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런저런1559

어느 원로 문화인류학도 부음에 즈음하여 '한국 토착적 인류학' 모색한 강신표 명예교수 별세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한국 사회와 문화 진단을 평생의 과제로 삼아 연구해 문화인류학계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강신표 인제대 명예교수가... www.yna.co.kr 나는 이 분을 잘 모른다. 어찌하여 페이스북이 연결해 친구가 되었지만 유별나게 온라인에서 교유가 많았던 것도 아니다. 다만 고인이 생전에 한양대서 교편을 잡았던지 이쪽 출신자들과 인연이 많은 내가 그리 얽힌 관계로 이리저리 연결됐다고 기억하며 덧붙여 나는 고인이 생전에 정리하는 글들을 흥미롭게 읽곤 했다는 말은 해둔다. 레비스트로스와의 인연이며 누구나 알 만한 현대사 문화계 인사들과 얽힌 사연은 그의 팔순 성상의 깊이가 녹록치 않음을 말해준다.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이 .. 2021. 10. 31.
번갯불 콩볶은 제주 방문 해고되어 2년 만에 복귀했더니 기사 송고 방법을 까먹어 적응한다고 한동안 버벅였다. 다시 그 엇비슷한 터울 지고 공항이란 데를 나서니 어리벙벙, 제주행 국내선임에도 두 시간 먼저 도착하니 내가 황당했고 탑승권인지 기계로 눌렀다가 다 까먹고는 빠꾸하곤 했으며 탑승장도 못찾아 둥절했다. 등신되는 거 잠깐이다. 오전 일정 끝내고 시간 남아 빈둥빈둥 하다 에랏 제주박물관이나 들렀다 가자 해서 들렀다간 구내 카페서 앵꼬난 휴대폰만 충전하고는 십분만에 전시실 둘러치곤 다시 공항 볼건 없고 그 야외 서성이다 나무 꽃 몇 그루만 감상이라 봐도 무슨 꽃 무슨 나문지도 몰라 오직 이 나무만 먼나무? 라 한다는 제주도분 설명이 있는지라 제주감은 왜 이리 코딱지만한지 감이 아니라 고염이라 하나 따 먹으려니 땡글땡글 마눌님 간.. 2021. 10. 27.
찔레꽃 사이나의 추억팔이 찔레 열매라 지금 이 모양으로 빨갛고 딱딱하다. 크기는 이 정도라 쥐똥 만하다. 이게 좀 더 익으면 좀 말캉말캉해지는 걸로 기억하는데 자신은 없다. 이걸 실은 꿩 같은 새가 아주 좋아해서 이걸 이용해 잡곤 했으니 방법은 이랬다. 저걸 드릴이나 못 같은 날카로운 도구로 속을 파낸 다음 사이나 작은 덩이를 안에다 집어넣고는 꿩이 먹이를 찾을 만한 데다 둔다. 보통 눈이 온 날 가시덤불 밑이나 타작이 끝난 논두렁 볏단더미 인근이라 사이나는 청산가리 독약이라 그 자리서 그걸 먹은 친구들은 순직하신다. 그리 잡은 새는 당연히 내장은 버린다. 저 찔레 말고 콩알도 같은 방식으로 애용했으니 이건 속을 파내는 데 품이 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2021. 10. 27.
오징어게임 위협한 갯마을차차차, 김선호 낙태 회유 쇼크에 휘청 "유명 남성배우의 거짓회유에 속아 낙태" 온라인 글 논란 김정진 / 2021-10-18 18:19:25 "유명 남성배우의 거짓회유에 속아 낙태" 온라인 글 논란 (서울=연합뉴스) 김정진 기자 = 한 남성 배우의 아기를 가졌다가 회유를 당해 임신 중절을 했다는 글이 온라인에 퍼져 논란이 일고 있다.18일 방송가에 따르면 전날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대 k-odyssey.com 이 기사가 오른 시점이 우리 공장 기준으로 어제 저녁 6시가 갓 지난 무렵이라, 이때까지만 해도 누군가 하면서도 일방적인 제기이니만큼 혹 있을지도 모르는 음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지울 수는 없었다. 그러면서도 못내 저에서 지목한 당사자가 누구인지는 궁금했으니, 수소문하니 느닷없이 김선호라는 이름이 튀어나온다. 내가 유별난 이쪽 애호.. 2021. 10. 19.
궁상맞은 경복궁 가을 하늘 모처를 들렀다 공장으로 복귀하는 길에 가로지른 경복궁은 파래 삶은 듯한 배경으로 하이타이 비누 거품 색깔을 풀어놓았으니 누군간 고향 두고온 순이 생각할 테고 누군 섬마을 휘젖고 떠나 버린 국민학교 선생이 떠오를 테고 또 누군간 곧 만날 님을 그릴 테고 또 누군간 참말로 잔정이라곤 눈꼽만큼도 없던 아비를 그릴지도 모른다. 그래서 저 청명은 궁상이다. 2021. 10. 13.
유례없이 공활한 가을 하늘이 팬데믹의 선물? 착란한 기억인지 자신이 없으나 한반도 하늘이 이리도 공활한 무렵은 한여름 막바지 가을 문턱 시점의 전매특허 아닌가 하거니와 단풍이 시작하고 그것이 한창일 무렵은 대체로 우중충한 하늘이 펼쳐지지 않았던가? 한데 올해는 유례없이 이런 하늘이 거푸거푸 펼쳐지니 얼마전인가? 이는 통계로도 그런 증상이 입증된 것이 아닌가 하거니와 그런 기사를 본 듯 하다. 코로나 팬데믹과 모종의 연동이 있을라나? 그러지 않고선 이렇다 할 이유도 찾기 에렵다. 2021.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