죽어도 지진구 진단구 맞니? 지진구 진단구니? 증거 있니? 뭐니? 태항아리다. 태단지 *** 지진구 혹은 진단구에 대한 한국고고학 설명은 아래를 참조하라 지진구(地鎭具)와 도자기 [심지연] 지진구(地鎭具)와 도자기 [심지연] | 보도/설명 상세 - 문화재청최근 세계 여기저기에서 지진으로 인한 건물 붕괴로 많은 피해가 있었다는 뉴스를 접하면서 우리나라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의 소식들이 들리고 있다. 땅이 흔들리고 갈라지는 자연재해www.cha.go.kr 2021. 9. 9. 거창 수승대의 네 가지 이름 수승대 현지에는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1686~1761) 친필 시가 남았으니 그 시 전문은 아래와 같다. 신라백제 전한 전한 이름 수송대愁送臺더니 요수 선생이 개명한 이름은 암구대巖龜臺라 퇴계가 이름을 내려 수승대搜勝臺라 했으며 신씨 집안 유풍으론 요수대樂水臺라 한다네 羅濟傳名愁送臺 樂水改名巖龜臺 退溪錫名搜勝臺 遺風誦名樂水臺 관아재 조영석은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과(1707~1769) 함께 삼재로 일컬어지는 화가라, 이 시는 그가 1738년 안의현감으로 부임해 5년간 근무하다가 1743년(계해년) 임기가 만료되어 떠날 때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수승대는 삼국시대에 愁送臺로 불리다가, 조선시대로 들어와 愼權이 차지하고부터는 巖龜臺로 불렸고, 1543년 이.. 2021. 9. 9. 이전 1 ··· 347 348 349 350 351 352 353 ··· 4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