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998 에트루리아 미도굴 무덤 비르테보서 발견 Bing 지도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거리 이미지를 보세요.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www.bing.com (앞 지도에서 보듯이 이 이야기 주무대인 비테르보Viterbo는 로마 서북쪽 인접에 위치하며, 그 주변으로 체르베테리, 타르퀴니아 같은 에트루리아 시대 유산이 바글바글한 지점이라, 나는 비르테보는 둘러보지 못했다.) 바르바라노 로마노 Barbarano Romano, 곧 비테르보Viterbo 소재 카이올로 에트루리아 묘지Etruscan necropolis of Caiolo 에서 도굴 당하지 않은 온전한 에트루리아 시대 무덤 하나가 발견됐다고 이 지역 지자체 문화재 관련 부문이 29일(한국시간) 발표했다.. 2025. 6. 29. 오슈 후지와라 미라(12): 俘囚가 된 에미시 7세기 말 이후 야마토의 북벌로 편입된 지역은 헤이안 시대 일본의 행정체계라 할 소위 영제국領制國 체제에서 데와出羽와 무쓰陸奥라는 이름의 지역으로 불렸다. 우리나라 함경도 지역에 옛 여진 지명이 심심치 않게 남아 있는 것처럼 이 지역, 일본의 동북지역에는 따져보면 그 기원이 에미시, 에조蝦夷인 경우가 제법 있다. 예를 들어 오늘날 아오모리青森県 현 쓰가루津軽 지역은 아이누어의 "칼 끝 부분"을 의미한다는 식과 같은 것이다. 이런 에미시 혹은 아이누계 지명이 동북지역에는 많다. 앞에서 쓴 것처럼 야마토 정권의 북벌로 이에 복속된 후 에미시인들은 야마토에 의해 부수俘囚[현대 일본에서는 후슈라고 읽는다]라는 이름으로 편제되었다. 俘囚라니, 이름 그대로 보자면 포로라는 뜻이니복속민이라는 뜻이 되겠다. 따라서 .. 2025. 6. 29. 로마 방파제 시설, 나폴리 앞바다서 출현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바콜리Bacoli 해안에서 진행된 수중 발굴 작업에서 재활용 건축 자재로 제작한 로마 시대 방파제breakwater 잔해가 발견됐다. 이 발견은 고대 로마 해양 공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고 Soprintendenza ABAP dell’Area Metropolitana di Napoli가 29일(한국시간) 발표했다. 이 수중 유해는 미세눔Misenum에 위치한 로마 해군 기지인 포르투스 율리우스Portus Iulius에서 발견되었다.미세눔은 과거 티레니아 해Tyrrhenian Sea에서 로마 제국의 주요 함대였던 클라시스 미세넨시스(Classis Misenensis)의 본부였다. 이 함대는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大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가 지휘한.. 2025. 6. 29. 팩트보다 더 중요하다는 식민사학 극복 우리나라 역사에서는 팩트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하나 있으니 그것이 바로 식민사학 극복이다. 그렇게 해서 극복이 실제로 되기는 되는건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다만 아무리 팩트라고 해도 뭔가 한국에 불리하다 싶으면 이야기하면 안 된다는 절체절명의 자기검열의 결과물이 한국사다. 이 판타지에 자기검열을 더한 하이브리드 산물이 뭔가 문제가 있다는 건 파란약 대신 빨간약을 먹은 사람들이 비로소 알게 된다. 학교 수업시간에 배운 조선 후기의 많은 "진실들"이 사실 근거도 뚜렷하지 않고 일차 사료에는 잘 나타나지도 않는 허상이라는 것을 확인하면그것보다 더 한 배신감은 없다. 이 세상에 팩트보다 더 중요한게 뭐가 있겠나. 팩트를 무시하고 적당한 추측과 당위성, 이래야 한다는 의무감과 반강제적 언설로 존재도 하지 않았.. 2025. 6. 29. 평행세계의 조선후기 상품이 출현하고 화폐경제가 향촌까지 침투해가며 자본주의 맹아가 꿈틀대는 조선후기의 이미지는 한국 사학계가 만들어낸 거대한 픽션이다. 그런 거 없다. 이것은 한국사회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여이런 것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약간의 근거와 픽션을 범벅하여 만들어 낸 것으로 조선후기의 평행세계-. 지상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되 어딘가 별개의 세상에는 존재했을 것 같기도 한 이쯤되면 이것은 판타지의 세계이지 이 세상에 그런 조선후기가 실제로 존재했던 적은 없다. 한국근세사는 픽션이다.판타지다. 2025. 6. 28. 선물경제의 파탄은 걸식 조선시대의 경제는후기에 이르기까지도 화폐경제는커녕선물경제라는 주장이 있었다. 공감한다. 말을 폼나게 쓰자고 해서 선물경제라는 것이지사대부들끼리 하는 물물교환을 선물경제라고 본 것이다. 그래봐야 물물교환이다. 조선시대 사대부 일기? 일기 쓰는 데야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것저것 잡다하게 적어 놓은 이유는 선물 경제에서 누구한테 뭘 받았는지를 적어놔야 나중에 비슷한 것을 보내주기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요즘 결혼식 축의금, 딱 그 정도라 생각하면 되겠다. 결혼식에 축의금 대신 명태에 쌀 한 말 들고가서 전하고 오면그것이 선물경제다. 결혼식을 주기만 하려고 축의금을 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한국 결혼식은 조선시대 선물경제의 유습이다. 이 선물경제도 그나마 나라가 온전할 때 선물경제이고선물경제가 나라가 절.. 2025. 6. 28. 이전 1 2 3 4 5 6 7 ··· 333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