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936 일부일처제 monogamy와 그 베리에이션 variation (1) 타협 흔적에서 드러나는 한국사 특징 중 하나가 전 왕조를 통털어 혼인시스템이 철저한 일부일처제 Monogamy 사회라는 점이다. 이는 동시에 남자가 마누라를 두 명 이상 둘 수는 없었다는 뜻이다. 위선 저와 관련한 기록이 가장 확실한 조선시대를 보아도 조선왕 27명 중 정식 부인으로 동시에 둘 이상을 둔 경우는 단 한 명도 없다. 그 많은 왕의 여인들은 간단히 말해 정식 부인은 한 명 뿐이었고 나머지는 우수마발 첩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특정한 왕이 정식 부인을 둘 이상 둘 수 있으니 숙종은 셋이었고 숫자로는 둘, 하도 오래산 영조는 둘이었지만 동시에 마누라가 둘인 적은 없었다. 고려 왕조 역시 이러해서 초대 왕 왕건의 경우 창건주라는 특징에서 여러 왕비를 병렬로 둔 듯하나 개소리라 종묘 그리고 그의 무덤에 .. 2023. 5. 13. 고구려 태조왕太祖王의 책성柵城 순수巡狩와 봉선封禪(원문 첨부) 일전에 저 논문을 필자인 나도 구하지 못해 환장하겠다는 소식을 전했으니 서지사항은 아래와 같아 김태식, 고구려 태조왕太祖王의 책성柵城 순수巡狩와 봉선封禪, 《한민족연구》3, 한민족학회, 2007. 6(45~69쪽) 또 아래를 보면 국회 전자도서관에서 원문보기 서비스를 한다는 사실을 리승수 군이 알려줬다. 국회전자도서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우편복사 안내 우편복사 안내 ◾ 도서관을 방문하지 dlps.nanet.go.kr 다만 다운로드는 안 되게끔 해놔서, 저걸 리승수 군이 PDF로 전환해 주었다. 거듭 고맙다는 말을 한다. 나아가 저 토대가 된 옛날 원고 뭉치도 찾았으니 아래에 첨부한다. 2023. 5. 12. Sarangchae 사랑채 The sarangchae functioned as an auxiliary space to family life as it celebrated its most important moments in the anchae 안채. The term denotes an everyday living- and work room usually set aside for male labor and also hosting. The sarangchae was a space for breeding animal stock, storing crops, and keeping farm implements in the winter, farmers would use the room as a workplace, making straw rop.. 2023. 5. 10. 대장간 blacksmith's (Daejanggan) in Korea The 'daejanggan' has been a place where iron was heated to make various tools, and it was mainly located in rural markets. Wandering blacksmiths visited the village far from the market. The daejanggan was equipped with various tools for blacksmithing. The blacksmith's shop, which made various household items was an important place for self-sufficient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대장간은 쇠를 달구어 각종 .. 2023. 5. 7. 도난 당한 백제 창왕시대 사리장엄을 복원한다 이것도 일전에 한 얘기지만, 건디기가 사라졌다 해서 학계가 그 껍대기만 남았다 해서 포기해 버린 대표 유물이라, 그 방기한 자리에다가 우리는 무엇을 가져다 채워야 하는가? 우리가 채워야 할 것은 저 속물이라, 위선爲先, 그 모양이 우체통이라 이것이 무엇을 말함인지를 궁구해야 했으니, 그것이 바로 동시대 목관임을 하시何時라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 속알맹이는 어느 시점인지 도굴꾼이 쏙 빼어갔으니, 그럼에도 우리는 저 외양이 무엇을 말함인지를 물었어야 하며, 거기에서 바로 우리가 채워야 할 것을 찾지만, 아무도 묻지 아니했다. 왜? 이 친구들은 밥술에 밥을 떠서 먹여줘야 하니깐 말이다. 왜 묻지 아니했으며, 왜 답을 찾지 못했는가? 그들은 탑파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 적이 다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탑파란 .. 2023. 5. 7. 신라는 왜 1만 군사를 내주었는가를 다시 묻는다 앞서 나는 순망치한이라는 논리로 475년 신라가 쓰러져가는 백제를 구원하고자 1만 명에 달하는 대군을 백제로 파견했다고 했다. 그걸로 모든 의문이 명쾌히 해명되는가? 앞서 말했듯이 저 파견이 신라로서는 실상 고구려와의 전면전 선언이었다. 고구려가 7일 낮 7일 밤만에 백제 왕도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참수한 다음 그대로 한성에 주둔한 상태였다면 한성에서는 2차 대전이 벌어질 것임은 한밤중 불을 보듯 뻔했다. 그걸 모를 리 없는 신라 조정과 자비마립간은 왜 고구려와의 전면전을 불사했는가? 첫째 신라 내부의 자신감이었다. 우린 어느 누구와 붙어도 그네들을 깨뜨린다는 자신감이 있었고 그것이 아니라 해도 이참에 고구려를 확실히 꺾어놔야 한다는 매파가 득세했다. 나는 그 진원지로 벌지와 덕지를 주목해야 한다고 .. 2023. 5. 5. 이전 1 ··· 329 330 331 332 333 334 335 ··· 49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