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75

베수비오가 삼킨 헤르쿨라네움 참사의 현장 폼페이와 비슷한 처지인 고대 로마 도시 헤르쿨라네움Herculaneum은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파괴됐다. 오늘날, 재난을 피하려다 실패한 사람들 해골로 가득 찬 해변가 지역이 대중에게 다시 개방되었다.  저 해안 동굴은 보다시피 해골로 가득찬 상태인데, 일반에 개방했다 하지만 작년 연말 내가 갔을 때는 저 동굴은 멀리서만 조망한 하게 했을 뿐 접근을 허락하지 아니해서 망원렌즈로 감상하는 데 만족할 뿐이었다. 저들 동굴에서는 모두 300구가량을 헤아리는 해골이 발견되었다. 내가 보기엔 해안을 바라보는 저 동굴이 헤르클라네움, 오늘날 에르콜라노 유적의 핵심인데 저길 왜 개방하지 않는지 모르겠다.  혹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는지도 모르겠다.    *** related articles ***  베수비.. 2024. 7. 12.
펑퍼짐 신석기 그 압권은? 홀레 펠스 비너스의 경우 홀레 펠스 비너스 Venus of Hohle Fels 라는 분이라, 독일 계통 구석기 시대를 살아 나오셨다.언뜻 보면 좀 징그런 느낌도 주는 이 분이시다. 명세를 보면 아래와 같다. Material : Mammoth ivory Size Height : 6 cm Created : 41,000 years ago Discovered : September 2008, Baden-Wurttemberg, Germany Present location : Blaubeuren, Baden-Wurttemberg, Germany 보다시피 높이 6센티미터에 지나지 아니하는 손톱 만한 크기라, 그걸 저리 확대하니 저 모양이 되고 말았다. 각도를 달리한 장면을 한 장으로 엎쳐 보면 아래와 같다. 구리기 짝이 없는 해상도는 AI 도.. 2024. 7. 12.
누에는 어디에서 왔는가 (1) 본 연구진이 최근 발표한 누에 사육의 기원과 확산에 대해 쉽게 풀어 이 블로그에 공개한다. 사람들이 사육하는 동물은 닭, 돼지, 말, 소만 있는 것이 아니다. 곤충도 있다. 곤충 중에 누에나방과 꿀벌은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사육동물이며 그 중에서도 누에나방은 인간의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좋다. 이 누에사육(양잠)과 비단 직조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이설이 존재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양잠에 이용하는 누에나방의 야생종이 동아시아 전역에 분포하기 때문이다. 산에 들에 사는 나방 중에는 멧누에나방이라는 녀석이 있는데 이 멧누에나방을 사육한 것이 지금의 누에나방이다. 이 멧누에 나방은 중국 전역, 한반도, 일본에까지 분포하며 다른 나라에도 있다. 따라서 비단의 원산국 지위를 누리는 중국의 자리를 .. 2024. 7. 12.
돌니 베스토니체, 비너스에 매머드 움막에 토기 가마까지 토해낸 3만년 전 구석기 유적 돌니 베스토니체 · 691 29 Dolní Věstonice, 체코691 29 Dolní Věstonice, 체코www.google.com 돌니 베스토니체 Dolní Věstonice 는 체코 미쿨로프Mikulov에서 북쪽으로 약 10km 떨어진 남南모라비아Moravia 돌니 베스토니체Dolní Věstonice 마을 근처에서 발견된 중부 유럽 가장 저명한 구석시시대 유적 중 하나다. 이곳에서 발견된 매머드 움막집 흔적은 2만 8천년으로 추정된다. 그 연대는 대부분 2만5천년~3만년 전으로 생각한다. 중앙 유럽 빙하기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매머드 뼈 오두막, 매장 관행, 예술 제작뿐만 아니라 그들이 사용한 기술들을 엿보게 한다. 특히 이곳에서는 여러 채 오두막집 잔해가 .. 2024. 7. 12.
누에의 기원에 대한 일본 학회 발표 일전에 계간잡지 "한국의 고고학"에 그 초고를 발표한 바 있었는데 동아시아 누에의 기원과 확산에 대해 조금 더 그 이야기를 보완하여 얼마전 일본 야마가타현에서 열린 일본동물고고학회에서 발표하였다. 어차피 일본 학회 발표라 굳이 영어를 선택하지 않고 그쪽 참석자 편의 상 일본어로 포스터를 제작하여 게시하였다. 반응은 상당히 좋았기 때문에 향후 내용을 조금 더 가다듬어 정식 학술지에 보고할 기회가 있지 싶다. 2024. 7. 12.
다시는 사또재판을 우습게 보지 마라 국조보감이라는 책이 있다. 조선사를 편년사로 읽고자 할 때 아주 좋은 책인데 대략 100권 정도 분량으로 조선초부터 말까지 편년체로 쓰여 있고 여러 왕대에 이전 실록을 간추려 편찬된 책이다. 국조보감을 읽어보면 조선시대에 대한 우리 선입견이 많이 다르다는 생각을 한다. 조선시대 우리 조상님들은 게으르고 어리석어 지질이도 못 살고 우리는 뭐 대단히 똑똑해서 지금 먹고 살 만한 줄 아는데 조선시대사를 이렇게 편년체로 읽어가다 보면 이런 선입견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깨닫게된다. 최근 필자는 역사 전공하신 교수님 한 분, 법의학 교수님 한 분과 조선시대 검시기록을 연구 중인데, 현재까지 남아 있는 당시 규장각 기록 안에 있는 검시 기록을 법의학적 관점에서 분석을 하고 있다. 그 동안 이 문서는 여러 분들께서 .. 2024. 7.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