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61 유물도 거지 같은데 스토리는 더 거지, 덧띠토기의 경우 한국고고학에서 신주단지 받들듯 하는 덧띠토기라말 그대로 주둥이를 돌아가며 덧때를 댔다 해서 덧띠토기 점토대토기라 부른다.저걸로 논문이 도대체 몇 백 편 나왔는지도 모른다.왜 덧띠토기인가?그 시대상을 민감히 반영한대서?뭐 이딴 식 설명이 나오는데, 그게 중요한가? 눈꼽만큼도 안 중요하다.특정한 시대에 걸쳐 특정한 시기만 나오니 그래도 그럴 수도 있다 치자.한데 하는 꼴이 가관이라, 이거 어떤 놈이 그딴 거지 같은 표식을 개발했는지 모르겠는데 어떤 놈이 저 중에서도 깨진 것을 본 모양이라, 깨진 모양새를 보니 저 덧띠 단면이 어떤 건 둥글고 어떤 건 삼각형이더랜다.그러고 그것들을 죽죽 모아 봤는데 뭐더라?초기에는 덧띠 단면이 둥글다가 후기로 갈수록 삼각형으로 변모한다던가? 아니면 반대던가 모르겠다만 그래서 .. 2025. 5. 20. 반구대 암각화, 한반도 선사문화 그 거지 같음에의 항변 조금 연륜 있는 한국 박물관 치고 주로 그 도입부를 중심으로 반구대 암각화 탁본 하나 걸쳐 놓지 않은 데가 없다.서울대박물관도 이걸 걸어 놨고, 인천 송도 국립세계문자박물관도 이걸 걸어놨으며, 국민대박물관도 이걸 걸어놨고 탁본 전문 박물관을 표방하는 성균관대박물관도 디립다 팔아먹는다. 국립박물관은 말할 것도 없어 주구장창 걸어놓고는 주구장창 팔아먹는다. 왜 이럴까?이건 내가 일찍이, 그리고 자주 말하지만, 팔아먹을 선사문화가 없기 때문이다.더 간단히 말해서 하도 거지 같아서, 그런 거기 같은 나라에서 그래도 그나마 구상 자료라 해서 꼴랑 남은 것이 그거 하나라서 그렇다.오죽 팔아먹을 게 없었으면 저거 하나 주구장창 지나개나 다 팔아먹겠는가?저것도 운 좋은 데만 얻어걸렸으니, 주로 그 대학 봉직 교수가 문.. 2025. 5. 20. 주먹도끼로 뭘 내려 찍어? 살인의 도구 흔히 주먹도끼 사용법으로 제시하는 복원안 중 하나다. 저걸로 대체 무얼하고자 했을까?암튼 고민고민 끝에 고고학도들이 주먹도끼 사용법 중 하나로 저걸 제시했다. 물론 돌 종류에 따라 다를 것인데 저리 손아귀에 쥐고서 뭘 내려 찍는가?뭘 내려 찍어?고기?저렇게 해서 고기는 찔리지 잘리지 않는다. 물론 그 복원이라 해서 짜르는 장면도 내가 본 듯도 한데 의문 투성이다. 저리 잡아서 할 일은 딱 하나다.살인!고기건 뭐건 조금 단단한 걸 저리 내려찍건 찌르건 대가리 나가기 십상이요 맨손으로는 손바닥 아작 난다. 뭐 당연한 듯이 제시하지만 따지고 보면 말 안 되는 것 천지다. 물론 저네는 왜 말이 되지 않느냐 항변한다. 저걸로 땅까지 팠다 한다. 그래 땅을 팠을 것이다. 괴기를 자른다?저걸로?가죽을 벗긴다? 저걸로.. 2025. 5. 20. 세계고고학을 선도하는 사람들은 자연과학도들이다 작금 세계 고고학 시장을 선도하거나 주름 잡는 고고학도 중에서 우리가 말하는 고고학도, 더 엄밀히는 한국에서 말하는 고고학도는 단 한 명도 없다. 한국에서 말하는 고고학도란 무엇인가? 인문고고학도를 말한다. 양식분류하고 형식분류해서 엇비슷한 거끼리 줏어모아다가 무슨 양식하며, 그런 양식이 변모한 양상을 지들도 모르는 각종 난수표로 난도질해 놓고선 그게 학문이라 포장하는 자들이다. 이게 국경을 넘거나 거리가 좀 있으면 원거리교역 국제교류라고 사기친다. 이것이 우리가 말하는 우리한테 익숙한 인문고고학도다. 하지만 이딴 거지 같은 글은 저 국제무대에 나가서 던지면 투고자격도 주지 않는다. 뭐 이딴 걸 들고 왔냐 문전박대다. 그런 논문 봤는가?한국이나 일본에서나 가능할 법한 일이지, 저런 일이 저명한 국제잡지에.. 2025. 5. 20. 고고과학, 못하는 게 아니라 안 할 뿐이다! 고고과학화를 선언하고, 이를 위한 부림을 계속하는 모습이 안타까웠는지 아니면 부질없이 보였는지 모르지만 주변 몇 분이 뜯어말린다. 용 써 봐야 소용없다이런 뜻이다. 아무리 짖어봐야 기성을 독점한 세력들이 그 자리를 내어줄 리 없고, 그 인력풀로는 전공자가 아니어서 전환도 불가능하니 짖어봐야 내 목만 아프다는 말이다. 그래서 솔까 기성 고고학단을 점거한 언필칭 고고학도 중에 고고과학도 출신 단 한 명도 없다 봐도 무방하다. 물론 단 한 명이기야 하겠는가? 개중에는 이런저런 일로 전업해서 고고과학도인양 전향한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속내를 들여다 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어 다 문과 출신들이다. 이 문과 출신 몇 명이 개뼉다귀 잡고 월성 인골 끄집어내서 해부학 개설서 보고선 흉내냈을 뿐이다.느닷없.. 2025. 5. 20. [주먹도끼를 심판한다] 기능과 비롯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주먹도끼' 관련 항목 기술이다. 전문은 길지만,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대목만을 적출하기로 한다. (전문 확인은 저 파란 부문 클릭) 강조를 위한 붉은색은 인용자 표식이다. 누가 언제 기술했는지 그 출처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배기동 선생이라는 말도 들은 듯한데 자신은 없다. 1 개요 주먹도끼는 전기 및 중기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석기이다. 대체로 끝이 뾰족한 아몬드형 또는 타원형을 띠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양면으로 엇갈려 손질되어 구불구불한 날을 이루고 있다. 다목적·다기능을 지닌 석기로서 좌우대칭을 이루는 정형적인 형태는 초기 인류의 인지능력 진화와 예술성을 반영해 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연천 전곡리 유적을 중심으로 한 임진-.. 2025. 5. 20. 이전 1 ··· 353 354 355 356 357 358 359 ··· 36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