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75 꼬다리부터 공격하는 김밥부인, 옆구리는 맨나중에 김밥은 말아 칼질을 하면 양쪽 끄터머리가 대팻밥이다. 이걸 꼬다리라 하는데 당근 두 쪽 꼬다리가 생긴다. 왼쪽 꼬다리가 사라졌다. 먹어치운 것이다. 다음 오르쪽 꼬다리가 남았다. 몸통 공격을 위해 잽을 날린 셈이다. 어두육미라 했다. 대가리와 꼬리가 맛난 부위다. 없는 집 자식들은, 항상 먹을 것이 부족한 자식들은 꼬다리부터 먹어치운다. 그리하여 꼭 한두 모타리가 남게 되는데 맨복판이다. 나는 꼬다리부터 해치운다. 2020. 6. 17. 남한이 특사를 '간청'했다는 북한, 그리고 일본서기 북 "남, 특사 제의했으나 김여정 거절…특사놀음 안통해"(종합) | 연합뉴스 북 "남, 특사 제의했으나 김여정 거절…특사놀음 안통해"(종합), 정아란기자, 북한뉴스 (송고시간 2020-06-17 06:53) www.yna.co.kr 직접으로는 대북전단(삐라)가 촉발했다는 남북관계 급속 냉각 와중에, 이를 타개코자 함인지, 한국정부가 북한에 특사제의를 했다가 거절당한 모양이다. 조선중앙통신 16일자는 남측이 지난 15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을 특사로 파견하겠다는 제안을 했으나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를 거절했다고 보도했으니, 이를 조선중앙통신은 다음과 같이 사초에 적었다. 15일 남조선 당국이 특사파견을 간청하는 서푼짜리 광대극을 연출했다. 우리의 초강력 대적 보복공세에 당황망조한 .. 2020. 6. 17. 과감히 열어제껴야, 남월왕묘의 경우 광동성 광주 남월왕묘다. 2007년 상황이라 현재는 어떠한지 알 수는 없다. 우리는 이렇게 전시할 수도 없다. 이렇게 고분 노출 전시한다고 하면첫째 문화재위원회가 용납을 아니할 것이요 둘째, 시민단체와 언론에서 훼손 논란 운운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왜 못하는데? 왜?를 물어야 한다. why not을 물어야 한다.(2017. 6. 15) *** related article *** 우리네 문화재현장 주특기는 툭하면 영구폐쇄툭하면 폐쇄다. 보존을 빌미로 툭하면 폐쇄다. 매양 하는 말이 "매장문화재는 땅속에 있을 때 가장 안전하다. 발굴은 곧 파괴다" 그래? 이 따위 구닥다리 말이 아직도 문화재 현장에 불문률처럼 �historylibrary.net 저 비슷하게 한 데가 천마총이 있고 또 근자 같은 경주 .. 2020. 6. 16. 우리네 문화재현장 주특기는 툭하면 영구폐쇄 툭하면 폐쇄다. 보존을 빌미로 툭하면 폐쇄다. 매양 하는 말이 "매장문화재는 땅속에 있을 때 가장 안전하다. 발굴은 곧 파괴다"그래?이 따위 구닥다리 말이 아직도 문화재 현장에 불문률처럼 통용한다는 것이 비극이다. 아직도 이 말이 헌장으로 통용된다는 게 비극이다. 땅속에 있을 때 안전해?그래서?그러면 보이니?발굴은 파괴?창조야 이 사람들아 왜 이래?왜 그렇게 자신이 없는데?툭하면 훼손되니, 혹은 그럴 우려가 있다는 학계의 뜬금없는 연구용역과 언론의 지적질에 결국은 무령왕릉은 영구 폐쇄되었고 능산리 동하총도 영구 폐쇄되었다. 나 참 웃겨서. 벽돌로 쌓은 무령왕릉이 무너지기라도 한다니?뭐가 더 훼손되는데?이끼 낀다고?끼면 가끔 벗겨내면 되자나?그래서 영구 폐쇄하니 좋데? 첨부 사진은 중국 서안 건릉 영태공주.. 2020. 6. 15. 제석사지서 생각하는 가야사, 닥치고 땅 사야 익산 제석사지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연차로 발굴하고 정비한 현장이다. 온전한 정비가 이뤄지면 그 풍모 경주의 황룡사지나 인근 미륵사지 부럽지 않을 곳이다. 하지만 멀었다. 사역에 포함된 구역 상당 부분이 아직 사유지라고 안다. 주택과 농토 차지다. 이 일대는 미륵사지까지 몽창 매입해 백제타운으로 조성해야 할 곳이다. 가장 시급한 것은 닥치고 땅 사야 한다는 사실이다. 백제사 연구? 그것이 땅 사는데 무슨 도움이 된단 말인가? 암짝에도 쓸모없다. 연구니 뭐니 해서 한가롭게 그런 얘기할 시점도 아니거니와 더 할 얘기도 없다. 연구? 어떤 연구가 필요하겠는가? 정비조사를 위한 철저한 실용의 학문적 뒷받침이 필요할 뿐이다. 문화재 보존철학의 확립을 위한 뒷받침이 필요할 뿐이다. 이를 위해 고대사학계가 할 수.. 2020. 6. 15. 눈먼 돈 따먹겠다는 학계..가야사의 경우 관官 주도 역사 프로젝트에 항용 나오는 말이 그 예산 대부분이 토목에 투자되고 연구비는 10프로 안된다고 한다. 이번 가야사 프로젝트에도 이 따위 낭설이 횡행한다. 첫째 10프로가 적은가? 천억짜리 프로젝트면 백억이다. 백억을 어디다 쳐바른단 말인가? 《가야사대계》? 이딴 걸 또 한단 말인가? 둘째 그 연구라는 거 내실 뒤져보면 지들이 지들 월급으로 다 할 수 있는 일이다. 김유신 연구하는데 왜 국민세금 들어가야 한단 말인가? 돈 안 받고도 얼마든 할 수 있는 일이다. 셋째 저 말은 연구비 많이 주면 입 닫고 있겠단 말이다. 사업 추진 전에 학계랑 미리 논의하면 가만 있겠단 뜻이다. 넷째 역사 프로젝트라 해서 왜 역사학자가 주도해야는가? 개소리다. 그 프로젝트는 학술행사가 아니다. 몇몇 교수놈이 좌지우지.. 2020. 6. 14. 이전 1 ··· 341 342 343 344 345 346 347 ··· 4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