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54 빗살무늬토기보다 훨씬 볼품없는 미노아 머그잔들 크레타섬 미노아문명이 남긴 머그잔들이다. 제작시점은 대략 기원전 1천700년 전. 그러니 저들은 3천700년 전에 저런 잔에다 포도주 원샷 땡기고 있었다. 우리는 도토리 묵 말아먹을 때 말이다. 크레타 주도 이라클리오 소재 이라클리오 국립고고학 박물관 소장품들이다. 크로소스니 파에이토스니 자크라스니 하는 궁전 유적 출토품이리라. 이런 걸 보고 가서도 내 친구 춘배는 난 빗살무늬 토기가 더 아름다워요 헛소릴 일삼는데 이를 우리는 국뽕! 이라 한다. 2024. 11. 3. 단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민족주의를 오늘날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은 결국 단재 신채호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부분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독립운동가로서 단재의 역할을 부정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역사가로서 신채호라면? *** editor's note *** 필자 말마따나 단재는 문제적 인물이다. 저를 어찌 볼 것인가 하는 문제가 결국 한국 내셔널리즘을 어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하니 그 일단의 고민들을 아래들로써 나 또한 생각해 보고자 했다. “음모로 인국隣國을 난亂한 자”, 김유신을 혹평하는 단재 신채호 사대주의 병균을 퍼뜨린 김춘추 객관이 사라진 자리에서 자라는 어용御用 단재가 오도한 역사, 사대주의자 김춘추 2024. 11. 3. 새벽이 몹시도 쌀쌀한 네플리오, 비는 한달째 구경도 못해 아침 네 시인 지금 밖은 매우 쌀쌀하다. 13도니깐 말이다. 비슷한 지중해권 에게해권이라 하는데 작년 이맘 때 한 달을 보낸 로마랑은 또 달라서 작년 11월 한 달간 로마는 비가 오지 않은 날이 며칠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곳 그리스에서 이제 근 한 달이 되어가는 지금까지도 비가 온 날이 단 하루도 없다. 어느 섬이든가 잠깐 빗방울 보이더니 몇 방울 떨어뜨리고선 빠이빠이였다. 낮은 대략 23~24도 정도인데 우리네 그 기온과는 다른 듯 몹시도 덮다. 가뜩이나 숲과 나무가 적은 이곳은 그 넓은 유적이라 해서 나무가 특별히 있을 리가 없으니 더 덮다. 그래서 용케 그늘이라도 발견하곤 그쪽으로 들어가면 이내 한기가 스며든다. 전형하는 한국 가을 날씨와 비슷한듯 하면서도 많이 다르다. 자고로 우리네 가을이라면.. 2024. 11. 3. 어떤 논의도 집어삼키는 민족주의 민족주의가 약자에게는 유일하게 의존할 수 있는 버팀목이자 무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효용성을 부인할 생각은 없다. 한국인에게도 민족주의가 효율적으로 작동한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민족주의가 어떤 정상적 논의도 집어 삼키는 괴물과 같다는 점이다. 민족주의는 다른 논의와 공존이 불가능하다. 다른 모든 논의의 상위에 존재하면서 민족주의라는 이 막강한 액시옴에 반하는가 아닌가를 끊임없이 감시한다. 비유하자면 민족주의가 준동하는 시스템에서는 민족주의는 헌법과 같다. 헌법에 반하는 모든 법률은 헌법재판소에 의해 폐기되듯이 아무리 심각한 논의라도 상위 이데올로기인 민족주의에 반하면 폐기된다. 우리나라 지성계에서 제대로 된 논의와 논쟁이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다. 뭐 좀 이야기 할만하면 민족주의가 준동하여.. 2024. 11. 3. 옆집 아저씨 나플리오 고고학박물관 저번 나플리오 방문 땐 시간 부족으로 미룬 곳이 이곳 나폴리오 고고학 박물관 Archaeological Museum of Nafplio이라이곳에 여장을 풀고는 사흘을 머물고는 올림피아로 옮아가 다시 사흘을 보낼 작정인데이곳에서 대략 차로 한 시간 거리인 스파르타까지 소화할 생각이다.티린스 아크로폴리스도 나플리오 교외라 엎어지면 닿을 거리라 박물관 끝나고선 이곳을 가려한다.박물관이야 시내 중심에 있을 테니 걸어서 가기로 하고선 구글맵을 쳐 본다.젠장 숙소에서 110미터 거리에 있댄다.옆집 아저씨다.팔시반에 문을 연대니 열자마자 쳐들어가려 한다. https://www.bing.com/maps/?v=2&cp=37.566062%7E22.79058&lvl=16.0&sp=Point.37.566066_22.79628.. 2024. 11. 3. 비현실적 폼페이 거리, 더 비현실적 단풍 도로 A street in Pompeii곧 폼페이 유적 한 도로라 소개하는데 비공개 구역인가?아님 사진기술의 힘인가?샅샅이 훑지는 않았지만 저처럼 완벽히 발굴 복원된 곳을 본 기억이 없어서다.살피니 비 온 직후 촬영이다. 아마 저런 비라면 계절로는 가을 내지 겨울 아닌지 모르겠다. 그런가 하면 이런 장면도 보여주면서 이르기를Golden autumn라 하는 소개도 있는데ai 조작인가? 아님 현실세계 어느 단면인가?하긴 매년 이맘쯤 나는 창덕궁 비원을 들라거리는데저런 풍경이 썩 비현실은 아니더라. 2024. 11. 3. 이전 1 ··· 733 734 735 736 737 738 739 ··· 362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