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461

[그리스] 아이가이 Aigai (베르기나 Vergina) 왕릉군, 고대 마케도니아의 영혼 앞에서 '대왕'이라는 수식어가 익숙한 몇몇 왕이 있는데, 그 중 한 명이 동서양 교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알렉산더 대왕'이다. 알렉산더 대왕 치세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받는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필리피) 2세'의 무덤을 포함한 고대 마케도니아 왕릉군이 모여있는, 그리스 북부 도시 베르기나를 찾았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1996년 등재. 1977~78년, 무덤 2기가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그간 무덤의 주인을 추정만 해 왔으나, 그 중 1기에서 출토된 유골을 2015년에 분석한 결과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인 필리포스 2세의 무덤임이 확인되었다. '무덤' 과 '출토유물' 전시로 구성되어 있다. https://maps.app.goo.gl/kPfnjACQGcWpMERr9 아이가.. 2023. 12. 11.
6세기 마한 이 정치체를 마한이라고 부를지 뭐라고 부를지 모르겠지만 6세기초의 전방후원분의 존재도 보고해 놓고는 백제의 영향력이 뚜렷하지 않으니 여기는 6세기까지도 독립적 세력이 있었다고 하는 설명이 가능한가? 아예 전방후원분이 없었다면 모를까. 필자 생각으로는 도대체 어떻게 설명하면 전방후원분이 나오는 상태에서 백제의 영향력이 안 보인다고 여기가 독립적 세력이 있었다고 바로 결론이 나오는건지 모르겠다. 상식적으로 6세기 초에 전방후원분이 나오는데 백제 영향력이 뚜렷하지 않다면 어떤 결론을 내리게 될까? 내 머리로는 도저히 독립적 마한 세력의 존재로 바로 결론이 나지를 않는데, 도대체 어떻게 하면 이런 상황에서 독자적 세력이 6세기초까지 존재하여 백제도 아니고 왜도 아닌 세력이 삼국시대 후기까지도 존재했다고 결론을 .. 2023. 12. 11.
6세기까지 남았다는 마한의 독립성 필자는 6세기까지 백제와 구별되는 마한의 독립성이 고고학적으로 보인다 아니다 이런 이야기를 여기에다 하려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그런 것을 고고학적으로 구별할 능력이 필자에겐 없다. 다만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지금 이야기처럼 6세기까지 마한의 독립성이 유지되었다고 본다면, 그것은 단순히 마한 스스로의 힘으로 그 독립성이 유지되었다고 판단하지 않을 사람들이 바다 건너편에는 바글바글하다는 점. 그 점 하나만 좀 이야기 하고자 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엄연히 있었던 마한의 독립성을 우리가 바다 건너편의 반응이 싫어서 부정해야 한다. 그런 뜻은 아니고. 문외한의 입장에서 볼 때 일본쪽 이야기들까지 함께 시야에 넣어 최근의 마한사 기술동향을 보면 아무래도 바다 건너편에서는 그렇게 정리가 들어갈 것 같다.. 2023. 12. 10.
속살 드러낸 영암 옥야리고분 18호분 매장문화재전문조사기관인 고대문화재연구원이 전남 영암군 의뢰로 지난 10월 4일 이래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40호인 시종면 옥야리고분군 중 18호분이라 이름한 무덤을 판 모양이라, 그 현장을 지난 5일 공개하고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는데 이번 조사 결과 목관 2기, 옹관 2기, 석곽 2기를 확인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무덤 또한 이 지역에서는 비교적 흔한 봉분 하나에 여러 사람을 각기 다른 공간에 묻은 이른바 벌집형 무덤에 속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앞서 조사한 이곳 17·19호분에 비해 이번에 조사한 18호분은 목관 2개를 가장 밑바닥에 깔고 그 위에다가 옹관과 석곽을 배치한 점에서 구별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앞서 조사한 17호분과 19호분 양상은 어떻단 말인가? 표현에 문제가 좀 있다. 아무튼 .. 2023. 12. 10.
아주 모호한 보도자료, 발굴소식에 빈발하는 앰비규어티 금번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계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 등이 조사됐으며, 한성백제와 마한의 관계를 조명할 수 있는 흑색마연토기 및 지도자급 위세품인 소환두대도, 곡옥 등이 발굴됐다. 어느 지자체 근자 보도자료에 보이는 한 구절이다. 이 지자체만이 아니라 고고학 발귤성과를 전하는 보도자료에서 항용 보이는 표현이다. 이 구절에서 특히 무엇이 문제인가? 마한계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 등이 조사됐으며 이 구절이 특히 문제가 된다. 모르긴 해도 이를 작성한 조사기관, 그리고 이를 검토해 배포한 지자체에서는 토광묘 17기, 옹관묘 7기, 주거지 7기를 포함한 마한시대 흔적(유적)이 조사되었다 는 말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저 문장에서 문제는 도대체 마한계가 수식하는 구.. 2023. 12. 10.
"퇴임 뒤엔 풍납토성 가이드 해보고 싶어" 엥? 내가? "퇴임 뒤엔 풍납토성 가이드 해보고 싶어" 정은경 기자, pensidre@mediatoday.co.kr 입력 2006. 3. 23. 13:55수정 2006. 3. 23. 13:55 [한국의 전문기자] (15)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재 전문기자 [미디어오늘 정은경 기자] 그의 기사는 어렵다. "세종 때 능엄경 초각본 완질이 공개됐다"거나 "현종·숙종시대 '승정원사초'가 완간 됐다"는 식의 기사는 일상 생활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어 보인다. 게다가 문장 곳곳에 한자가 모래알처럼 박혀 있어 기사는 더 어렵게 느껴진다. 그러나 여기 때로 '아는 사람들만의 기사'도 필요하다고 믿는 기자가 있다. 연합뉴스 김태식(40·사진) 문화재 전문기자다. "전문가의 입을 빌려 중·고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평이하게 전달하는.. 2023.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