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80 논농사는 매년 일으키는 인위적인 홍수와 같다 문명중심 지역 특징 중 하나가 하천의 범람이다. 특별한 시비 없이도 매년 새로운 토양이 밀려 내려오고 축적된 노폐물이 쓸려 나가 생산성 높은 농사를 연작하는것이 가능해진다. 신석기시대, 아마도 한반도의 농부들이 척박한 지력을 극복할 길이 없어 정기적으로 화전을 통해 간신히 농사짓던 시절에도 황하유역이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찬란한 문명이 탄생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 문명은 황하의 선물이자 나일강의 선물이기도 하다. 한반도에서 무논 농사는 매년 인위적인 홍수를 일으키는 것과 같다. 무논에 물을 넣었다 빼고, 상류에서 흘려 내려오는 토양과 거름 성분을 잡아 논안에 가둠으로써 인위적인 홍수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주어 비로소 이전의 정처없는 화전 떠돌이 농경을 종식시킬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이루었다는.. 2024. 9. 12. 우리를 객관화해야 하는 역사, 북유럽 청동기시대의 경우 하나하나 개별 유물 소개는 훗날 다른 기회로 미룬다. 이른바 노르딕 브론즈 에이지 Nordic Bronze Age 라 해서 북유럽, 그러니깐 북해 인근 지역 청동기시대 유물들이다. 저 시대는 기원전 2천년 전에 시작해 기원전 500년 무렵에 철기시대로 본격 전환한다. 저 유물들은 대체로 기원전 1천500년 전에 집중한다. 저 무렵 한반도는 청동기조차 없던 때다. 금속기라고는 구경조차 못한 시대다. 그런 시대에 저들은 저러고들 있었다. 북유럽? 발트? 스칸디나비아? 훗날 전개할 바이킹이 대표하는 무식한 야만인들 세계? 웃기는 소리 작작들 하시고 냉혹히 우리를 객관화해야 한다. 저쪽 청동기시대는 개시 시점이 중국보다도 빠르다. 중국에서 그 개막을 야금야금 올려서 기원전 2천년대로 끌어올리는 장면을 목도하기는.. 2024. 9. 12. 울진 후포리 돌도끼 사촌이 북아일랜드에? Ancient Craft - Dr. James Dilley 라는 데서 소개한 유물이라, 딱 보면 울진 후포리 유적에서 쏟아져 나온 그것을 연상케 한다. 둘 다 시기는 신석기시대다.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얼스터 박물관에 전시된 Porcellanite 도끼라 한다. Porcellanite란 도기와 비슷한 재질 암석이라는데 우리한테 있는 암석인지는 모르겠다. 19개 도끼로 구성된 이 보물은 19세기 벨파스트 말론 로드(Malone Road)에서 발견되었다. 몇몇은 너무 커서 사용된 적이 없는 것 같지만,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유사한 크기의 예를 기반으로 볼 때 완전히 사용이 불가능할지는 확실하지 않다. 한편, 영국 본토 레이크 디스트릭트Lake District의 그룹 VI 도끼의 표면 사용 마모에 대한 최근 연.. 2024. 9. 12. 현지서 전하는 그레이트 짐바브웨 Great Zimbabwe 일전에 그레이트 짐바브웨 Great Zimbabwe 라는 데를 소개한 적 있다. 짐바브웨 남동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마스빙고Masvingo 마을 근처에 있다는 이곳은 11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만든 이 인상적인 유적은 식민지 이전 시대의 아프리카 건축의 가장 중요하고 잘 보존된 예 중 하나이다. 내가 뭘 알아서 소개했겠는가? 저런 데 관심 있는 한국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마는 그래서 우리가 관심 둘 만한 데라 생각해서 혹여 모를 쓰임이라도 될까 해서였다. 로마 이크롬에서 일하는 조유진 군이 마침 그쪽에서 무언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 가 있는 모양이라 관련 현장 사진을 투척했으니 반가운 마음에 전재 소개한다. 저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정부는 아래를 참조했음 싶다. Great Zimbabwe, 짐.. 2024. 9. 12. 호밀빵 먹고 습지로 가선 미라가 되신 덴마크 보그 바디 Bog Body 1879년 덴마크 람텐Ramten 근처 이탄泥炭 습지 peat bog 에서 발굴된 보그 바디 bog body 인 훌드레모스 여인 Huldremose Woman이 걸친 옷이다.거의 2,000년이 되었지만 옷 상태는 매우 좋다.체크무늬 울 스커트 checkered wool skirt, 체크무늬 울 스카프 checkered wool scarf, 가죽 망토 leather cape 2개로 구성되어 있다.덴마크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색소 분석 결과, 훌드레모스 여인 옷은 원래 빨간색과 파란색 톤으로 색칠한 것으로 파악됐다. 저 Huldremose 표기를 어찌해야 하는지 자신이 없다. 구글에 물으니 훌더모세 정도로 발음하는 듯해서 저리 표기해 둔다. mose, 모세는 bog, 습지에 해당하는 말이다. Hul.. 2024. 9. 12. 절정을 구가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는 왜 동시 몰락했는가? 등고선 개념을 강조한 지도다. 메르카도르 지도라 실제 크기를 반영하지는 않는다. 똥색이 짙을수록 고도가 높다. 이걸 보면 적어도 등고선이라는 개념에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이집트 나일강 유역은 일정한 공통분모가 있다. 둘 다 큰 강을 낀 충적대지를 중심으로 동시대 다른 지역에 견주어 훨씬 일찍 그것도 고도로 발달했다. 문제는 그 다음 마라톤으로 치면 42.195킬로미터 중 전반기 10킬로미터 구간은 열라 속도를 내서 열라리 다른 주자들 따돌렸다. 한데 금방 지쳐버렸다. 나가 떨어졌다. 한 번 나가 떨어지고선 도대체 회복을 몰랐다. 신기하게도 두 지역은 동시에 급속도로 몰락했다. 짜맞춘 듯이 몰락했다. 왜 몰락했을까? 저 시대 저 지역을 연구하는 역사가들은 이제 이 물음에 대답해야 한다. 왜 쫄딱 망했는가?.. 2024. 9. 11. 이전 1 ··· 820 821 822 823 824 825 826 ··· 36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