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77

쟁기질로 키운 곡물, 수확과 탈곡은? 앞서 쟁기질 써레질하고 곡물 혹은 작물 씨뿌리는 장면을 봤으니 이젠 그렇게 키운 것들을 수확하는 순간이 기다린다.이건 감숙성이나 신장위구르가 아니라 푸바오 본거지 사천성 성도에서 주루룩 출토하는 후한시대 화상전画像塼 한 장면이라대략 서기 2세기 무렵 이 유물을 보면 논 혹은 밭에서 농부들이 작물을 수확하는 장면을 묘사한다.유감스럽게도 작업 공간이 논인지 밭인지는 분간이 어렵다.벼농사가 활발했던 곳이니 쌀농사일 가능성도 있고 다른 작물일 수도 있다.낫이 자루가 긴 점이 특이하다. 쌀은 아닌 듯하다.왼쪽을 보면 한 농부가 장대를 왼쪽 어깨에 울러맸으니 그 양 끝엔 수확한 곡물 다발이 보인다. 이렇게 수확한 작물은 도정하고 해야 비로소 식재료로 간다.이건 팽산彭山이란 데서 나온 화상전 한 장면이라 우리한테 익.. 2024. 9. 22.
씨뿌리고 써레질하는 감숙성 고대 농법 앞서 감숙성 가욕관嘉峪関 위진魏晉시대 벽화묘 중에서도 5호묘라고 이름한 무덤에서 보이는 소 쟁기질 벽화 장면을 살폈거니와,이건 같은 서기 3~4세기 무렵 무덤떼 중 제1호묘 벽화에서 보이는 비슷한 소재 그림들인데, 그것과는 좀 다른 면이 있으니다름 아닌 파종, 곧 곡물 씨앗을 뿌리는 장면이 보인다는 점이 그것이다. 저들 그림을 보면 하나 같이 쟁기는 소 두 마리가 끈다. 한데 그 쟁기를 끄는 소 앞에는 종재기 같은 것을 든 남자?가 씨앗을 뿌리는 장면을 본다. 아예 경종耕種이라 해서 묵서가 보이기도 한다. 경종이란 밭을 갈며 씨를 뿌린다는 뜻이거나, 그냥 씨앗을 뿌린다는 뜻이다. 더욱 주목할 대목은 왜 쟁기질을 해서 갈아 엎은 땅을 따라가며 씨앗을 뿌리지 아니하고 그 반대로 먼저 씨앗을 뿌린 다음 쟁기질.. 2024. 9. 21.
왜 키질벽화에? 감숙성에 쟁기질이? 왼쪽은 극목이 천불동克孜爾千佛洞, 곧 키질석굴 제175굴 벽화에 보이는 한 장면으로 두 마리 소리를 끌고서 쟁기질을 하는 장면이며, 오른쪽은 가욕관嘉峪關 5호묘 벽화 속 이른바 두 마리 소를 끌고 쟁기질을 하는 장면이다. 둘은 표현 양식이 다르지만 모티브는 같다.    앞 첫 장면 키질석굴 벽화만 빼내 본다. 그에는 왼쪽에서 보는 것과 같은 장면도 있다. 결국 농사 짓는 장면 파노라마 장면이다. 왼쪽은 보습으로 땅을 파서 일구는 장면이다.  한데 예술가 표현 양식 때문인가? 왜 사람이 소를 타고서 쟁기질을 하는가? 무슨 쟁기질 경기에 나선 선수 같은 느낌도 준다. 한데 저런 장면이 왜 불동佛洞에 보이는가? 혹 인도나 서역에서 유래했나?   맨 앞 두 번째 장면 무대인 감숙성 가욕관嘉峪关 위진벽화묘魏晋壁画.. 2024. 9. 21.
기련산 기슭 밭을 가는 소 추가 정보 확보가 구글링이나 바이두 서칭으로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듯해서 위선 저런 유물이 있다는 정도로 소화해줬으면 싶고 혹 이와 관련한 저 좋은 정보를 확보한 분은 소개 부탁드린다. 중국 감숙성甘粛省 무위현武威県 마저자磨咀子 한묘漢墓 출토 전한前漢시대 말기 목우木牛 명기明器라 하는데, 틀림없이 감숙성박물관이 소장 중일 것이다. 나는 실견하지 못했다. 소에다가 매달아 놓은 쟁기는 현대에 붙였음에 틀림없을 테고, 이 소를 보면 코뚜레가 완연해서 농경을 위한 소임에는 틀림없다. 중국 기준으로는 이른바 실크로드 관문이라 하는 감숙성 위치를 고려할 때, 저짝에서 쌀농사가 있었을 리는 만무하고 밭농사 잡곡 경영을 위해 저 소를 저리 이용했을 것이다. 중국에서 농경에 소를 쓴 흔적은 이집트나 다른 근동지역에 견주.. 2024. 9. 21.
후삼국, 무신정권, 여말선초 필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후삼국, 무신정권, 여말선초의 역사적 의미에 대해 한 번 다시 생각해 보지 않는다면 조선후기 이른바 자생적 근대화 담론도 의미 없는 일이다 라고. 후삼국, 무신정권, 여말선초의 동란을 왕조교체기의 혼란 내지는 토지 분배의 모순 극복 등으로 간단히 설명해 버리는데 조선후기 자생적 근대화는 어떻게 설명이 된다는 것인가? 조선후기 이른바 중농파 실학자를 근대화의 선구로 보는 것도 모두 후삼국, 무신정권, 여말선초의 동란을 우리가 현재 해석하는 방법. 이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겠다. 후삼국, 무신정권, 여말선초는 필자가 보기엔 일본사에서 이에 상응하는 시기를 쉽게 간파할 수 있다. 후삼국은 헤이안시대 말기의 혼란, 무신정권은 무가정권의 성립, 그리고 여말선초는 일본사에서 수시로 볼 .. 2024. 9. 21.
외발뜨기(흘림뜨기), 족보의 탄생 비결이 된 제지술 한국족보박물관 제2전시장 한가운데 닥나무 껍질(백피)와 분산제(황촉규 뿌리)가 수조에 담기고 발틀 위에 발을 올려 한지를 뜬다 족보를 만드는데 사용된 전통 한지 초지(제지, 제작)기술 전시 한국족보박물관에 소장된 족보의 섬유배양성을 분석하여 초지기술의 개량(근대, 산업)화로 도입된 쌍발뜨기(가둠뜨기) 기술이 아닌 조선시대에 한지를 만들던 외발뜨기(흘림뜨기) 기술로 제작된 종이가 16세기~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족보에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물론 전수 조사를 한 것이 아니니 예외가 나타날 것임. 그래도, 일단은, 전시장 중앙을 차지한 오브제가 전시의 의도를 말해 줄 것. 그런데 왜 철망안에 가두었을까? 팬더도 남방돌고래 제돌이처럼 자연으로 돌려보내야 할까? 팬더를 보호하고 관리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2024.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