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15

《스카이캐슬》도 꺼꾸러뜨린 《부부의 세계》 '부부의 세계' 24.3%…'SKY캐슬' 넘어 역대 비지상파극 1위 | 연합뉴스'부부의 세계' 24.3%…'SKY캐슬' 넘어 역대 비지상파극 1위, 이정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5-03 07:24)www.yna.co.kr 손석희가 잘 나갈 때는 손석희로 먹고 살던 JTBC가 손옹이 눈에 띄게 추락하면서는 뭘 먹고 살까 걱정했더니 드라마가 지탱한다. 《스카이캐슬》이 방영된 시점이 2018년 11월 23일~2019년 2월 1일이니, 이때면 이미 손옹을 내세운 뉴스는 맛탱이가 가기 시작한 시점이며, 《부부의 세계》가 방영 중인 지금 JTBC는 손옹이 명목상 회사 대표인 시점이다. 종편이 존재를 각인하는 무기는 결국은 예능 아니면 드라마라는 사실이 새삼 확인된 셈인데, TV조선이 《미스트롯》과 《.. 2020. 5. 3.
이토록 예쁜 갈등葛藤 등나무가 만개하는 무렵이다. 등나무꽃은 피어서 곱고 져서 아름답다. 바닥에 수북히 깔린 등꽃 시체 본 일 있는가? 떼죽음이 그리 아름다울 수 없다. 한데 왜 등나무가 칡넝쿨 한 묶음해서 엉킨 실타래 갈등이 되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혹자는 넝쿨이라 그런다는데 하긴 이 등꽃보다 칡꽃은 보라색 흰색 붉음이 절묘히 조화하는데 그를 보면 내가 넋을 잃는다. *** 저 등꽃이 청파동 숙명여대 제1캠퍼스다. 옛날 자료 정리하다 튀어나와 지금쯤 한창 꽃을 피웠겠거니 해서 아침 일찍 남영동 출발해 도보로 십분거리인 저짝을 찾아나섰더랬다. 개구멍 같은 정문 입구 통과하려는데 인상 험한 아저씨 둘이 반발 비스무리하게 하며 잡더라. 못들어간단다. 코로나 19 때문인가 하면서도 길 건너편 제2캠퍼스는 이렇다 할 제지가 없고 .. 2020. 5. 3.
봄비 머금은 선암사 연녹색이 물기를 머금으면 창포 기름 바른 머리칼 같다. 그런 어느날 선암사는 온몸이 파충류였고 새순 뽕이파리 잔뜩 머금은 누에 핏줄 같았다. (2015. 5. 3 선암사엔 비가 왔다. 제법한 비였다.) 2020. 5. 3.
삼겹살 같은 화강암 화강암은 비를 적당히 머금으면 때론 맛나 보인다. 살짝 익은 삼겹살 같다. 2020. 5. 3.
갈구渴求라는 이름의 빗장 이태전 다시 소쇄원 죽림을 갔더랬다. 뚜렷한 까닭이 있지는 않았다. 꼬나보기도 하고 마주 보기도 했더랬다. 빗장 같은 갇힘이 아늑했으니 그래 삶은 빗장 아니겠는가? 갈구渴求라는 빗장 말이다. *** 추기 대나무밭에는 5분 이상 머물면 안 된다. 반바지 반팔은 안 된다. 죽림에 누워 세상을 꿈꿔? 디비자바라! 모기밥 되지. 대밭 모기는 아가리가 열라 커서 열라 아푸다. 소쇄원 대밭 모기라 해서 그래 나는 국가지정문화재에 사는 고급진 모기니 봐주겠다 할 거 같은가? 더 물어제낀다. 오랜만에 포식한다고 더 물어제낀다. 2020. 5. 3.
문화재 보수현장의 고질, 실상사 원지를 보며 내가 본 모든 현장에서 나타난다. 겉으로 보기에 멀쩡한 곳도 다 뜯어제끼고 본다. 성벽 석축에서 이 현상은 두드러진다. 왜 그러느냐 물으면 언제나 답변은 같다. 기초까지 다시 쌓지 않으면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그런 점에서 내가 주시하는 현장이 남원 실상사 소위 정원시설. 이건 발굴결과 고려시대 석축시설이 손을 대지 않아도 될 정도로 드러나, 보수는 최소한만 하면 된다. 역시나 다 뜯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놈 있다면 저승까지 따라가서 처단한다. 내 아무리 몰라도 이걸 보존하는 최선의 방안은 물을 그냥 대는 것이다. *** 이상은 남원 실상사지 원지 발굴을 보고는 2017년 4월 29일 격발해 뇌까린 말이다. 문화재현장에서 벌어지는 이런 쏵 뜯어고치기주의 개보수는 현재나 듣도보도 못한 21세기 대한민국 문화.. 2020.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