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80

소로 쟁기질하는 고대 이집트 농부 소로 쟁기질하는 농부 모형 Model of a Man Plowing 메트Met 소장품이다. 농부는 축축한 땅 속으로 깊이 들어가 두 마리 소가 끄는 갈고리 모양 쟁기 뒤로 터벅터벅 걸어간다. 고대 이집트 쟁기는 나무로 만들었고 갈고리 모양이었다. 그러한 쟁기로 흙을 뒤집는 것은 불가능하며 단지 땅을 파는 역할만 한다. 그러므로 이런 종류의 쟁기질 목적은 씨앗을 땅에 잘 심는 일이었다. 쟁기는 농부 소유였으나 소는 국가나 사원 기관에서 임대했다는 내용이 기록에 남아 있다. 이집트인들은 사후세계에서도 들판에서 일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리고 이것이 껴묻거리에 이와 같은 모델이 포함된 이유일 수 있다. Title: Model of a Man Plowing Period: Middle Kingdom Dynasty:.. 2024. 9. 11.
스키타이는 빗도 황금 스키타이 황금 유물 중에서도 비교적 잘 알려진 황금 빗이다. 참빗 계통이라 봐야 하나? 저런 빗에 왜 전투 장면을 형상화했는지 모를 일이다. 기원전 430-390년 무렵 제작품이며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지구 Zaporizhia Region 솔로카 쿠르간 Solokha kurgan 출토품이다. 저 유물은 과거 구소련 시절 발굴품이라 지금은 에르미타주박물관에 가 있다.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보강한다. 1913년에 발굴했다. 윗 부분에 보면 싸움하는 세 전사가 보인다. 이 전사들은 스키타이인으로 본다. 빗은 그리스 출신 숙련된 예술가가 스키타이 지도자를 기리고자 만들었다고 본다. 2024. 9. 11.
고고학에 제안한다 (2): 빅데이터 분석실 또 다른 제안이다. 고고학에는 빅데이터 분석실이 있어야 한다. 이 분석실에는 통계학 전공자가 실장으로 있어야 하며 필요한 통계 분석을 전담할 수 있어야 한다. 무엇을 분석할 것인가? 지난 수십년간 축적된 고고학 보고서의 데이터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런 유례가 없다. 그야말로 빅데이터이다. 이런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학 전공자가 아니면 안된다. 통계학 전공자가 지난 수십년간의 발굴보고서의 데이터를 분석해 내면 세계가 놀랄 성과가 이로부터 나올 수 있을 것이다. 2024. 9. 10.
고고학에 제안한다 (1): 고대농업시험장 한국고고학은 고대농업시험장이 필요하다. 내 생각엔 국립기관 산하에 농업시험장이 하나 있으면 아마 굴지의 연구성과가 산출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따비로 농사지을 때와 쟁기로 심경할 때 그 소출차이는 어떨까? 이런 연구는 아무도 해주지 않는다. 온전히 고고학 그리고 역사학의 몫이다. 실제로 이런 고대 농업시험장은 인터넷을 찾아보면 드물지 않게 보인다. 신석기시대에 왜 우리 조상님들은 한 군데 지긋이 앉아 농사짓지 않고 싸돌아다니면서 농사를 지어야 했는지는 아무 비료도 주지 않고 밭농사를 한 장소에서 쉬지 않고 몇년만 지어보면 그 소출량의 격감을 보면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새해 농사를 시작하기 전에 불을 싸지르고 시작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는 간단한 실험만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보.. 2024. 9. 10.
[크레타Crete] (1) 간추린 역사 선사시대 – 13만 년 전으로 것으로 추정되는 도구가 섬에서 발견되었으므로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에서 건너왔을 수도 있다.미노아MINOAN –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14000년 사이, 미노아 문명이 번성했다. 그들은 수력 공학으로 궁전을 지었고 리니어 A[Linear A] 문자를 썼다. 그들은 화산 폭발, 지진 및 쓰나미로 전멸했다.  고전CLASSICAL – 철기시대부터 헬레니즘 시대까지 크레타 섬에는 라토Lato, 고르틴Gortyn과 같은 도시 국가가 있었다. 로마 – 크레타는 3년간 전투 끝에 기원전 69년에 로마에 정복되었다. 고르틴은 크레타에서 가장 큰 기독교 대성당 유적인 성 티투스를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아랍 – 820년대에 아랍 제국 일부인 토후국이 되었다. 찬드라Candra(.. 2024. 9. 10.
돌돌 말리는 돗자리는 호랑이가 찍어 눌러야 이런 모양 호랑이는 고대 중국에서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유물이다. 춘추전국시대 이래 한대漢代에도 자주 보인다. 시커먼 몸통은 주재료가 청동, 그에다가 금 혹은 은를 입힌 까닭에 저런 유물을 착금은동익호错金银铜翼虎 혹은 착금은복호동錯金銀伏虎銅鎭과 같은 식으로 표현하곤 한다. 착금은错金银은 금과 은을 입혔다는 뜻이고, 익호翼虎는 날개 달린 호랑이, 간단히 비상하는 호랑이라는 뜻이요, 복호伏虎는 웅크린 호랑이라는 뜻이다. 저 유물은 느닷없이 저쪽 영국 런던 브리티시뮤지엄에 가 있는데, 뭐 언제 어케 빠져나갔는지 아는 사람이 없다. 그 제작 시점은 춘추시대(770-403 BC)로 본다는데, 저건 내가 좀 더 찾아봐야겠다. 그렇담 저와 같은 호랑이 청동 조각은 기능이 무엇일까? 흔히 호랑이는 군사발동을 보증하는 .. 2024. 9.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