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44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를 다시 본다 모시는 글고흥분청문화박물관은 운대리 분청사기의 역사와 의미를 실증하고 규명하기 위해 연차적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이번 학술대회는 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이행한 조선시대 전기 도자사의 변화를 담고 있는 경기도 광주 관요 가마터, 광주광역시 충효동 가마터의 요업 양상과 고흥 운대리 전면 덤벙분청사기의 제작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이를 통해 고흥 운대리 요장窯場의 전면 덤벙분청사기가 제작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오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2024년 8월 고홍군수 공영민 시간 장소 2024. 8. 30 11:00~17:00 분청문화박물관 강당기조발표15세기 백자의 유행과 분장분청 - 박경자(국가유산청 문화유산감정위원)발 표조선 .. 2024. 8. 17. 개인교수, 연인 부부가 피해야 하는 금기 연인이나 부부 사이에 하지 말아야 하는 금기들이 있다.개중 하나가 운전 교습.자칫하다 인생 쫑난다.그에서 비롯한 분노는 생명을 담보하기도 한다.저 그림 브리티시뮤지엄이 소장한 이태리 폼페이유적 출토 프레스코 한 장면이라 당연히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이전 어느 시기 로마시대 유물이다.저 설명은 이렇다.It represents a woman next to a man, perhaps her beloved, he seems to be teaching her to play a type of lyre called kithara, in a very intimate attitude.간단히 남자가 아마도 연인이었을 여자한테 다정한 모습으로 키타라kithara라 일컫는 리라lyre 악기를 연주하는 법을 가르치.. 2024. 8. 17. 2024 수원박물관 기획전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 2024년 수원박물관 특별기획전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전시기간 2024-08-14 ~ 2024-10-20 전시장소 수원박물관 기획전시실수원시 공립 수원박물관이 2024년 조맹부 탄생 7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특별기획전으로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을 저와 같이 개최한다.이번 전시는 송설체가 조선 왕실에서 오랫동안 애호되고, 유행하여 변화를 거치는 조선시대 서예사 일면을 만나보는 자리로 기획했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송설도인松雪道人 조맹부(趙孟頫 1254~1322)는 중국 원나라 때 인물로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한·중·일에서 존중받는 서예가다.다만 그의 글씨는 이상하게 중국 본토보다는 한반도에서 꽃을 피우게 된다. 조맹부 글씨는 고려말 충선왕忠宣王 이후 유입되면서 조선시대에 널리 확산되.. 2024. 8. 17. 에메랄드로 코뚜레한 두상 에메랄드 코 장식을 한 두상아무리 늦어도 기원전 300년 이전에는 등장한 고대 에콰도르 길쭉한 머리 조각 elongated head sculpture.흙으로 빚어 구웠으며 에메랄드색 코 장식nose decoration이 있다.이 조각은 투마코라 톨리타Tumaco-La Tolita 예술가가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크기는 17.78 x 12.7 x 9.4cm.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월터스 미술관Walters Art Museum 소장. 저에서 이 문화 유래를 말할 때 쓴 투마코-라 톨리타 문화 Tumaco-La Tolita culture 또는 툴라토 문화 Tulato culture 란 콜롬비아의 투마코 문화 Tumaco Culture in Colombia 또는 에콰도르의 톨리타 문화 Tolita.. 2024. 8. 17. 소토 돌멘 Dolmen of Soto, 5천년 전 이베리아 반도를 정좌한 거석기념물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 트리게로스Trigueros (우엘바Huelva)에 소재하는 소토 돌멘 Dolmen of Soto, 소토 고인돌이라는 유적이다. 1922년 발견된 이베리아 반도 가장 중요하고 가장 잘 보존된 선사시대 거석 기념물 중 하나로 꼽힌다. 정확한 건설시점을 특정하기는 힘들지만, 대략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가 걸치는 시점, 곧 기원전 3000~2500년 사이로 본다. 이 웅장한 거석 단지는 지름 약 60m 큰 흙 언덕으로 덮여 있으며, 지름 65m 돌로 둘러싸여 있다. 이런 둘렛돌을 한국고고학에서는 호석護石이라고 한다. 그 내부로 통하는 거대한 통로passage가 있다. 화강암을 필두로 하는 여러 재질 돌로 구축했으며 주로 매장 시설로 활용했으니 한국고고학을 빗대면 이른바 횡혈식 석실분이다... 2024. 8. 17.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장검과 단검 기록을 보면 9점이 같은 하나의 함에서 발견됐다지만 사진에서는 7점이 보인다. 저들을 어떤 기준으로 장검sword과 단검dagger로 나누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상대적인 크기로 그리 나누지 않았나 싶다. 하긴 뭐 장검 단검이 무슨 절대 수치로 하겠는가? 저분들은 금속으로 제작한 장검 혹은 단검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간주된다. 튀르키예 아르슬란테페 언덕 Arslantepe Mound, 일명 "라이온 힐Lion Hill"이라는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그렇다면 그 연세는? 기원전 3300-3000년. 이때 한반도는 신석기시대다. 청동기? 그 등장을 위한 미동도 없던 때다. 중국 대륙 역시 마찬가지라, 저때 무슨 금속이겠는가? 저 시대 이쪽 중동이나 이집트 혹은 유럽 구대륙에서는 초기 청동기시대로 간주한다... 2024. 8. 17. 이전 1 ··· 743 744 745 746 747 748 749 ··· 35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