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72

위안이 필요한 인류에게 인류는 위안을 필요로 한다. 그 위안은 기독교의 산상수훈처럼 무조건적 의지와 안식도 있지만 이에 만족 못하는 이들은 맹자의 이 말에 큰 위안을 얻는다.天將降大任於是人也必先苦其心志 勞其筋骨 餓其體膚 空乏其身 行拂亂其所爲所以動心忍性하야 曾益其所不能젊었을 때 무한한 위로를 주는 이 말은나이가 들게 되면 점점 그 힘을 잃게 된다. 나이가 들 만큼 든지라 장차 하늘이 큰 일을 맡기려고 단련받을 시기는 이미 지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노쇠가 시작되면 오히려 다음과 같은 이야기에서 위안받게 된다. 하늘이 나에게 큰 일을 맏기려 지금은 힘들다는 전제조건도 필요 없다. 그냥 험난한 바람의 방향이 바뀌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되지는 않는 다는 것이다. Let everything happen to y.. 2025. 10. 18.
대따시 구석기에 부친다, 뜬구름 거대 담론 걷어칠 때다 인류문화사, 특히 구석기 변태 양상을 보면 초기에는 큼지막한 도구를 맹글다가 서서히 도구가 작아지기 시작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왜?내세울 거 없는 놈들이 이대근 식 팔뚝자랑이라, 이 친구들 주특기는 걸핏하면 웃통 벗고선 덩치 자랑 알통 자랑이라, 그러다가 이게 아닌가벼? 우리가 너무 무식했나봐 하고선 잘게잘게 쓰는 도구로 발전해 나간다. 주먹도끼니 하는 종류가 그 생명이 길기는 하다만, 실은 무식한 시대 무식한 도구다. 내 아무리 생각해도 주먹도끼는 명성과 달리 그 쓰임 많지도 않고 그리 효율성도 없다. 물론 이를 전업 삼는 연구자들이야 노발대발하겠지만 말이다. 암튼 어찌하여 한국구석기 고고학이 덩치 자랑으로 빠지지 시작했는지는 모르겠다만, 근자 연천 전곡리서 내가 보기엔 실용성 제로인 큼지막한 주먹도끼.. 2025. 10. 18.
어슬픈 양식론 전파론 이젠 그만! 4만년 전 석기 제작술 독립적으로 발전 이 소식 앞서 다른 언론매체 보도를 통해 전하기도 했거니와 이 아티클은 이 연구를 주도한 튀빙겐 대학에서 직접 작성 배포한 것이라, 같이 음미하면 좋을 듯해서 새삼 소개한다.유럽과 근동에서 석기 제작 혁신이 각기 독립적으로 일어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다by University of Tübingen 이탈리아와 레바논에서 발견된 석기 분석 결과, 약 4만 2천 년 전 유럽과 근동의 현대인은 도구 제작에 있어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음을 알 수 있다. 튀빙겐 대학교 지구과학과 선사시대 및 제4기 생태학 연구팀 아르만도 팔쿠치Armando Falcucci 박사와 애리조나 대학교 인류학과 스티븐 쿤Steven Kuhn 교수는 비교 분석을 통해 석기 제작 기술이 두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발전했으며, 근동에서 유.. 2025. 10. 18.
다람쥐는 도로 인간 소음이 더 편안하다? by Tom Seymour, University of Exeter 인간의 방해는 도시 야생동물의 행동과 서식지 이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하지만 어떤 때는 도시 회색 다람쥐urban gray squirrels가 인간 활동이 활발한 곳에서 포식자로부터 더 안전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엑서터Exeter 대학교 새로운 연구는 Oikos에 게재되었으며, 회색 다람쥐가 도시 환경에서 위험과 먹이 찾기 사이에서 역설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을 보여준다.연구진은 다람쥐가 여러 지역 표준화한 먹이 밭에 얼마나 많은 먹이를 남겼는지 측정했는데, 이는 다람쥐가 주변 환경을 얼마나 위험하다고 인식하는지를 보여준다.연구진은 소음 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을 때 다람쥐가 도로 근처 포식자로부터 더 안전하다고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2025. 10. 18.
미국에 다시 나타나기 시작한 플라밍고 홍학님들, 그 복귀를 위한 거대한 여정 플라밍고Flamingos, 곧 홍학이 100년 만에 미국 플로리다에 다시 둥지를 틀고 있습니다. 생태학자가 플라밍고가 다시 돌아올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by 제롬 로렌츠Jerome Lorenz, The Conversation 허리케인 이달리아Idalia 는 2023년 8월 유카탄 반도와 쿠바 사이를 이동하던 것으로 추정되는 300~400마리 플라밍고 무리를 진로에서 벗어나게 했고, 플로리다 걸프 해안에서 위스콘신까지, 그리고 동쪽으로는 펜실베이니아까지 미국 동부의 넓은 지역에 이들을 무참히 내버려 두었다. 나는 하구 과학자estuarine scientist다. 즉, 담수가 바다로 흘러드는 생태계를 연구한다.나는 오듀본 플로리다Audubon Florida에서 35년 동안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Ever.. 2025. 10. 18.
고전 마야 도시들이 흥망성쇠한 이유 by Shelly Leachman,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Barbara왜 도시로 이주해야 할까? 그리고 왜 떠나야 할까?오늘날 도시는 경제, 인구, 생활 방식, 대기 질, 그리고 어쩌면 팬데믹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구가 감소했다가 늘어났다 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알고 보면, 도시는 항상 그랬다. 세계 최초의 도시들은 시골 사람들, 즉 농부와 농업 종사자들이 만들었다.그들은 농업 인구였고, 광대한 토지 경제에 의존했으며, 이는 거주지와 농장 사이 시간과 이동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정착지에 흩어져 살도록 유도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도시 생활은 모든 면에서 더 비쌌다.군중 질병에 더 취약했고, 토지와 자원을 놓고 경쟁이 치열했으며, 체계적인.. 2025. 10.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