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08 물과 바람 침식이 만든 그림 같은 애리조나 물결무늬 바위 어느 자연유산 소개 그룹에서 이런 사진을 소개하면서 The Wave In Arizona, USA라 하는지라, 하도 인위적인 느낌이 강해서 포토샵 세게 했다 막연히 이런 느낌을 안으면서 혹여나 해서 관련 자료를 검색해 보니, 이런 댄장, 진짜다. 물론 저 장면은 포토샵을 가한 기미가 있지마는 빛에 따라 얼마든 저런 장면을 포착하지 말라는 법도 없으니 그런갑다 하고 봐주면 되겠다. 이 사진이 아마 우리 육안으로는 훨씬 더 현실성 있게 다가오지만, 저 야릇한 물결 무늬가 다를 수는 없다. 세계지질학계 같은 데서는 The Wave (Arizona) 와 같은 이름으로 통용하는 모양이라, 내가 저곳을 본 적 없으니 생소하기는 하지만, 저런 풍광이 그리 없을 것 같지는 않다. 저 Wave는 미국 애리조나주와 유타.. 2024. 8. 14. 삼국사기의 엄정함, 고국원왕 전사의 경우 고구려 제16대 왕은 죽은 뒤 받은 이름이 고국원왕故國原王, 혹은 국강상왕國罡上王이라 일컫는 이라, 본명은 사유斯由 혹은 쇠釗라 한다.미천왕이 15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그 32년에 아버지 미천왕이 죽자 즉위했다.이 분은 장장 41년 간이나 재위했지만 말년이 비참했다. 그해(371) 겨울 10월 백제왕 근초고와 그 태자 근구수가 이끄는 백제 3만 대군을 맞아 평양성에서 옹성하다가 류시流矢에 맞아 그달 23일 숨을 거두었다.삼국사기 고구려본기와 백제본기에는 그의 죽음을 분명 유시라고 적었다. 저 유시는 쏜 사람이 누구인지 모를 때 쓰는 말이다. 백제군이 쏜 화살일 수도 있고 아군이 쏜 화살일 수도 있다. 저 죽음을 두고 당연히 백제에서는 자기네가 죽였다고 선전했다. 그런 사실을 무엇보다 김부식은 너무 잘 알.. 2024. 8. 14. 백제 정벌에 3만을 동원한 고구려가 신라 구원한다고 5만을 발동? 영락 10년 경자년, (왕이)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했다. 남거성(男居城)부터 신라성(경주)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왜병이 가득하였다.관군이 도착하자 왜적이 퇴각하여 그 뒤를 지체없이 쫓아 임나가라의 종발성에 이르니 성이 곧 항복하였다. (판독 해석에 적잖은 논란이 있으나 예선 대세에 지장이 없다.)저 광개토왕비문이 얼마나 개뻥인지는 이것 하나로도 명백한데 이 뻔한 거짓말조차 개뻥이라 지적한 이가 이 지구상 오직 김태식 한 명이라는 점도 신통방통하다.475년 백제와의 전면전을 선언한 고구려는 3만을 동원했다.이 전쟁이 고구려로서는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는 여러 번 지적했거니와 이 처절한 복수극을 준비하고자 고구려는 몇년간이나 만반의 준비를 했다.그렇게 해서 다닥다닥 긁어 모은 군사가 3만.. 2024. 8. 14. 이누이트는 이미 2천 년간 썼다는 선글라스 스노 고글 Snow Goggles 스노 고글 Snow Goggles좀 뻥일 수도 있지만 이르기를 2천년 전에 이미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선글라스 sunglasses 라 하거니와저 스노 고글은 극지와 그 아래 그린란드 등지에 사는 이누이트 사냥꾼들 Inuit hunters 이 착용했다 한다.태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아마 더욱 구체로는 눈을 반사한 강렬한 태양 빛을 차단하고자 발명한 가장 초기 형태의 선글라스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조각한 나무나 동물뼈, 바다코끼리 상아 또는 순록 뿔로 만들었고 얼굴에 꼭 맞춰 크기를 조절했다 하며 그을음이나 화약을 문질러 빛을 흡수하기도 했다 한다. *** 이주화 군 보설補說에 의하면 Marvel 코믹스 X-men의 Cyclops도 이걸 모티프로 했다 한다.그의 말마따나 외눈박이 키클롭스.. 2024. 8. 14. 광개토왕의 대업적은 왜 사서에 수록되지 않았을까 "일차사료"인 광개토왕비 내용 중 왜 삼국사기에 빠진 부분이 많을까. 그것도 광개왕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인 백제, 신라, 가야 방면의 남방원정은 완전히 그 내용이 빠져 있다. 흔히 삼국사기 고구려본기는 그 기원을 따져 올라가면 고구려의 관찬사서에서 기인한다고 보는 시각이 있는 것으로 안다. 그렇다면, 광개토왕비의 찬란한 업적은 삼국사기에서 왜 대충 생략되어 있을까. 이를 "일차사료"인 광개토왕비의 내용이 원래 사실이지만, 삼국사기가 채록되는 과정에서 "누락"되었다고 보아야 옳을까. 그런데-. 사실 이상한 것은 이것만이 아니다. 일본서기에는 한반도 상황에 대한 기억이 불완전하나마 실려 있는데, "신라"를 쳐들어간 왜병의 기억은 있지만, 개로왕대 함몰 이전 고구려와 싸운 왜병의 기억은 없다. 광.. 2024. 8. 14. 소수박물관 리모델링 끝내고 재개관 소수박물관이 긴 리모델링 작업끝에 8월 23일 상설전시관을 재개관한다. 겸사하여 개관 2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도 같이 개최한다. 시덥잖은 춘배 발표에 주옥 같은 토론이 있다. 그 주옥 토론자는 누구인가? 또 이 재개관은 영주 지역 학예계 토호로 은퇴가 초읽기에 들어간 말년 병장 금창헌을 위한 자리이기도 하다. 2024. 8. 14. 이전 1 ··· 576 577 578 579 580 581 582 ··· 33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