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325

루도비시 갈리아인 Ludovisi Gaul, 켈틱계의 계백이 "루도비시 갈리아인Ludovisi Gaul"으로도 알려진 이 조각은 대략 서기 2세기 제작품이라 본다. 기원전 230~220년 무렵 제작한 그리스 청동 조작 원본을 토대로 삼아 로마시대에 대리석으로 복제한 것이라 한다. 흔히 말하기를 이 조각 원작 청동 제품은 아나톨리아 반도 동쪽 끝 에게해랑 접한 곳에 터잡은 헬레니즘 왕국 페르가몬 Pergamon 왕국의 승전 기념비 일부라 하거니와이르기를 이 왕국 아탈루스Attalus 1세 [재위 241 BC to 197 BC]가 기원전 240년 켈트족 갈라티아인Galatians과의 전투에서 거둔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궁정 조각가 에피고노스Epigonus한테 의뢰해 제작한 것이라 하거니와그 근거가 무엇인지 나는 늘 궁금하다. 훗날 짬이 나면 이런 것들을 찾아 보려 한.. 2025. 7. 8.
오세베르그 수레, 상여로 쓴 바이킹 리무진 오세베르그 마차 Oseberg Wagon - 완벽하게 보존된 바이킹 시대 유일 유산시대 : 서기 9세기 위치 : 노르웨이 오슬로 피오르드Oslo Fjord 인근 오세베르그 무덤 Oseberg burial mound문화: 바이킹 시대1904년 노르웨이 베스트폴드Vestfold에 있는 화려하게 장식된 오세베르그 배무덤에서 발굴된 이 오세베리 마차는 현존하는 바이킹 시대 마차 중 유일하게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배무덤은 여러 번 소개했다. 제작 시점이 9세기 초로 추정되는 이 마차는 두 명 고위층 여성과 함께 묻혔으며, 바이킹 시대 고고학적 유물 중 가장 장엄한 유물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나무를 정교하게 조각하고 네 개 견고한 바퀴 위에 올린 오세베르그 마차는 기능성을 갖춘 차량일 뿐만 아니라 .. 2025. 7. 8.
라피스 라줄리, 권력을 매료한 푸른 황금 6,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아프가니스탄 산들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귀중한 보물 중 하나인 라피스 라줄리Lapis Lazuli, 곧 청금석이라 번역하기도 하는 광석이 숨어 있었다.바다흐샨Badakhshan 험준한 사르에상 광산들 Sar-e Sang mines에서 이 매혹적인 푸른 돌blue stone이 탄생했다.단순한 보석을 넘어 권력, 영성, 그리고 아름다움의 상징이 되었다.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등지에서 라피스 라줄리는 왕족, 사제, 그리고 신성함을 상징하는 보석으로 여겨졌다.투탕카멘 장례 가면을 장식했고, 그 오랜 뒤 그것을 분말화한 안료는 르네상스 걸작의 찬란한 군청색을 만들어냈다.여러 항로를 거쳐 거래된 라피스 라줄리는 '푸른 황금blue gold'으로 알려졌으며,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제.. 2025. 7. 8.
모아이 석상의 고장 라파누이 섬은 고립되지 않았다 수십 년 동안 고고학자들은 라파누이Rapa Nui(이스터 섬Easter Island)를 폴리네시아 문명의 최전선, 즉 서기 1200년경 최초 정착 이후 완전히 고립된 외딴 전초기지로 묘사했다.이러한 주장은 태평양 고고학계를 지배하며, 이 섬의 유명한 모아이 석상 moai statues과 의례 단지를 더 넓은 폴리네시아 세계와 단절된 사회의 산물로 묘사했다. 그러나 웁살라 대학교에서 Antiquity에 발표한 획기적인 새로운 연구는 이러한 오랜 고정관념을 깨뜨렸다.라파누이는 단순히 폴리네시아 문화를 수용한 곳이 아니라, 의례 사상을 태평양 전역으로 전파하여 동폴리네시아 전역의 성지 발전에 영향을 미친 적극적인 혁신가였음을 밝혀냈다.서쪽으로의 물결: 이스터 섬의 신성한 건축물 수출곧 권위 있는 학술지인 앤티.. 2025. 7. 8.
인도 라키가리 유적 조사의 한 단면 홍종하 선생이 올린 과거 사진이라, 보니 2015년 포스팅이다. 저 무렵 홍 선생이 포함된 신동훈 교수팀이 인도 라키가리 유적 조사에 투입되어 현지조사를 했다. 이 조사 관련해서는 신동훈 선생이 여러 차례 걸쳐 소개했다. 그 조사보고서 제1권이 영어판으로 출간됐고 지금은 그 후속 보고서 작업 중인 것으로 안다. 이 조사가 한국고고학에서는 자연과학, 고인류학의 첫 해외 진출로 알거니와 그런 점에서 대서특필해야 할 사건이다. 2025. 7. 8.
중세 성채에서 똥싸는 방법과 장소 당시 프리비privy 또는 가르데로브garderobe라 일컫던 중세 화장실은 원시적인 형태였지만, 성 안에서는 다른 곳보다 조금 더 편안하고 훨씬 더 많은 디자인적 노력을 기울였다.실용성, 프라이버시, 그리고 효율적인 폐기물 처리가 모두 고려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폐허가 된 중세 성에서 가장 눈에 띄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외벽에서 튀어나온 변소다.가르데로브garderobe라는 용어는 나중에 프랑스어로 옷장을 의미하게 되었는데, 원래 의미는 성 화장실에서 필요 이상으로 크지 않은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변소는 일반적으로 성벽에 내장되어 코벨(corbel, 성벽 일부) 위로 돌출되어 있었고, 오물은 성 해자로 흘러내렸다.때로는 오물이 강으로 바로 흘러가기도 했고, 어떤 성에서는 안뜰이나 외벽으.. 2025.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