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7

흘러가는 시간은 잡을 수가 없다 한 사람 인생에서 흘러가는 시간은 잡을 수가 없다. 오늘 준비하지 못한 결과가 5년 뒤에 계산서를 들고 나를 찾게 되어 있다. 그래서 연구는 1-2년 만 손에서 놓아도 추격이 불가능하다. 정치판 뛰어 들어 몇 년씩 연구실을 비우다 돌아와서는 다시 연구가 된다? 둘 중 하나다. 연구가 엉터리거나그 연구 분야 전반적 수준이 문제거나. 제대로 돌아가는 분야 연구 수준은 1-2년이면 너무 많이 바뀌어 추격이 어려울 정도다. 4-5년을 정치판에서 놀다가 돌아와도 여전히 일을 할 수 있다면그건 그 분야 자체의 수준이 후져서 그렇다. 이건 한 개인 인생에서만 이런 것이 아니고, 사회나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다. 국가의 흘러가는 시간은 잡을 수가 없다. 5년 뒤를 준비하지 못하는 사회는 도태되게 되어 있다. 요즘 세계 기.. 2024. 12. 16.
불꽃처럼 왔다 불씨로 남기고 가는 팔레르모 이렇게 연이 닿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나도 몰랐다.어쩌다 시칠리아를 밟았고 어쩌다 팔레르모를 찍고 간다.딱 반나절 발바닥 불나도록 싸돌아다니다 간다.그러니 다 건성건성 덤성덤성이라 어디 하나 제대로 훑은 데 없다.이곳 소재 국립 고고학박물관은 느긋이 오후에 관람한다 했다가 구글맵 두들기니 한시반 폐관이라 뜨기에 부리나케 달려가 계우 그냥 훑다 말았다.겨울철 단축 근무 많다는 걸 알기는 했지마는 로마 기준 그렇지 아니한 데가 많아 너무 믿었다가 낭패봤다.여긴 서울이 아니라 지방이란 사실을 너무 쉬 간과했다.박물관은 체력 소진이 많은 데라 이미 그곳을 나설 무렵은 체력 바닥이라또 예서 카타니아 숙소까지 근 세 시간을 다시 달려가야 하니 서둘러 아침에 내린 버스 종점을 향해 달려갔다.7시 카타니아를 출발한 버.. 2024. 12. 15.
[연구실 소식] 2024년 발표 논문 제목의 Word Cloud 2024년도 저물어 간다. 올해 발표한 논문 제목으로 만든 Word Cloud 다. 작년은 아래와 같았다. 연구 주제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Word Cloud에 많이 반영되었다고 본다. 하지만 아직도 Dry Lab으로의 이동양상은 뚜렷하지 않다. 시간이 더 걸리지 않을까 한다. 2024. 12. 15.
팔레르모에서 보는 암울한 이탈리아 이태리 남북 대립은 결국 밀라노 토리노 중심 북부 공업지대와 남부 촌구석 대립이라이건 답이 없어 남부에 속하는 로마도 거지다.그 경계선이 어디서 형성되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피렌체 정도가 아닌가 하거니와나폴리는 한 번 보면 왜 김민재가 1년 만에 튀었는지를 절감하거니와그 남부 중에서도 남부 시칠리아는 더해서 여긴 허허벌판이라 천지가 농토인데 왜 놀리는지 모르겠다.그 주도 팔레르모에 들어와 도심 이곳저곳을 걸어보니 90년대 이전 중국, 70년대 이전 한국과 아주 흡사해서 여기만 보면 이태리가 왜 G7인지를 이해할 수 없다.그래서 정겹다?우리가 잃어버린 그 시절이 여기 있어서?그런 측면이 분명히 있겠지만 여긴 g7이 아닌 것만은 하늘이 두 쪽 나도 변함없다.인구 60만선이라는데 수도권 웬간한 딱 그 도시 .. 2024. 12. 15.
팔레르모를 향하여 팔레르모는 시칠리아 주도라아무래도 시칠리 모든 부문 중심일 수 밖에 없으니 이 섬에 발길 들른 이상 안 돌아볼 수 없어 짬을 보다 일요일인 오늘 카타니아서 그것을 향하는 버스를 탔다.두 시간 반이 걸린다는데 그렇다면 아홉시 반쯤 도착하리라 본다.나는 여느 유럽 도시건 두오모가 있는 지점을 표식으로 삼는데 거기가 중심인 까닭이라 팔레르모 역시 그 중심으로 돌아볼까 한다.간밤 모기로 잠을 설쳤으니 거실을 어슬렁하는 한 놈은 때려잡았으나 침실을 암약하는 놈은 종적을 찾을 길 없다.아마도 시칠리 대표 박물관은 팔레르모에 있을 것으로 보는데 두어 시간은 박물관서 삐대야 할 듯하다.시칠리는 불규칙한 섬이라 그 사방을 움직이기 용이한 지점을 찾기가 어렵다.나는 동쪽 해변 카타니아를 지점을 찍었으나 이 경우 팔레르모를.. 2024. 12. 15.
한국사의 세 번째 키워드: Self-Governance 이건 한국어로 번역이 참 애매하다. 한국사에는 Self-Governance에 대한 집착이 매우 강한데, 이건 자주성이라 그냥 번역하기도 애매하고, 미묘한 뉘앙스가 있다. 써 본다면, 한국사는 한 번도 제국을 칭해 본 적이 없는 데서 알 수 있듯이 패권국가를 지향한 적이 없다. 물론 고구려나 고려 초기에 그것과 비스무리한 뭔가를 지향한 흔적은 있지만 그런 시대에도 중국쪽 헤게모니 국가에 대해서는 사대를 했기 때문에 완전한 패권국가이자 외부의 통제를 벗어난 국가의 위상을 누린 시기가 참 드물다 할 것이다. 그럼 그것으로 끝이냐-. 한국사는 그렇다면 일제시대 식민사학자들 이야기 대로 종속성이 특징이냐, 그것은 물론 아니고.저 Self-Governance에 대한 희구는 무척 강했다 할 것이다. 무슨 말인고 하니.. 2024. 1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