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7 평지돌출 경주 정혜사 석탑, 그리고 석굴암 경주 정혜사지 13층 석탑(아래)을 더이상 이형의 탑이라고 하지 말자. 인도 그리고 힌두와 관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역시 경주다. 발리에 힌두 메루 사원, 메루 탑(pelinggih meru)은 발리 사찰의 주요 성지로 요런 게 있다.(앞)***경주시 학예직 조창현 선생 글이라 전재한다.그의 말마따나 정혜사지 13층 석탑은 여로모로 평지돌출이라 그 기원과 관련해 적지 않은 고민이 있다.도대체가 엇비슷한 사례가 한반도는 물론이려니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쉽사리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물론 독창일 수도 있다. 저 시대 누군가는 나는 다른 방식을 시도해 보겠다 해서 저런 방식을 채택했을 수는 있다.다만 시야를 좀 더 넓혀야 하고 그에서도 같은 결론이 나온다면야 저런 주장도 가능하다.저 분을 평지돌출이라 하나.. 2024. 12. 15. 한국사의 키워드 두 개가 합쳐지면 벌어지는 일들 이전에 잡문 삼아 쓴 글에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사의 키워드 1은 가난, 2는 나라가 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 두 개를 들었다. 이 두 개가 실제로 합쳐져 역사에서 작동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공적 분야의 강화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여말선초. 북로남왜로 상징할 만한 외란이 남북에서 밀어닥칠 때,이런 환경에서 "송곳 꽂을 만한 땅도 없다"라는 말은 농민들이 농사 지을 땅이 없다는 뜻이 아니다. 이 외란을 방어하려면 재원이 필요한데 이 재원을 마련할 길이 없다는 뜻이 되겠다. 그러면 나올 수 있는 해결책은 사전혁파와 공전강화 밖에 없다. 그것이 필자가 보는 바 과전법체제다. 고려초기 전시과체제를 보자. 왜 전시과체제가 나왔을까? 라말여초를 풍미하던 공전의 붕괴를 두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 2024. 12. 15. 외부에서 바라보는 탄핵 사태 이거 분명히 다른데, 뭐가 다른지는 실상 조금 더 성찰해 봐야 한다.한국에 있었다면 나 역시 탄핵 촉구 집회에 나갔을 테지만, 나는 여전히 기자 습성을 아직 버리지 못해 그 기록자로서 역할을 나 자신한테 더 많이 부여했을 것이다. 그런 현장에는 모름지기, 그리고 그것이 가능한 자리에는 있어야 한다는 믿음이 있다.지금이야 저와 같운 중요한 역사현장을 기록한 증언과 사진 영상이 넘쳐나는 듯하나, 저것도 시간이 조금만 흐르면 어디로 사라졌는지 사진 한 장 구하기가 쉽지도 않다.기록은 그렇게 해서 무수히 영원히 망실해갔다. 한데 나는 지금 장기 출타 중이다. 이 출타 중에 이번 사태가 느닷없이 터졌으니, 국내에서 있었으면 했을 감정 표출과 그에서 한 발, 아니 만 발을 벗어난 유럽에서 체감하는 그것은 완전히 다.. 2024. 12. 15. 위대한 민주주의 승리? 웃기는 짬뽕 아닐까? 느닷없는 비상계엄 사태 선포와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국회의 계엄 무효 선언그리고 그에 따른 대통령 탄핵 발의와 탄핵 성공 이런 일련하는 흐름을 우리는 자화자찬한다.위대한 민주주의의 승리라고그러면서 이런 우리를 대견해 한다. 심지어 미국이라면 이러지 못했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이는 곧 외부의 시선을 염두에 둔 말인데 과연 외부에서는 이런 일련하는 흐름을 우리가 생각하듯 자랑스런 눈으로 바라볼까?천만에! 나는 그리 보지 않는다. 웃기는 짬뽕이라 바라볼 것이라고 본다.내부가 아닌, 여의도 시위현상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아닌 시칠리아에서 바라보는 시선이 필요하다.이 얼마나 한심하고 이 얼마나 웃기는 짬뽕이겠는가?난 그리 본다.괜히 민주주의 승리네 우쭐해 할 필요없다.외부에서 바라보는 그 누구도 그리 생각하지 않.. 2024. 12. 15. 이세민, 그 참을 수 없는 성군에의 역겨움 신당서와 자치통감의 당기唐紀 중 당 왕조 건국 관련 부분과 정관정요貞觀政要를 읽다 보면 거대한 오바이트를 참을 수가 없다. 역사를 어찌 이리도 철저히 조작할 수 있다는 말인가?정관지치貞觀之治(627~649년)는 이런 역사 조작, 상징 조작의 산물이다. 성군 이세민을 그려내는 과정에 신물이 넘어온다. 그나마 구당서 관련 기록과 온대아温大雅의 대당창업기거주大唐創業起居注를 보아야 균형이 어느 정도 잡힌다. 특히 후자는 굉대한 의미를 갖는다. (2015. 12. 15) *** 저들 이세민 중심주의를 관철하는 문헌들을 보면 당 왕조 건국 자체도 이세민이 실제 다 주도한 것처럼 그려놨지만 실상 이 과정에서 그가 한 일은 없다. 왜?당조唐朝가 개창한 618년, 599년생인 이세민은 불과 스무살 꼬맹이였다. 개창주.. 2024. 12. 15. 가장 후미진 곳부터 공략해 내려와야 이거 답사 때마다 다짐하나 쉽사리 되지 않아 개고생이라 오늘 찾은 타오르미나Taormina는 특히 그러해서 개고생 초죽음이었다는 말을 해둔다.시칠리아 동부 해변 타운인 이곳은 험준하기 짝이 없고 천애절벽이 곳곳인 산능선을 따라 공동체가 형성된 곳이라 먼저 다른 곳 다 제끼고 가장 높은 지점을 찾아 그에서 전체를 조망하면서 둘러보고 싶은 데를 차츰 순서대로 밟아야 한다.와서 보니 가장 높은 지점에 노르만 시대 성채가 있고 그에까지는 버스가 운행하며 또 나중에 보니 케이블카도 있어 이런 수단을 이용하면 된다.아시시가 그런 것처럼 이곳 역시 산능선을 밟아오르기가 얼마나 고된지 아래서 밟아오르다 중간에 이미 넉다운이라 체력이 바닥나고 말았다.평지라면야 이야기가 조금 달라질 것도 같지만 이 역시 마찬가지라 내가 .. 2024. 12. 14. 이전 1 ··· 527 528 529 530 531 532 533 ··· 350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