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0 닥치고 꽃 심어, 그 위대한 보기 의성 금성산고분군 작약밭 조만간 봄이 초래할 경북 의성 금성산 고분군 풍광이다. 언제나 그렇게 말했듯이 경관 landscape은 자연히 주어진 그 무엇이 아니요 사람이, 인간이, 인위人爲가 가꾸는 것이다. 모란보다 작약이 더 찬란하지 아니한가?(2017. 3. 20) *** 유적 보존활용한답시며 씨잘데기 없는 용역 할 필요 없고 씨잘데기 없는 교수들 불러다가 학술대회 할 필요도 없다. 뭘 고민해? 닥치고 꽃 심어! 그 위대한 보기다. 실은 이걸로 대성공한 데가 경주 첨성대 주변이다. 뭘 고민해? 무슨 보존정비? 그냥 사시사철 꽃 심는 일 만큼 좋은 것 없다. 아참, 이런 포스팅을 보시고 작년 현장을 찾았더니 작약이 안 보이더라는 말씀이 있으셨다. 의성군에 직접 확인했다. 작약은 몇 년 지나면 다시 심어야 하는데, 그런 작약이 다.. 2024. 3. 20. 광개토왕비 3분지1 비면에 5천자 장편 서사시를 쓴 낭혜화상비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 터에 남은 이 비석은 주인공 행적을 적은 비신碑身을 중심으로 그 받침에 해당하는 거북 모양 비좌와 용을 새김한 이수에 이르기까지 사람으로 치면 몸통과 발, 얼굴 삼박자를 온전히 갖춘 것이라 전제 높이는 4.55m라지만, 이를 받침과 이수가 없는 광개토왕비에 견줄 때는 당연히 비신만을 적출해야 하니, 비신은 높이 263㎝, 너비 155㎝, 두께 43㎝라. 이 비면에다가 최치원이 쓴 낭혜화상 무염無染 행적을 물경 5천120글자에 달하는 장편 서사시로 써내려갔다. 광개토왕 고담덕 추념비와 비교하면 3분지 1 크기밖에 되지 않는데, 높이 6.3m에 달한다는 저짝에는 고작 1775자를 써내려갔지만, 장대한 책 한 권을 너끈히 적었다. 이 둘만 비교해도 저 고구려 웅혼 운운한 광개토왕.. 2024. 3. 20. 윤용현 박사를 억류 소환해 듣는 전통 야금冶金 기술 이야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물질문화연구팀(연구책임자: 장남원, 미술사학과 교수)에서는 오는 3월 29일 한국 전통 금속공예 복원 분야 권위자이신 윤용현 선생님을 모시고 포럼을 개최합니다. 한국의 전통 금속공예 재료와 기술에 대한 내용으로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환영합니다. ~~~~~~~~~~~~~~~~~~~~ * 제목: 전통공예의 재료가공 야금(冶金)기술 * 연사: 윤용현(국립중앙과학관) * 일시: 2024년 3월 29일 금요일 오후 2시 30분 *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학관 551호 #윤용현 2024. 3. 20. 국립인천해양박물관 대규모 공개채용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경력 및 신규직원을 모집합니다. 70명을 뽑을 예정입니다. 하반기에도 한번 더 채용이 있을 예정입니다만 숫자는 더 줄어들겁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채용 홈페이지은 inmm.scout.co.kr 입니다. 2024. 3. 20. 6.3m 거대 돌덩이에 겨우 1775자만 달랑 새긴 광개토왕비 고구려 장수왕 고거련高巨璉이 그 아버지 광개토왕 고담덕高談德을 추념하고자 세운 이른바 광개토대왕비는 응회암 재질에 높이 약 6.39m에 너비는 1.35∼2.0m인 거대 돌덩이로 비좌는 물론이고 비수도 따로 없이 몸통만 이용해 글자를 새길 만한 데는 모조리 다 박아 넣었으니 저 큰 돌덩이에 불과 1775자밖에 새기지 못했으니 하도 무식하게 한 글자 한 글자 큼지막하게 박는 바람에 빚어진 참사였다. 그 문장을 조금만 세심히 읽어봐도 곳곳에 원본이 축약되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는 이 자리서는 본론에 벗어나므로 치지도외하고 천육백년이 지난 지금에는 그 덩치가 자랑스럽다 하며 이르기를 웅혼한 고구려 기상을 알려주는 위대한 유산이라 한다. 그런가? 어떤 얼빠진 놈이 저 큰 바윗덩이에다 천칠백자밖에 쓰지 못한단 말인.. 2024. 3. 20. 메이지정부가 와카야마현에 내린 조선 표류민 대우 법령 조선은 바다를 즐기지 않았다. 바다 밖에서 온 것들은 물리치기 일쑤였고, 바다 밖으로 나가는 것은 매우 두려워하였다. 사방이 바다인 제주의 경우, 거기서 나는 토산품은 꼬박꼬박 공물로 바치라 하면서 정작 거기 사는 사람이 배를 타고 나가는 일은 크게 경계하였다. 오죽하면 1629년(인조 5)부터 근 200년간 제주 사람은 육지에 올라오지 말라는 출륙금지령을 다 내렸을까. 그래서 탐라 시절엔 분명 대단했을 제주의 조선술은 퇴화를 거듭, 진상품을 나르고 조금 멀리 나가 고기잡는 데 쓰인 '덕판배'나 연안에서 고기 낚는 데 쓰는 '테우' 정도만 남았다. 고유섭 선생 표현처럼 '바다를 엔조이한' 장보고 시절엔 상상도 할 수 없었을 일이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바다에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고기잡.. 2024. 3. 20. 이전 1 ··· 1206 1207 1208 1209 1210 1211 1212 ··· 3660 다음 반응형