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SAYS & MISCELLANIES2517

놓고 버리고 바꾸고 집착? 놓으면 된다. 신념? 버리면 된다. 지조? 바꾸면 된다. 살아보니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게 이 세 가지더라. 2019. 4. 21.
편승, 재난의 정치학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이 홀라당 탔다. 이 성당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기도 하다. 기왕 탄 거 우짜겠는가?한데 이 사건 여파가 오죽이나 큰가? 더구나 성당이 지닌 상징성이 다른 어떤 데보다 크니깐 말이다. 이참에 이에 편승하는 움직임이 여러 곳에서 감지한다. 첫째, 프랑스 권력이다. 이번 화재가 나는 허덕이는 마크롱한테 불리할 건 없다고 본다. 내가 유심히 살핀 건 아니나, 이번 화재를 그의 권력 강화에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더러 나는 포착한다. 둘째 유네스코와 관련 기구다. 이런 초대형 재난만 터지면 목소리가 높아지는 데가 관련 국제구기다. 이곳은 세계유산이니, 그 업무를 관장하는 유네스코와 관련기구들에서는 볼짝 없다. 다시는 이런 일 없어야 한다는 당위를 앞세운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을 것이다... 2019. 4. 20.
아시바를 위한 변명, 그것을 위한 찬송가 아시바頌 소위 중세풍을 간직했다 해서 우리가 찬탄해 마지 않은 유럽 도시그런 대표 중 하나로 꼽히는 이탈리아 베네치아다. 일단 속내는 무시하고 그 겉모습만으로는 찬탄을 자아내는 저 무수한 건물채를 버틴 힘은 무엇인가? 단 한마디로 족하다. 아시바(あしば, 足場) 다. 저 무수한 건물채를 버틴 힘이 아시바임을 인류는 기억이나 하려나? 어딘지 알 필요없다. 안다 해서 내 논지에서 벗어나는 것도 아니니깐 말이다. 베네치아인 듯한데 아리까리 아리숑숑하다. 뭐 유럽이라 해서 이렇다 할 커다란 보존기술이 따로 있어, 소위 저런 중세풍 건물이 즐비한 것은 아니다. 무엇이 이를 지탱케 하는가? 이른다. 아시바다. 첫째도 아시바, 둘째도 아시바, 셋째 넷째 열번째도 아시바가 있을 뿐이다. 저들 건축물이 무에 용가리 통뼈라고, 무.. 2019. 4. 17.
노트르담 대성당과 아시바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이 왜 불이 났는지, 그야 추후 진행할 원인 조사에서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내리라고 보고, 그런 가운데서도 느닷없이 아시바가 그 주범처럼 지목되어 일단은 분풀이 대상이 되어 두들겨 맞는다. 아시바..あしば라 발음하고 그에 대한 일본식 한자어는 足場이라 쓴다. 아시가 다리 몽댕이 할 때 그 다리요, 바는 は이니 곳, 장소라는 뜻이니 곧 발을 딛는 곳이리라. 한데 이 말이 토목건설현장으로 가서는 가설 비계를 의미하거니와, 이 아시바가 느닷없이 화마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니 이 얼마나 억울하겠는가? 뭐 들리는 말로는 첨탑 보수를 위해 세운 아시바가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나 어쨌다나? 아시바 자체가 불을 낸 것은 아닐진대, 마치 그것을 화재 원인인양 거론한다... 2019. 4. 16.
언론의 변화와 뉴스의 이동 이거 언제나 고민이었고, 지금도 고민이다. 언론사 종사자 중 한 부류인 기자란 무엇인가? 나는 우리가 아는듯 모르는듯 사이에 근자 엄청난 변화가 있다고 본다. 오마이뉴스가 한때 선풍을 일으킬 적에 그들의 모토는 모든 국민이 기자라는 말이었다고 기억한다. 그 이전까지 특정한 훈련과 특정한 글쓰기와 특정한 취재방식을 구비한 이들을 기자라 했고, 그들이 그렇게 해서 작성한 기사 혹은 뉴스가 소비되는 통로가 언론사였다. 오마이뉴스와 프레시안은 이를 타파했다. 누구나 기자임을 증명했다고는 보기 힘들어도, 누구나 기자일 수 있음을 입증했다. 물론 그런 기자들과 그런 뉴스를 나 같은 기성 기자와 언론은 못내 미심쩍게 바라본 것도 사실이다. 아니, 너무 많은 문제가 도사렸다. 하지만, 누구나 기자일 수 있음은 이젠 거.. 2019. 4. 15.
텍스트의 기념비성, 독자는 누구인가? 모든 텍스트는 독자(a reader or readers)를 염두에 둔다. 누구를 독자로 한 것인가? 이 점을 망각하고 텍스트에 접근하면, 그 역사문화 99%를 망실하고 만다. 광개토왕비는 독자가 누구인가?북한산 비봉 진흥왕비는 독자가 누구인가?무령왕릉 묘권墓券은 독자가 누구인가? 적어도 저 셋 중에서 가장 대중성이 강한 텍스트가 광개토왕비요 독자가 지극히 제한된 곳이 진흥왕비와 묘권이다. 묘권은 독자가 지하세계 귀신들이요 북한산비는 독자가 천신지기天神地祇다. 이를 알아내는 것이 텍스트의 기념비성을 파헤치는 지름길이다. 그것을 해체하는 것이 역사가의 책무다. 저들 텍스트에 대한 저런 고려를 하지 아니하니, 개소리가 넘쳐난다. 기념비성을 몰각한 까닭이다. 내가 본 고대 금석문 중에서 가장 대중성이 높은 기념.. 2019.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