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43 야흐찰 Yakhchal, 고대 페르시아의 석빙고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제국 시절 사막 한가운데에서 제빙시설인 야흐찰 Yakhchal 혹은 “얼음 구덩이 Ice Pit” 모식도다. 이는 얼음을 생산하고 음식을 보존하는 데 사용했다. 페르시아인들은 이미 2,400년 전에 사막에서 엄청난 양의 얼음과 냉동 식품을 만들고 있었다. 1- 구조 설계 : 야흐찰 혹은 약찰은 벽돌과 점토로 만든 두꺼운 벽이 있는 돔 모양 시설다. 이 구조는 내부 시원한 온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 물 수집 : 겨울에는 강이나 산에서 녹은 눈에서 물을 모았다. 이 물은 운하를 통해 약찰 쪽으로 끌어왔다. 3- 동결 과정 : 물은 내부 작은 연못이나 웅덩이에 분배했다. 밤과 하루 중 가장 추운 시간에는 밤에 사막의 낮은 온도로 물이 얼었다. 4- 얼음 저장 : 얼린 물은 블.. 2024. 6. 20. 정병淨甁의 미스터리 이걸 두고선 열라 연구 많다. 주로 미술사입네 특히 불교미술사입네 공예사입네 껍쩍거린 인간들이 그랬다. 고고학도 발굴보고서 같은 데서는 빠지지 않고 다뤘다. 다 부처님을 위한 공양구라 하면서 실로 거창하게 설명하는데 단 한 놈도 그걸 실제로 어케 사용했는지 설명하는 놈은 한 놈도 못봤다. 왜 그런가? 지들이 모르기 때문이지 무슨 우수마발 이유가 있겠는가? 이상하지 않은가? 공양구라는데 아무도 사용방법을 모른다는 사실이? 이딴 공양구가 어딨단 말인가? 뭐? 부처님 욕불하는데 썼나? 내가 매양 기종보다 기능을 묻는 이유다. 저 첨부사진 관음보살님 맨날맨날 정병 들고 다니시는데 왜 들고 다니는지 물어얄 거 아닌가? 저 보살님 부처님 시봉할 때는 몰라도 단독으로 섬김을 받는 대표 보살님인데 섬김을 받는 분이 저.. 2024. 6. 20. 남월국 왕묘가 일깨운 것들 2007년 광동성 광주 남월국 문물 답사는 나한테는 여러 가지를 일깨운 기회였다. 남월국은 그 태동 시기, 태동 주체, 멸망 시점이 위만조선과 일란성 쌍둥이다. 남월국 창건주 조타는 산동성 출신으로 남월국에서 독립해 남월국을 세웠다. 현지 민족과의 복합세력이 구축한 왕조로 100년간 지속하다가 기원전 111년인가 한 무제에게 멸망당하고 그 땅에는 7군이 설치되었다. 위만조선 역시 이와 판박이라, 아마도 북경 일대 출신일 가능성이 많은 위만이 기자조선으로 망명해 처음에는 그 서쪽 방 100리를 분봉받았다가 이내 군사 쿠데타로 집권해 위만조선을 열었으니, 그러다가 역시 100년만에 한 무제에게 망하고는 그 땅에 4군이 설치되었다. 남월국을 정벌한 장수가 그대로 위만조선 정벌군 상층부를 형성했으니, 이러고도 .. 2024. 6. 20. 벨렝타워 Belém Tower, 대항해 시대의 증언자 벨렝 타워 Belém Tower 또는 토레 데 벨렘 Torre de Belém 은 포르투갈 리스본의 벨렘 지역에 위치한 유서 깊은 요새화한 타워다.16세기 초에 지은 이 건물은 대발견 대항해 시대 Age of Discoveries의 상징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다.저 Belém Tower는 물론 포르투갈어 Torre de Belém에 대한 영어 표기라 그 원 발음은 들어보면 또헤디벨렝 정도라,그렇다면 벨렝탑 정도로 표기하는 편이 좋을 것이로대, 실제 저렇게 표기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 의미는 Bethlehem Tower, 베틀레헴 탑이다.포르투갈 탐험가들의 승선 및 하선과 리스본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했다 한다. 근대 초기 유럽 역사에서 대탐험을 주도한 포르투갈의 해상 및 식민지 권력을 상징하는 기.. 2024. 6. 20. 바위를 파서 만든 베투반 코일 Vettuvan Koil 힌두사원 베투반 코일 Vettuvan Koil 은 인도 남부 타밀나두 Tamil Nadu 주 투투쿠디Thoothukudi 지역 판차야트panchayat 마을 칼루구말라이Kalugumalai에 있는 시바신을 모시는힌두교 사원이다. 판디안 건축 Pandyan Architecture 과 암석 절단 건축물 rock cut architecture 로 건설된 이 미완성 사원은 초기 판디아스 Pandyas 사람들이 서기 8세기에 건설했다. 칼루구말라이 언덕 다른 부분에는 8세기 칼루구말라이 자이나교 베즈 Jain Beds 와 무루간 사원 Murugan temple 인 칼루가살라무르티 사원 Kalugasalamoorthy Temple 이 있다. 이 암석 사원은 건축 양식과 건축 방식이 유명하다. 초기 판디아 통치자들이 수많은 .. 2024. 6. 20. [라오스] 동남아시아 언어 문제 이번 여행 안내를 하는 라오스 20대 젊은 친구한테 새삼 확인했으니 백퍼 팩트에 기반한다 할 수는 없지만 옮긴다. 라오어는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태국어 미얀마어와 통하지 않는 전연 별개 언어다. 못 알아듣는다. 다만 특이한 것은 태국어. 태국어를 거개 젊은이나 어린이들은 알아듣는다. 메콩강을 사이에 둔 지리적 인접성 영향도 있고 무엇보다 어릴 때부터 이들은 태국 tv를 보며 자랐기 때문이다. 또 하나 고려할 점은 치앙마이 일대 지금의 태국 북부가 지금은 태국 영토지만 역사적 연원으로 따지면 본래 라오스 영역이다. 그러니 이쪽은 실상 라오스와 여러모로 문화나 언어를 공유한다. 이 언어 문제가 지금의 동남아시아 국경과 문화를 가르는 바탕임을 직감한다. 또 하나 라오는 중국과 북쪽 국경을 접하며 최근 중국 자본.. 2024. 6. 20. 이전 1 ··· 717 718 719 720 721 722 723 ··· 33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