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56

수요일엔 빨간 장미? 놉, 오딘Odin을 위하여! 에시르Æsir의 땅 아스가르드Asgard 통치자로서, 오딘Odin은 신들의 모든 아버지All-Father of the Gods다. 그의 아버지는 보르Borr이고 어머니는 요툰 베스틀라 Jötunn Bestla다. 그는 다리가 여덟인 말 슬레이프니르Sleipnir를 타고 전투에 참가하며 과녁을 절대 놓치지 않는다는 난쟁이가 만든 창 궁니르를 휘두르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혜와 시와 전쟁의 신 오딘은 각기 다른 네 여성한테서 최소 다섯 아들을 두었다. 개중 가장 유명한 아들이 토르Thor, 지구를 의인화한 요르드Jörð가 잉태한 아들이다. 오딘의 여인들 중 프리그Frigg는 발드르Baldr 와 회두르Höðr를 낳았고, 요툰들인 그리르Gríðr와 린드Rindr는 비다르Viðar와 발리 Váli 를 낳았다. 오늘.. 2024. 7. 25.
트라키아 그 화려한 스키포스skyphos 발칸반도 지금의 불가리아 루마니아 일대를 웅좌雄坐한 트라키아를 그리스나 로마는 시종 바바리안 시각에서 간주했지만 그네가 이룩한 문화 수준을 막상 보면 경악을 금지 못하거니와 금 디테일이 있는 이 은제 스키포스skyphos 역시 그렇다. 저 세공기술 보면 감탄을 금치 못한다. 스키포스란 플랜지가 없거나 없는 베이스에 손잡이가 두 개 있는 깊은 와인 컵 혹은 주전자를 말한다. 저건 불가리아 파자르다이크Pazardijk 지역 스트렐차Strelcha 오렐라 2세 트라키아 무덤 Orela II Thracian tumulus 에서 발견되었다. 기원전 4세기 하반기 무렵 유물이다. 현재 불가리아 소피아 국립고고학박물관 소장품이다. Thracian silver skyphos with gilt details 2nd ha.. 2024. 7. 25.
돌팔매질, 원가가 들지 않은 전투 방식 고대 근동학을 공부하는 윤성덕 박사가 새삼 소개한 장면이라, 그에다가 한두 가지 보탠다. 이 부조는 아시리아 돌팔매질 군인 slingers 들이 작전을 수행하는 장면을 포착한 것이라, 네 군인이 포위된 도시를 지키고자 성벽 꼭대기에서 적군을 겨냥해 공중으로 둥근 돌을 발사하는 모습이다. 저들이 실제로 사용한 돌 포탄은 라치쉬Lachish 정문에서 발굴되기도 했다. 지금의 이라크 무실Mousil 시 쿠윤직 Kuyunjik 지구 소재 옛 아시리아 수도 니네베Nineveh 남서쪽 궁전 XXXVI호 방에서 발굴된 메소포타미아 네오아시리아Neo-Assyrian 시대, 기원전 700~692년 부조로, 현재 브리티시 뮤지엄 소장품이다. 조금 더 세부를 보면 돌맹이가 크지는 않다. 저걸로 얼굴을 때리면? 아작 난다. .. 2024. 7. 25.
장원과 지주-전호제 확신할 수는 없지만 필자는 대토지 겸병-장원과 지주-전호제는 휴경 극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본다. 휴경이 극복 안된 상태에서 정기적으로 땅을 놀려야 수확이 되는 수준의 농법에서는 소농민이 자립을 할 수가 없다. 농사는 어느 정도 토지가 집적화 되어 그 중 일부를 놀릴 수 있는 정도로 대규모 겸병-장원이 성립되어야 했을 것이므로필자 생각에는 우리나라도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이러한 모양의 대규모 겸병-장원 외에 자립한 소농민이 있었다 해도 그 수는 극히 적었으리라 본다.  어쩄건 휴경이 극복되어 소농민이 작은 땅이라도 부쳐 먹고 살수가 있는 시대가 되어야 장원은 해체되고 지주와 전호 사이에 소작제로 넘어가지 않았을까. 그 시점은 조선 전기-중기 어간의 어느 시기일 것이다. 우리는 "손바.. 2024. 7. 25.
늙어서도 공부하는 이에게 주는 공자님 말씀 子曰: "賜也, 女以予爲多學而識之者與?" 對曰: "然, 非與?" 曰: "非也. 予一以貫之." [사야, 너는 내가 많이 배우고 많이 안다고 생각하느냐? 대답하기를 그렇습니다. 아닙니까? 이르기를 "아니다. 나는 일이관지 하는 사람이다.] 논어 위령공편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늙어서도 공부하는 사람은 다학다식을 지향해서는 안된다. 일이관지가 더 중요하다. 자기 평생의 연구를 실로 꿰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야 자신의 Question이 만들어지고 이에 답하고자 할 때 비로소 큰 구조물이 세워진다. 이렇게 범을 그리고자 해야 개라도 그릴 것이다. 2024. 7. 25.
신석기시대 농경과 휴경 신석기시대 곡물로 평양에서는 조, 수수, 기장, 쌀 등 다양한 곡물이 나왔다고 하는데 이런 다양한 곡물은 콩, 조, 기장, 쌀 모두 다른 밭에서 키워 냈을까? 아마 윤작했을 것이다. 조선시대 이전 우리나라 농업에서 가장 큰 문제는 바로 휴경의 문제로 휴경을 하지 않으면 매년 수확이 안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 극복을 위해서 어떻게 했느냐 우리나라 조선시대 세종 시기에는 소위 2년 3작의 윤작법이 황해도 이북에서 시행되었다고 기록이 남아 있는데 어떻게 하느냐. 첫해 봄에는 조나 기장을 심는다. 이 블로그에 쓴 것 같지만 조나 기장은 수확이 빨라 첫 번째 수확이 끝나면 바로 보리를 심었다고 한다. 그 다음해 보리 수확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그 땅에 콩을 심고 2년차 하반기는 땅을 놀렸다는 것이다. 여기.. 2024.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