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37

변변찮은 점포 하나 없다 비판하며 사치를 경멸하는 조선 사대부 조선이 왜 상업이 발달할 수 없었는가? 곧, 때려죽어도 자본주의는 맹아도 틔울 수 없는 암흑 사회였는가 하는 해답은 실은 앞서 길게 인용한 윤국형 증언을 통해 고스란히 확인하는데 상업이란 무엇인가?결국 흥청망청 쓰야 하며, 결국은 소비와 사치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각종 판서까지 고루 역임한 조선 중기 전형하는 조선 사대부 윤국형尹國馨(1543∼1611)은 동시대 중국에서는 방방 곡곡 없는 점포가 없고 주식酒食과 거마車馬 같은 물품이 구비되지 않음이 없는데 견주어"우리 나라 백성들은 모두 가난하여 저자나 행상 이외에는 사고 파는 것이 무슨 일인지도 모르고, 오직 농사로 생활을 꾸려갈 뿐이다"고 한탄했지만막상 그러한 자신도 임진왜란과 그에 따른 명나라 군대의 대규모 참전이 야기한 조선 사회상이 급속도로 .. 2025. 2. 15.
조선에 비로소 상업을 부른 전쟁, 임진왜란의 경우 나는 언제나 역사를 보는 관점에 돈을 개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게 돈이다. 돈에서 시작해 돈으로 끝난다. 앞서 두어 번 인용한 윤국형尹國馨 갑진만록甲辰漫錄에 증언이다.계속 상기하지만 윤국형은 생몰년이 1543∼1611년임을 주시해야 한다. 임진왜란 한복판을 고스란히 겪은 사람인 까닭이다. ○ 중국은 방방 곡곡에는 모두 점포가 있어 주식酒食과 거마車馬 등의 물품이 구비되지 않은 것이 없다. 비록 천리 먼 길을 가는 사람일지라도 은자 한 주머니만 차고 있으면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구하지 못할 것이 없으므로 그 제도가 매우 편리하다. 우리 나라 백성들은 모두 가난하여 저자나 행상 이외에는 사고 파는 것이 무슨 일인지도 모르고, 오직 농사로 생활을 꾸려갈 뿐이다. 호남과 영남의 대로에 주점이 있기는 하.. 2025. 2. 15.
야요이인 논쟁에 한국 학자들이 참여해야 일본의 야요이인 논쟁에는 한국 쪽 학자들 참여가 필요하다. 결국 한국 쪽 이야기가 없으면 야요이시대에 대한 논의는 반쪼가리가 될 수밖에 없다. 야요이인이 한반도에서 갔네 안갔네 아무리 떠들어 봐야한반도를 모르면 전부 공염불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람을 모르는데 여기서 일본으로 갔는지 안 갔는지 어떻게 증명하겠는가? 결국 야요이인 논쟁은 한국 학자들이 대거 참여해야 하는 주제다. 야요이인 논쟁은 일본사이기도 하고 한국사이기도 하고 그렇다. 우리가 외면해서는 안 되는 주제다. 2025. 2. 15.
일본에서 조몬 농경론 밑밥을 까는 이유 일본에서 나오는 주장 중에 조몬 농경론이라는 게 있다. 조몬시대, 흔히 생각하듯이 수렵채집만 한 것이 아니라 원시적이긴 하지만 초보적 농경이 있었다는 것으로 잡곡이나 도작 농경 같은 것은 아닐지라도 팥이라던가 녹두 등 쉬운 작물 재배는 있었다는 것인데, 이런 작물도 아마도 한반도에서 들어온 것일 것이다, 라는 전제를 깔기는 한다. 일본에서는 왜 이렇게 조몬농경론縄文農耕論에 집착하는 것일까?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에서 신석기시대 농경론을 입증하기 위해 애쓰는 정도보다일본에서 조몬 농경론을 입증하고자 하는 시도가 훨씬 집요한 것 같다. 글쎄-. 필자가 보기엔 일본에서도 조몬시대 초보적 농경이 있었다는 주장이 사실이더라도 이게 뭐 대단한 농경이 아니라는 것은 그쪽도 잘 안다고 본다. 문제는 이러한 초보적 .. 2025. 2. 15.
통나무를 깐 10년 전 백제도로 이 유적은 나도 실견했다고 기억하는데 혹 다른 데랑 혼동했는지는 모르겠다. 2014년 6월 20일 배병선 선생이 탑재한 사진인데 당시 배 선생 설명은 이랬다.  부여 쌍북리 근생시설 신축을 위한 금강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시 발견된 백제 도로유적이다.저습지인 지반 상태를 고려하여 통나무를 깔고 그 위에 점토와 모래를 번갈아서 15cm 정도 깔고 다졌다.도로유구 윗층에서는 수레자국이 남아있었다.나주 오량동 유적에서도 이와 비슷한 토목 구조가 발견되었다. 물론 11년 가까이나 지났으니 당연히 발굴보고서는 나와 있을 테고, 저 통나무들은 어찌 되었는지 모르겠다. 그러고 진짜 도로였을까? 아님 다른 기능이었을까?각중에 궁금해진다. 2025. 2. 14.
갱지의 추억 요즘은 종이가 너무 흔해서 젊은 세대는 잘 모르겠지만 필자 세대만 해도 갱지更紙의 시대였다갱지는 한 마디로 재생지다. 종이가 모자라다 보니 한 번 쓴 종이를 풀어 다시 종이로 떠서 만드는 것이다. 그러니 색깔이 노르스름 거무튀튀하다. 필자가 국민학교 다닐 적에 이 갱지를 학교 앞 문방구에서 낱장으로 팔았다. 필자는 어릴 때 만화그리기를 좋아해서 종이를 사다 그림 그리는 게 낙이었는데 문방구에 가서 갱지를 돈이 있으면 열 장인가 사다가 그렸다. 종이 열장 주세요 하면문방구 아저씨가 솜씨 좋게 갱지를 쫙 벌려 열장을 세서 팔았다. 그 당시에는 달력 종이도 그냥 버리는 법이 없었다. 일력은 화장지로 썼고 월력 종이는 A4크기로 잘라 연습장으로 썼다. 이 귀한 종이의 기억이 우리는 점점 사라진다. 그러다 보니,.. 2025.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